The ripple effect of inviting foreign capital is infinite. It brings job creation and the effect of the influx of the population, forms new economic bloc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also cotributes economic revitalization in the whole regional economy. Furthermore, it is able to contribute another creation of value-added by increasing foreign reserve nationally. Because of the effect of attracting foreign capital, for such reasons as mentioned, all countires of the world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active in attracting foreign capital. Especially, it gets attention as the growth momentum which vitalize the nation and region in the world economic recession. Korea realized that attracting foreign capital is way out of crisis with financial crisis in late 1997, and has made an effort to create free trade zone and support various policies. Korea made an effort to report positivity of inviting foreign capital by offering the better investment environment to foreign capital firm, but the rated result is not that high. Nevertheless, Korea keeps trying for inviting foreign capital and tries to find the solution from attracting Chinese capital. Korea strengthened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and created "Saemangeum Economic Cooperation Parks, SECP". SECP is to develope city by attracting native and foreign investment with Korea and China. It is necessary to introduct "Real Estate Investment and Immigration System" for success of SECP. Real Estate Investment and Immigration System has positive effects. It creates demand about tourist facilities that would be parcelled out developing tourist attraction, improves development work of tuourist resort in underdeveloped region by promoting additional investment of foreign capital, revitalizes local economy, and attracts foreign tourists. I would like to investigate effectiveness and economic effect of Real Estate Investment and Immigration System that is implemented in the partial areas, and moreover propose remedy that can maximize positive effects of Real Estate Investment and Immigration System for succesful creation of "Saemangeum Economic Cooperation Parks" after compare and analyze Real Estate Investment and Immigration System of the countries (regions) which has implemented it in advance of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utilize the economic efficiency analysis results focused on the break-even point as an indicator for the decision making of commanders and staff. We suggested a method of determining economic life by utilizing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commercial program Minitab with a focus on the equipment’s operational environment and performance data, whereas previously the equipment’s retirement period was simply determined by the current equipment prices and sustainable period.
본 연구는 최근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경제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사회적경제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회적경제에 관련한 기존연구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사회적경제의 학문적 접근의 변화를 점검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사회적경제에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장 마련과 함께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performance-cost ratio of various polycarbonate(PC) pigpen. The finite element models using the ANSYS program described in this paper is attractive not only because it shows excellent accuracy in analysis but also it shows the benefit of parameter study by using APDL. We have performed various parameter study of total 6 models. An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6 models. From the numerical examples, we recommend model M2. Model M2 is PC pigpen with steel in PC.
본 연구는 공급자(supplier)가 중간 유통자(wholesaler/retailer)의 수요 증대를 목적으로 중간 유통자의 주문량에 따라 차별적으로 외상 기간을 허용한다는 기본적인 가정 하에 중간 유통자의 재고 모형을 다루었다. 문제 분석을 위하여 최종 고객(customer)의 수요는 중간 유통자의 재고 수준에 따라 선형적(linearly)으로 증가한다는 가정하에 모형을 분석하였고, 모형 분석을 통하여 중간 유통자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경제적 주문주기와 경제적 주문량 결정 방법을 제시하고, 예제를 통하여 그 제시된 해법의 타당성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물량저감 철근상세를 갖는 중공 철근콘크리트 교각 시스템의 전용 설계프로그램과 소성설계 적용 결과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물량저감 철근상세는 경제성과 합리성을 갖으며 공사기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다. 물량저감 중공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적용을 통해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개발상세가 기존상세에 비해 구조적 합리성, 시공성, 그리고 경제성 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새만금수목원은 새만금간척지의 농업용지 내 조성될 국가수목원으로 2025년 개원하는 면적 200ha의 해양기후대 해안·도서식물을 수집, 보전하는 세계 최대의 해안형 수목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수목원조성대상지는 지리적으로 해양성 기후와 내륙기후의 기착지점으로 생물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합적공간으로 여타수목원과의 차별성을 갖는 곳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국가수목원 조성의 경제적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양분선택형모형을 적용한 결과 새만금수목원 조성을 위한 개인별 평균 지불의사액은 6,607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를 전국 시도별로 확장하면 연간 207억 원에 달한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비용편익 분석을 수행하였더니 순현재가치, 편익/비용, 내부수익률은 각각 141.86억 원, 1.16, 7.48%로 계산되었다. 이 값은 각각 0, 1.0, 5.5%를 상회하므로 새만금수목원 조성사업은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새만금수목원 조성 및 유지가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며 사회적으로도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PURPOS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conomic effect of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on job-site airport pavement. METHODS: The validation of site recycling for waste concrete as economic efficiency is analyzed through the case study of site recycling at an O airport pavement construction. The break-even point for the cost of site recycling was estimated according to two different waste concrete processing methods such as job-site recycling and processing on commission (or plant). RESULTS: Job-site recycling cost decreases as the use rate of job-site recycled concrete aggregate increases, or the amount of concrete waste increases, but transporting distance decreases. It was shown in an O airport case that as the use rate of job-site recycled concrete aggregate exceeds 61.4 %, the job-site recycling cost is cheaper than the processing cost on commission.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utilize basic data of feasibility for site recycling of waste concrete on airport pavement construc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smart ventilation system in order to minimize a building energy consumption using ventila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iciency of the smart ventilation system being developed at the nursery. To evaluate the energy savings and carbon dioxide removal efficiency, two kinds of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compared. First, air conditioner and Smart HVAC system were operated. Second, air conditioner was operating and external air was put into the inside by rate of air circulation. It was more effective when working with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on system at the same time. If the Smart HVAC system is applied in a multi-use facility, indoor air quality will be comfortable and the social cost will be reduced.
계란 세척기 평가 금액 추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란 세척기 총수입(인건비 절감으로부터의 조수입 증대)에서 산정하였으며, 계란 세척기 총비용은 구입가격, 고정비용 및 유동비용의 합계로 나타내었다. 계란 세척기 평가액은 할인율 수준에 따라 최소 44,778천원(할인율 10%)에서 최대 45,778천원(할인율 5%), 평균 45,278천원으로 추정된다(Table 7). 계란세척기의 경제적 타당성을 살펴보면, 내부수익율 IRR의 값은 가정했던 할인율(5%~10%)보다 훨씬 높고, 순현재가치(NPV)는 0보다 훨씬 크며, B/C 비율도 1.0 이상으로 나타나 계란 세척기 개발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Table 8).
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는 국민을 창조활동의 주인공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기존의 전문가 중심, 과학기술공급중심의 경제사회발전전략과는 다른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그 해석과 정책 실행에 있어 그 특징을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창조경제가 주목한 국민의 창의성이 과학기술자의 창의성과 무엇이 다르며, 그것이 정책 패러다임으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광범위한 문헌 연구를 통해 밝힘으로써 창조경제가 담아내야 할 도전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민은 사용자로서의 창의성에 더불어 인문학적, 철학적, 윤리적, 경험적 능력을 바탕으로 한 생활인/삶의 주체로서의 창의성을 갖고 있으며 이것은 과학기술자의 창의성과는 구분되는 고유의 창의성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로서의 창의성, 생활인/삶의 주체로서의 창의성의 발현은 삶의 가치에 대한 선택을 내포하며 이는 소비행태의 변화, 삶의 방식의 변화를 통해 기술 고착, 사용자 고착을 타파함으로써 시스템 혁신을 이루거나 새로운 사회ㆍ기술시스템의 구성 혹은 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국민의 창의성은 기존의 전문가/과학기술공급중심 혁신 패러다임이 아닌 사용자/현장중심 혁신 패러다임’의 토대로서 역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민의 창의성에 주목하고 있는 창조경제는 사용자/현장 중심 혁신 패러다임의 실현이라는 새로운 경제사회발전정책과제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 65세 이상인 인구의 비율이 12%를 넘으면서 고령운전자가 일으키는 교통사고도 함께 늘 어나고 있다. 교통안전공단과 경찰청의 자료에 따르면 고령자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2008년 10,155건에서 2012년 15,190건으로 5년간 49.5%가 증가했으며, 작년과 비교했을 땐 11.7%가 증가했다. 또한, 고령운전 자 교통사고의 사망자와 부상자는 2008년과 2012년 사이에 각각 28.4%, 46.6%가 증가했다. 청주시의 2012년 기준 고령인구는 57,500인, 고령인구 비율이 8.62%로 고령화 사회의 기준인 7%를 넘 어서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령운전자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에서 발생한 존별 고령운전자 교통사고의 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사고빈도 모형 및 사고 심각도 모형을 개발한다.
1990년대 이후 국내의 산업 발달과 함께 중차량 교통량이 늘어나고 폭염, 폭설, 폭우 등 이상기후 일수 가 증가함에 따라 소성변형으로 인한 포장파손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일반 아스팔트 포장인 가열아스팔트 포장(HMA, Hot Mix Asphalt)으로는 소성변형의 발생 억제에 한계가 있어 장수명 포장 공법이 90년대 중반부터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며, 국내에 도입된 장수명 아스팔트포장 공법으로는 개질아스팔트 포장(PMA, Polymer Modified Asphalt), SMA(Stone Mastic Asphalt)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장수명 아스팔트포장의 적용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일반국도에서 축적된 PMS DB를 활용하여 장수명 아스팔트포장의 공용성 예측 모형을 만들고, 이를 근거로 장수명 아 스팔트포장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공용 중인 일반포장과 장수명 포장의 과거 유지보수 이력자료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수준의 분석과 네트워크 수준의 경제성 분석의 결과 를 검증하고 향후 장수명 포장의 도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기로 한다. 먼저 공용성 모형의 개발을 위해 분석 대상 도로구간의 교통량(AADT)의 크기와 중차량의 통행으로 인 한 교통강도(ESAL)를 기반으로 일반 포장과 장수명 포장의 파손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나아가 이용자비 용의 산정을 위해 포장상태의 변화(악화)에 따른 속도의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현장실험을 통해 얻은 포 장상태에 따른 차량의 속도변화 모형을 적용하였다. 생애주기비용분석 기간 동안에 공공기관이 유지보수를 위해 투입된 비용을 관리자 비용(agency cost) 으로 간주하고 이용자 비용(user cost)은 정부에서 발간된 지침(국토교통부, 2013)의 평가 항목 및 산정 방안을 그대로 따르기로 한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도로유지보수의 우선순위선정은 효율성 지표와 경제성 지표를 함께 도입하였으며, 이용자비용의 증가량(ΔUC)과 장기효율성(long term effectiveness) 지표를 활용하였다. 이용자 비용의 증가량 지표는 해당 도로구간의 유지보수의 시행유무에 따른 효율성을 평가하 는 지표로 유지보수를 시행해야 할 시점에서 유지보수를 하지 않고 1년간 지연(혹은 방치)하여 다음연도 에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 증가하게 되는 이용자 비용의 크기를 산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증가량이 큰 순서 대로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또한 장기효율성 지표를 이용하여 비용대비 교통량의 크기에 따른 포장의 수명의 차이를 고려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장수명 포장의 장점은 비록 초기공사비용 혹은 유지보수를 위한 재료비가 기존의 포장 공법에 비해 고가이지만 분석기간 동안에 유지보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지거나 공용수명이 길어짐 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보수로 인한 혼잡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어 기존 포장공법에 비해 경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장수명 아스팔트포장의 공용성 모형과 경제성 분석을 위한 방안의 제시를 통해 도로 관리자의 입장에서 장기적인 생애주기 측면에서 장수명 포장의 도입 타당성의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 아가 향후 국도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보수구간의 산정과 유지보수 예산의 추정 등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efore and after the Chinese economy reform in 1978. Since China’s inception, its economic development has experienced substantial difficulty. It was not until 1978 that the Chinese population became optimistic about the Chinese economy. The Chinese government reformed the economy, opening a system that had historically been closed off from the rest of the world. This paper is to analyze Chinese logistics industry developed with governmental measures to expand domestic demand has related to national economical ripple effect from macro economy aspect by using an inter industry relation table 2007. Chinese Input-Output table in 2007 is used as a tool of this research and all kinds of ripple effect and relation with other industries is analyze using by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and ‘Value added analysis’.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collection efficiencies due to the time changes of activated carbons were ascertained, and in order to identify the magnitude of adsorption, the before-use and after-use iodine adsorption values were analyz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process and non-continuous process a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the emission standards would be maintained, the continuous process and printing facilities were seen as not being able to maintain the emission standards. Also were found, in the case of non-continuous process,–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pecial nature of the job –for 4Ø palletized charcoal, a collection efficiency near 50% was shown even after 96 hours. Also, when the inlet concentration was about 300ppm, it is thought that the emission standards would be maintained if the activated carbons are replaced within at least 96 hours in the case of 4Ø palletized charcoal and the use was deemed pointless in the case of carb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ssistance in selecting replacement periods for activated carbons and in selecting absorbents at the project sites, and are expected to be of significant help in the selection of precipitators that can collect total hydrocarbons for compliance of the emission standards.
소의 14번 염색체에 위치한 2,4-Dienoyl CoA reductase1(DECR1) 유전자는 polyunsaturated fatty enoyl-CoA의 β-oxidation과 연관된 호르몬으로 지질대사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의 경제형질 관련 DNA 마커 개발을 목적으로 DECR1 유전자 내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SNPs)를 탐색하고, 경제형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부모가 서로 다른 한우 종모우에서 DECR1 유전자 내의 SNP를 탐색한 결과 총 13개의 SNPs를 확인하였고, 이 중 G20788A는 valine(Val)에서 methionine(Met)으로, A23262G는 isoleucine(Ile)에서 valine(Val)으로 바뀌는 missense mutation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도체 성적을 보유한 200두의 한우를 대상으로 missense mutation으로 확인된 G20788A와 A23262G의 유전자형과 경제형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G20788A는 근내지방도와 도체중에서 A23262G는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와 도체중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 할 수 있었고(P<0.05), 이를 통해 missence mutation인 G20788A와 A23262G는 각 경제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탐색된 한우 DECR1 유전자의 SNP 유전자형은 한우 선발 및 개량을 위한 DNA 마커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