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28

        104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a genre-focused English learner corpus,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most frequent error types and their frequencies in English emails written by undergraduate freshmen in South Korea. Data for this study include English emails of 86 Korean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or social science in a university located in Daegu. With the rise of Internet, ESL/EFL education has witnessed a growing interest in teaching email usage in composition courses, as it provides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evaluate language abilities including interpersonal and pragmatic abilities. The present article revealed that the most frequent error type was concerned with style, such as capitalization (28.7%) and punctuation (7.8%), which was followed by determiner deletion (6.3%), genre convention such as closing (3%), countability of nouns (3%), and verb choice (2.7%). Different error types and frequenci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levels (Korean SAT and TOEIC), which evidenced the need to include the English proficiency level annotation in the corpus design and to focus on different types of errors in class in accordance with learners’ proficiency levels.
        6,600원
        104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D프린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3D프린팅에 선행되어야 할 3D모델링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3D모델링 소프트웨어들은 대부분 외국 브랜드에서 개발하였고,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모두 영어되어 있기에 이러한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인 입문자들을 대상으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교육을 수행하기에 는 제약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면서 3D프린팅을 위한 한국형 3D모델링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3D모델링 경험이 없는 사람들로 하여금 입문자들 의 접근이 용이하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무료공개 3D모델링 소프트웨어 123D Design나 Tinker CAD 중 하나로 집 만들기 과제를 수행하게 한 후, 이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Tinker CAD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123D Design에 대한 것보다 호의적이고, 전자를 경험하면서 발생한 오류가 후자를 경험하면서 발생한 오류보다 적으며, 전자에서 과업을 완료한 사람의 비율이 후자에서 과업을 완료한 사람의 비율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논의에 서는 Tinker CAD의 특성(입체도형을 통해 쉽게 모델링 가능)과 웹 기반 구동방식을 적용한 입문자 교육용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 및 123D Design의 특성(세밀한 치수조작과 도형정렬 가능)과 윈도우 기반 구동방식을 적용한 초?중급 자 교육용 3D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을 제안하였다.
        4,900원
        1043.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국의 다양한 영화기금정책 중 관객교육과 관련된 지원정책에 대한 것으로, 영국 영화기금의 조성 현황, BFI의 영화기금 지원정책, BFI의 영화교육 또는 관객교육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첫째, 영국 영화기금의 조성은 다양한 정부 기금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대표적인 기금은 국가복권기금과 영국 국세청기금으로 전체 금액의 60%를 점유하고 있다. 둘째, BFI의 영 화기금 지원정책은 크게 영국영화지원과 영화교육에 집중하고 있다. BFI 지출의 상당부분은 영 국영화에 대한 제작 지원금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영국 내 미국영화의 점유울이 높아짐으로 써 독립적이고 실험적인 자국 영화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셋째, BFI는 자국 영화 제작지원과 함께 영화교육에 대한 지원도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BFI의 영화교육은 1960년대 이후 계속해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그동안 매우 다양한 접근과 실천이 이루어져왔다. 최근에는 Into Film 프로젝트를 통해 많은 수의 학교에서 영화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Into Film은 그동안 FILMCLUB과 First Light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다루면서 영화교육의 확대를 지향하고 있는 프 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BFI 다양한 프로젝트는 일정한 기간을 두고 실험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 일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4,800원
        1044.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식정보사회 국내외 경제 환경은 변화 속도는 무척 빠르다. 미래 경제에 대한 논 의에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 지식정보사회에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서는 창의·융합형 인재가 필요하다. 지식이 단편적인 상태에서는 온전한 가치를 지니지 못하며, 전체적인 관계 속에서 구체적인 생활에 토대를 두고 질서를 이룰 때 학습자의 삶과 유기적으로 맞닿게 된다. 분과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문 간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교육의 패러다임은 ‘융합 교육’이라는 방향을 제시한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부딪히는 많은 문제들은 대부분 ‘선택’의 문제 고, 그 의사결정의 과정에는 경제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특히 합리적 금융의사결정 의 문제는 단지 개인적 차원의 일로만 볼 수 없다. 금융교육의 필요성에도 불구하 고 현재 학교 교육에서는 여러 제약으로 금융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는 실정이다. 2016년 자유학기제가 전국의 중학교에 전면적으로 도입됨에 따라 제 약 여건에서 벗어나 재량에 따라 독자적인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 다. 융합역량의 필요성과 금융교육의 필요성을 고려해, 융합 금융교육을 제안한다. 융합 금융교육은 1) 생활에 필요한 핵심적인 금융개념을 여러 학문 분야와 결합해 2) 개인, 사회, 세계적 차원의 다양한 맥락 하에서 3) 학생들 문제와 연결해 다양 한 탐구학습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융교육표준안의 핵심 금융 주제를 융합 교육의 주제로 삼아, 학습자가 스스로 상황맥락에 맞는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프로 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하면서 개념이해를 돕는 시뮬레이션 학습을 결합하면서 수학, 예술 등 여러 분야와 연계해 수업할 것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주제에서 인과관계 사고를 하는 훈련도 함께 할 수 있도록 지도하면 더 좋을 것이다. 가능하다면, 학습자가 금융소재의 실제상황의 문제를 해결한다거나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는 아이 디어를 내는 스스로 찾아 솔루션을 찾아가는 프로젝트 기반학습으로까지 발전해나 가길 바란다. 금융교육이 개인차원의 금융소양 교육에 머물지 않고 민주시민, 나아 가 세계시민으로서의 금융소양을 기르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논의가 되었으 면 한다. 학습자들이 개인적 차원의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적, 세계적 차원의 문제도 자신의 문제로 고민하고 여러 사람이 함께 해결해나가려는 과정 속에 배려, 협력, 그에 따른 혁신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길 기대한다.
        5,700원
        104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인당 교육훈련비 와 경영성과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1인당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비와 경영성과 지표를 업종별·규모별로 구분하 였고, 직무수행능력, 노동생산성, 기업이미지, 근로의욕, 이직방지의 다섯 가지 변수를 경영성과 지표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교육훈련 투자가 많이 이루어지 고, 금융업과 비금융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2배 이상 많은 투자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경영성과는 직무수행능력 향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근로의욕 향상, 노동생산성 향상, 기업이미지 향상, 이직방지 향상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 결과, 교육훈련 투자와 경영성과 간에는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1인당 교 육훈련비가 증가 할수록 기업의 경영성과도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교육훈련 투자가 경영성과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4,500원
        1046.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에서는 2009년과 2015년 교육과정개정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 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특히 연극교육은 다른 장르의 예술교육보다 새로운 교육정책이 요구하는 학생들의 창의력향상과 부합하고, 통합교육의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대안적 모델로 평가된 다. 최근 2014년 9월 24일에 발표한 ‘2015 교육과정 개정안’에는 초등학교 국어교과에 연극이 대 단원으로, 중학교 국어교과에는 단원으로, 그리고 고등학교 예술교과에서는 일반선택과목으로 포함될 수 있는 내용이 담겨있다. 서구의 경우에도 연극의 교육적 중요성은 오래전부터 인식되어져왔다. 많은 경우에 공공사회 에서 올바른 시민역할의 확립과 사회적 교류의 가능성을 익히는 주요한 교육적 도구로써 연극을 활용하였으며, 현재 제도권 교육시스템 내에서 연극은 공공사회에서 개인의 역할인식과 올바른 사회적 관계성 유지를 위해 주요한 교육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의 오랜 역사와 변화의 과정을 거친 유럽의 대표적 국가인 독일의 학 교연극교육의 교육적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독일연극사에 공연이론과 제작에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 독일 연극교육 프로그램에 영향을 끼친 베를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의 교육극(또는 학습극)에 대한 생각을 살펴봄으로 현 한국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력 증대와 융합(통합)교육이 독일 연극교육에서 어떻게 실천되는지 직, 간접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배경에는 연극교육이 現 국내 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력 증대와 융합(통합)교 육제시를 위해 적합하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앞으로 연극교육이 한국 문화예술교육 정책적 방향 성을 구축을 위해 큰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는 논지가 담겨있다.
        4,600원
        104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ion training using video debriefing on the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tudy design was control group pre-and post-test non-synchronized experimental design. The sample included two teams of 138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feedback after the simulation was run, and then the team was debriefed through the video recorded video in the debriefing room,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oral debrief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0, 2015 to December 10, 2015,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and t-test. Results: The scores of the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 who received the video debriefing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who received the oral debriefing training (control group).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debriefing using video in the simulation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bility to perform problem solving process and improvement of learning satisfaction, so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also helps strengthen nursing capacity.
        4,000원
        104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긍정적 탐색(Appreciative Inquiry)을 활용하여 교사교육을 실행 한 사례로 부적 응 유아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에 참여한 유아교사 5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교사교육은 긍정적 탐색의 4-D 프로세스 수업모형에 따라 이루어졌고, 수업 종료 후 교육의 만족도를 살 펴보았다.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교사교육은 첫째, 4-D프로세스 운영을 위한 긍정 주제를 선 정하고, 둘째, 긍정 질문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부적응 유아 지도 최고의 경험을 발굴하고, 이 루고 싶은 이미지를 꿈꾸고, 이미지를 달성하기 위한 디자인하기, 실현하기 등의 단계로 진행 되었다. 그리고 교사교육의 만족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긍정적 탐색을 활용한 교사교육 은 교사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계기를 만들고 부적응 유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 대상 교사교육의 방법론으로 긍정적 탐색을 처음 시도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긍정적 탐색 활용의 실제 적용 가능성 및 그 효과를 보 여줌으로써 유아교사 대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000원
        1049.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의 금융교육은 교육의 주체에 따라서 크게 학교 금융교육과 학교 밖 금융교육으로 나뉜다. 학교 밖 금융교육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지만 학교 금융교육 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데에는 재고의 여지가 없다. 이 연구에서는 가장 먼저 금 융 역량의 의미와 중요성을 언급한 후, 학교 금융교육이 중요한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학교 금융교육의 질적 향상과 효과 제고를 위한 제언을 제시한다. 학교 금융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학생 자신이 이미 중요한 금융 소비자이며, 사회에 진출하기 전에 금융 역량을 지니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금융 역량의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편성과 형평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학교 금융교육이 바람 직하며 단계적이며 체계적인 금융교육을 가능하게 해주는 곳도 학교이기 때문이다. 학교 금융교육을 통해 표준화된 교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장 실패 문제를 해결하 고 사회적 최적 수준으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도 학교 금융교육이 중요한 이유이다. 학교 금융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 과도한 욕심을 부려 너 무 많은 내용을 학생에게 가르치지 말아야 하며, 지식 외에 바람직한 태도, 가치, 기능, 습관, 행동을 함양할 수 있도록 금융교육 내용을 마련해야 한다. 과목 사이의 체계성과 연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수학, 국어 등과의 융합을 통 한 금융교육을 실행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6,300원
        105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nurses on nursing stress and clinical competency of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at general ward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experimental group (n=34) received a lecture and team simulation. The control group (n=36) received only lectures without simul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and t-test with SPSS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death and dying 13.14±1.50 (t=7.19, p<.001), conflict with physicians 7.06±2.51 (t=5.82, p<.001), inadequate preparation 6.16±4.17 (t=4.49, p<.001), problems with peers 13.33±7.05 (t=4.09, p<.001), problem relating to the supervisor 13.51±4.03 (t=2.09, p=.030), workload 17.08±6.19 (t=5.76, p<.001), uncertainty concerning treatment 12.13±6.45 (t=2.21, p=.020), patients and their families 16.37±6.38 (t=3.34, p<.001), discrimination 5.66±2.79 (t=2.39, p=.013) and higher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5.14, p<.00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cardio-pulmonary emergencycare for nurses at general wards is useful to decrease nursing stress and improve clinical competency.
        4,300원
        1051.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provides a review of research published since 1990 on the beneficial effects and current situation of animal assisted education. Animal Assisted Education (AAE) is goal-directed interventions designed to promote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ing of the person(s) involved and in which a specially trained dog-handler team is an integral part of the educational process. AAE is directed and/or delivered by an educational professional with education, licensure, and specialized expertise and within the scope of education. AAE may be provided in a variety of settings, may be group or individual in nature and may be implemented for persons of any age. There are specific educational goals for each individual involved and the process is documented and evaluated. Future research employing more rigorous designs and systematically building upon a clearly defined line of inquiry is needed to advance our knowledge on the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of the education programs trough animal-assisted intervention with animals.
        4,900원
        1053.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산 산림버섯의 수요확대와 재배기술 요구에 대응하여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센터에서는 표고버섯의 활성화와 안정적 저변확대를 위해 수준별 교육으로 표고버섯의 초급교육 및 전문가양성교육을 진행 하고 있으며, 2017년 국산 산림버섯 품목의 개발 및 보급확대를 위해 신규로 목이버섯 재배기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표고버섯 초급교육은 매월 1회, 1일 8시간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표고버섯 전문가양성교육은 년 1회, 1년 동안 1주씩 5차에 걸쳐 총 5주간 실시하고 있고, 목이버섯 교육은 격월 1회, 1일 5시간 교육으로 진행하고 있다. 표고버섯 초급교육은 귀산촌인, 재배희망자를 대상으로 이론교육 및 현장견학으로 2011년부터 시행하여 2011년(302명), 2012년(807명), 2013년(1,077명), 2014년(1,110명), 2015년(1,116명), 2016년(869명), 2017년 현재 5기(336명) 진행하였다. 표고버섯 전문가양성교육은 이론 및 실습, 선도임가 현 장견학 과정으로 2011년부터 시행하여 매년 1기수씩 수료하였으며, 2016년까지 6기 교육생을 배출하였으 며, 2017년 현재 7기 교육과정을 진행중이다. 목이버섯 교육은 귀산촌인, 재배희망자를 대상으로 이론교육 및 현장견학으로 2017년 1월 1기 시범교육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3기(131명) 진행하였다. 이외에도 순회교 육, 상설교육, 현지지도 등 매년 약 3,000여명 지도 및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1054.
        2017.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Konzepten und Ansätzen der Landeskunde, die sich in Bezug auf die jeweilige soziale Situation und den Lernerbedarf historisch entwickelt haben. Im Fachbereich Germanistik herrscht seit 20 Jahren die Krise der Geisteswissenschaft. Statt Literaturveranstaltungen, die von Studenten abgewählt werden, wurde Landeskunde als ein neues Veranstaltungsangebot in den Vordergrund gestellt, damit die Germanistik wieder einen Aufschwung erleben kann. Aber in Korea wurden die Begriffe, Konzepte und Inhalte der Landeskundeveranstaltungen noch nicht festgelegt, z.B. ist unklar, was man unterrichten soll und auch wie man unterrichten soll. Aus diesen Gründen wurde in der vorliegenden Arbeit versucht darzustellen, wie Landeskunde im Fachbereich Deutsch als Fremdsprache in Deutschland diskutiert wird. Zuerst wurde die historische Entwicklung der Landeskundeansätze vorgestellt, wobei das Konzept und der Inhalt bzw. die Schwerpunkte diskutiert werden, was mit den Zielen und dem Lernerbedarf des Fremdsprachenunterrichts zusammenhängt. Darüber hinaus wurde am Ende der Arbeit ein didaktisches Konzept kurz vorgestellt. In Korea werden im Rahmen der Universität die zahlreichen Landeskundeveranstaltungen meistens von Literaturwissenschaftlern angeboten, sodass der Themenbereich Literatur als Kultur zu sehr hervorgehoben wird, was dem Bedarf der Lerner und der Gesellschaft überhaupt nicht entspricht. Kommunikative und interkulturelle Landeskunde beschäftigt sich mit der Situation und Themen bzw. Inhalten, die unsere Lerner motivieren, weil solche mit ihnen selbst und ihren Interessen sehr eng verbunden ist.
        4,800원
        1055.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어린이들이 중국어를 배우면서 접하는 한자의 학습에 대해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경험에 근 거한 교수법과 방법론 위주로 논의가 이루어지며, 무엇을, 언제, 어떻게 도입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 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학습자의 연령 요소와 그에 따른 인지 발달과 관련된 고려가 부족한 편이다. 본고는 이에 중국 어린이의 한자 읽기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어린이의 한자 교육에 어떤 시사점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알파벳 등 표 음문자를 사용하는 어린이가 발달적 읽기 장애가 있는 경우, 이들의 기억력 장애는 시각적-공간적 자극 처리 능력보다는 음운 인식 능력과 관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중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들이 중국어 읽기 능력의 습득에서 작업 기억의 중요성을 조사하여, 중국어 한자 읽기 에서 음운 인식과 시각적 자극에 대한 처리의 기능을 다각도로 관찰,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 지는 어느 한쪽을 지지하는 유력하고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중국 어린이 학습자가 언 어적 환경과 인지 발달 단계에 따라 한자 읽기 습득에 있어 음운과 시각적 정보, 두 유형의 인지적 처리 기술이 서로 다른 처리 기제를 가질 수 있으며 두 가지 모두 한자 변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및 학습에서도 한자 읽기의 교수와 학습은 학습자의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교수요목과 교수방식을 선택해 야 하며,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6,300원
        1056.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교육 연구자는 한문교육 전반에 걸친 여러 문제점, 과제, 실태 등을 살피고 이를 해결하거나 파악하기 위해 적절한 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 및 활용한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 과 양적 연구 방법으로 나뉜다. 한문교육 연구 영역에서 연구 방법에 대한 논의의 시작과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한 한문교육 연구의 실질적인 시작은 그다지 오래되지 않았다. 특히나 한문교육 연구에서는 최근까지도 통계를 이용하는 양적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한 연구 결과가 지속적으로 학계에 보고되는 현 상황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교육 연구에서 과학적이고 객관 적으로 도출되는 통계적 결과가 중요하다는 인식 증가의 방증(傍證)이다. 다만 통계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증가하는 만큼 부정확한 연구 설계, 통계 결과의 분석과 해석 오류 등의 문제점 또한 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 방법 중에서도 통계 방법이 한문교육 연구에 적용된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연구 설계부터 통계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에 빈번히 드러나는 기본 개념 오류에 대해 논의하여 향후 양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에 발전적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5,500원
        1057.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대상의 한자교육의 학습 효과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의 주요 내 용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향후 한자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언어교육적 관점에서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거시적 관점에서 한자 교육 연구의 현황을 살핌과 동시에 지향해야 할 몇 가지 화두를 제시함으로써 한자 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사고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에 대하여 크게 4가지 범주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미래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한자 교육 연구이다. 미래핵심 역량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육을 둘러싼 환경이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한자 교육의 철학과 정체성을 정립해야 한다는 접근이다. 둘째, 문식성 발달 단계를 고려한 한자 교육이다. 한자・한자어 학습에 대해 학생들이 보이는 문식 적 특징을 귀납화하여 객관적이고 타당한 발달 지표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과학적 증거에 기반을 둔 교수 행위로서의 한자 교육이다. 한자 교육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기초로, 연구의 설계에서부터 검증에 이르는 과정과 그에 따르는 결과가 객관적이고 타당하 며, 신뢰할 만한 수준을 보여주어야 한다. 넷째, 한자 의미의 스펙트럼에 대한 연구이다. 한자 교육이 어휘 교육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어의 정의뿐만 아니라 의미 구조, 의미 관계, 의미 확장 등 한자 의 미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가 요구된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