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30

        6141.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소원자를 포함한 강유전체 Li(NH4)SO4의 중수소 치환형인 Li(ND4)SO4 단결정에 대해 X-선과 중성자 회절법으로 결정구조를 연구하였다. 이 결정은 상온에서 사방정계이고 공간군은 P21nb이다. 격자상수는 a=5.2773(5) a, b=9.1244(23) a, c=8.7719(11) a이며 Z=4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에 설치된 중성자 4축 단결정 회절장치로 중성자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X-선 회절데이터는 일본 동북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측정하였다. X-선 회절법으로 수집한 1450개의 독립 회절반점에 대하여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여 최종 신뢰도값 R=0.070을 얻었으며, 중성자 회절법으로는 745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R=0.049을 얻었다. X-선 회절데이터 분석 결과 결정구조 내의 수소원자 중 1개의 위치만을 얻었으나, 중성자 회절법으로는 NH4 사면체의 수소/중수소원자의 위치는 물론 H를 치환해서 들어간 D의 점유율을 정련하여 측정시료의 평균화학식이 LiND3.05H0.95SO4임을 밝혔다.
        6142.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에서는 전․후면판 공용방식의 접합부를 갖는 강-PSC 혼합구조의 휨모멘트와 처짐의 관계 및 하중과 변위의 관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 접합부(R형) 방식과 개선된 접합부 방식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프리스트레싱력이 강-PSC 혼합구조의 하중과 변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접합부 형상에 따라 프리스트레싱력을 도입한 경우와 도입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개선된 L형 전후면판 공용 접합부 방식의 하중-처짐 및 파괴모드를 비교․분석한 결과, 프리스트레싱을 가한 개선된 접합부 방식이 기존 접합부 방식에 비해 보다 우수한 하중저항성능을 나타냈으며, 강도 및 강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선된 접합부 방식을 강-PSC 혼합구조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6143.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SD500 고강도 철근에 적합한 강관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개발한 후에 실물크기의 20개 실험체를 제작하여 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강도를 비롯한 구조성능을 철근의 정착길이, 슬리브의 타입, 철근의 규격과 같은 실험변수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 국내기준을 비롯한 주요기준에 따라서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SD500 고강도 철근용으로 개발된 강관 스플라이스 슬리브 철근이음은 주요기준에서 요구하는 구조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SD500 고강도 철근용 슬리브 철근이음에 대한 구조설계 기준 확립을 위한 기술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6144.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언어적 진술로 구성된 내적 또는 외적 주의초점 피드백에 따른 차별적인 학습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관절의 협응구조 패턴을 구간별로 비교하였다. 피험자는 Y대학교 남학생 36명으로 골프과제에 대한 사전경험이 없는 오른손잡이 학생들로 구성하였으며, 각 집단에 10명씩 무작위로 할당 되었다.실험설계는 습득단계3(집단)3(날짜)9(분단) 요인설계하에 마지막 두 요인을 반복 측정하는 삼원 변량분석이 사용되었으며 파지검사에서는 3(집단)2(분단)의 요인설계하에 마지막 요인을 반복 측정하는 이원변량 분석이 사용되었고 영상자료의 피험자는 각 집단 중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나타낸 한명을 대상자로 총 3명의 데이터를 질적 분석하였고, Lab View 6.1 버전을 사용하여 팔꿈치각과 무릎각간의 동종사지 간 협응과 동측사지 간 협응의 각도 대 각도 협응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습득단계에 대한 수행점수의 분석에서 날짜와 집단의 상호작용은 외적 주의초점 피드백 집단의 유효성을 보여주는 충분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연습의 마지막 날 내적주의초점 집단과는 다르게 외적주의초점 집단만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고, 또한 그 집단만이 3일간의 연습을 통해 꾸준한 점수의 상승을 보여주었다. 즉각 파지검사의 집단에 대한 주효과 분석에서 외적주의초점 집단만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서 간접적이지만 차별적인 우수성이 입증되었고 보다 확실한 증거들은 지연 파지검사에서 생산되었다. 즉, 집단과 분단의 상호작용의 분석에서 분단 2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들은 외적주의초점, 내적주의초점, 통제집단의 순으로 우수한 학습을 유도한다는 것을 비교적 명확히 보여주었다. 둘째 외적 주의초점에 의해 언어적 진술로 유도된 피드백이 내적 주의초점에 의해 유도된 피드백의 언어적 진술보다 협응구조 패턴에서 숙련자와 유사한 패턴의 변화를 보였다.
        6149.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 목표 ○ 약용 또는 식용으로 이용이 많은 식방풍 대상의 한반도 남해안 식생구조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 따라 군집단위를 중요시하는 종조성표(floristic composition table)의 분류법과 종개체군(species population)의 환경요인을 중요시하는 배열법(ordination)을 모두 적용해 한반도 남해안의 식방풍군락군에 대한 자생지 식생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자원식물의 생육특성은 물론 적정 재배기술의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수행했다. 조사 및 방법 ○ 조사는 한반도 남해안의 서쪽 목포(북위 34˚40´)와 동쪽 양산(35˚10´) 이남에 자라는 식방풍과 그 군락을 대상으로 2005년 9월부터 2006년 9월까지 10차례에 걸쳐 실시했으며, 식생분석은 조사구(방형구, releve) 56지점에 대한 Braun-Blanquet(1964)의 측도와 Hill(1994)의 유집분석(cluster analysis)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으로 군락을 구분했다. 결과 및 고찰 ○ 식방풍군락군의 식생은 크게 억새군락(Miscanthus sinensis community)과 갯까치수영-돌가시나무군락(Lysimachia mauritiana-Rosa wichuraian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으며, 억새군락은 하위단위의 밀사초군락(Carex boottiana community)과 땅채 송화군락(Sedum oryzifolium community)으로 분류됐다(Table 1). ○ 환경요인의 배열법에 따른 식방풍군락군의 분포는 억새군락이 내륙육지에서부터 해안선 근처까지 넓었고, 갯까치수영-돌가시나무군락은 건조하고 햇빛이 있는 곳에 분포했다. 대륙해안과 도서해안별 분포는 억새군락이 도서해안이었고 갯까치수영-돌가시나무군락이 대륙해안이었다(Fig. 1). ○ 식물사회학적 종조성표의 군락분류는 요인분석과 유집분석과도 일치하거나 유사했으며, 식방풍의 자생지 생육은 해안선 방향의 완만한 양지에서 양호했다.
        6150.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대형 부체구조물은 파랑중 유탄성 변형이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수평식 몰수평판과 같은 파랑에너지 흡수장치의 부가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몰수평판에 의해 야기되는 유체력 간섭현상이 폰툰형 부체구조물에 작용하는 라디에이션 유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수치적인 해석을 통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폰툰형 부체구조물과 몰수평판의 상하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라디에이션 유체력을 계산하기 위해 고정격자계와 이동격자계로 구성되는 중합격자법을 토대로 한 수치계산법을 개발한다. 또한 쇄파현상과 같은 비선형성이 강한 자유표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한차분법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실험데이터와 비교함으로서 수치계산법의 신뢰성을 확인한다. 몰수평판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력 간섭 영향의 특성을 분석하여 부체구조물의 파랑중 유탄성 변형에 미치는 그 효과에 대하여 논의한다.
        6151.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방향 불규칙파 중에서의 인장계류식 해양구조물(TLP)의 구조응답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다방향 불규칙파가 구조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 인장계류식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파강제력과 동유체력은 3차원 특이점분포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외각요소에 대해 평가하였다. 3차원 골조요소로 모델링하여 유한요소법에 의해 구조응답을 평가하였으며, 인장계류식 해앙구조물의 각 외각요소간의 유체역학적 상호간섭을 고려하여 구조응답을 해석하였다. 구조응답의 주파수 응답함수와 다방향파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다방향 불규칙파에 대한 해양구조물의 구조응답 스펙트럼을 구하여 다방향 불규칙파가 인장계류식 해양구조물의 구조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6153.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the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in rural area for the last 45 years, and to forecast mid and long term structure of the population in the near future. Moreover, forecast has been done whether the rapid increase by the inflow of foreigners has any effect on the structural change in rural popul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rural area is experiencing a rapid decrease in population, a rapid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the aged, and foreigners. To resolve the problematic situation mentioned above, some effective counterplan has to be considered by all agencies concerned.
        6154.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후화된 PSC Beam 교량은 개선된 보강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성능저하가 발생된 노후 PSC Beam 교량을 대상으로 PSC Beam 교량의 보강형을 폐단면 박스형태로 변환하여 이차합성 구조화함으로써, PSC Beam 교량의 강성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박스형 보강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보강방안과 기존의 외부프리스트레스 도입공법을 결합하여 보강할 경우, 보강효과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시공단계해석에 따른 시간 의존적 정밀해석을 수행하였다. 성능개선을 위해 제안된 박스형 보강방안 적용 시 보강방법에 따라 전단면 및 휨 보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보강방안을 제시한 후, 각각의 보강방안에 대해 이차합성 효과에 따른 상향캠버 및 부재응력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내하력 평가를 수행하여 내하율을 검토함으로서, 개선된 PSC Beam 교량의 구조 안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615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에서는 RC구조물의 접착 보수․보강 재료의 박리와 연관한 변형 거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응력-변형곡선에서 최대응력 이후 항복을 일으킬 수 있는 변형량은 바탕재인 시멘트 모르터의 경우 2.0×10-3, 콘크리트는 1.3×10-3 전후이고, 접착제인 에폭시수지 0.8×10-3, 폴리머 시멘트 모르터 2.5×10-3이며, 보강재인 강판과 탄소봉은 2.5와 9.1×10-3정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온도변화에 따른 선팽창계수는 바탕재인 시멘트 모르터 및 콘크리트의 경우 10με/℃전후인데 비하여, 접착제인 에폭시 수지는 41~54με/℃, 폴리머 시멘트 모르터는 -0.5~0.7με/℃, 보강재인 강판은 바탕재료와 비슷하지만, 탄소섬유는 -1.7με/℃로 제일 작은 값이었다. 특히 바탕재료인 콘크리트와 에폭시수지 접착제간에는 온도변화에 따른 선팽창계수 차이가 크게 발생하였는데, 에폭시 수지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20~35℃이상의 온도차가 발생하는 조건이면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콘크리트 접착면에서 자연적으로 박리 할 수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6157.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2001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와 2006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31개 자동기상관측에 의한 지표 근처 기온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 지역 도시 열섬의 시ㆍ공간적 구조 분석 및 그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서울의 도시 열섬 구조는 주간 보다는 야간에 더 강하게 나타나고, 특히 여름철에 가장 작게 발달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온 분포의 공간구조 변화 경향은 송파 및 광진구를 중심으로 한 남동 지역에서 크게 확장되었다. 이는 송파 및 광진구 지역 주거 지역 조성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일 최대 도시 열섬 강도는 주간 보다는 야간에 높게 나타났으며 새벽 시간대에 가장 크게 발달하였다. 그러나 최대 도시 열섬 강도의 빈도는 새벽 시간대보다는 한밤중에 더 빈번하였다. 이는 교외 지역의 기온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계절에 따른 최대 도시 열섬 강도는 겨울철을 제외하고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강우량과 강우 일수의 분석을 통해 서울의 도시 열섬 구조는 토지 이용 변화에 따른 인공열 변화의 영향 뿐 아니라 그 해의 기후적 특성에도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158.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향상된 가시성 검사를 수행하여 기존의 중-텍스처링 구조에 비하여 데이터 전송량 및 깊이 캐쉬의 셀 면적을 감소시킨 픽셀 파이프라인 구조를 제시하였다. 제안하는 구조는 인접한 픽셀들 간의 가시성이 동일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하여 한 번의 가시성 검사만 수행하면서도 중-텍스처링 구조와 대등한 성능을 보이는 픽셀 파이프라인 구조이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구조는 중-텍스처링 구조에 근접하는 성능을 보이면서도 깊이 캐쉬의 전송량은 평균 25%, 깊이 캐쉬의 면적은 약 40%가 감소하였다.
        6159.
        2007.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고준위폐기물 처분용기를 지하 심지층에 처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구조설계 요구조건과 구조안전성 평가 기준을 도출하였다. 고준위폐기물은 높은 열과 많은 방사능을 방출하기 때문에 고준위폐기물을 넣어 보관하는 처분용기는 그 취급에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고준위폐기물 처분용기는 장기간(보통 10,000년 동안) 안전한 장소에 보관되어야 한다. 보통 이 보관 장소는 지하 500m에 위치한다. 지하 깊은 화강암에 고준위폐기물을 보관하도록 설계되는 처분용기는 내부주철삽입물과 이를 감싸고 있는 부식에 강한 와곽쉘, 위 덮개와 아래 덮개로 구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지하수압과 벤토나이트 버퍼의 팽윤압을 받는다. 따라서 고준위폐기물 처분용기는 심지층에 보관 시 이들 외력들을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만약에 발생 가능한 모든 하중조합을 고려한 처분용기 설계가 되지 않으면 심지층에 위험한 고준위폐기물 처분 시에 처분용기에 소성변형이나 크랙 또 좌굴같은 구조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심지층에 처분용기를 처분 시에 처분용기에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구조해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해석 수행에 앞서 처분용기 설계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평가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요구조건(설계변수)이 명확히 검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처분용기의 구조설계 요구조건(설계변수)과 구조 안전성 평가기준을 도출하고자 한다.
        616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정액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정자의 미세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정액량과 정자 농도, spermatocrit는 각각 , , 였다. 정장의 화학적 조성에 있어서 potassium , sodium , chloride , calcium , magnesium , glucose , 총단백질 , 총지질 였으며, 삼투질농도와 pH는 각각 and 였다.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정자는 첨체가 없는 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