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12

        1301.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사용되는 교량 강재의 부식 방식은 도장 방식이며, 이는 도막의 구성물이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기능이 감소되거나 상실된다는 문제점 및 교량의 하부 교대 및 교각, 교좌 장치 등의 안전 점검 및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압전소자 및 진동 발전을 이용한 에너지 회수기술로서 발생된 녹색 에너지를 이용하여 철근 부식, 강합성 교량 및 강교량의 부식에 대해 전기 방식 중 외부 전원법의 활용에 대한 기초 연구를 하였다. 지하철의 경우 도상에서 평균 1km 당 자갈도상에서 5.76MW·h, 콘크리트 도상에서 0.58MW·h 의 전력이 발생 되고, 차량의 하중을 이용한 압전 소자로 발생되는 전력은 약 4차선 도로 기준 1km당 약 166kW가 발생된다. 강재 방식 중 외부 전원법의 애노드 강재 보호 반경은 약 2m 이며 6~12볼트의 직류 전기가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녹색 에너지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외부 전원법의 전류 공급을 하여 교량 강재의 부식 방식 및 효율적으로 유지관리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1302.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세계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교량의 장대화등 특수교량이 늘어나며 예측할 수 없는 대형 자연재해와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보다 지능적인 점검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다. 교량 유지관리는 안전점검을 통하여 교량의 수명을 최대화 하며 사고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만큼 중요시 되지만,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구조물의 점검은 대부분 육안점검이나 수동 측정 장비에 의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접근이 가능한 구간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기존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계측만을 위하여 사용되어 지고 있어 계측을 통한 안전확보가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교량의 신축⋅회전 변위흡수, 하중전달의 역할을 하는 핵심적인 교좌장치의 기존 점검방식 문제점을 개선한 유비쿼터스 자동점검시스템을 제시하며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술과 LVDT,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좌장치 이동변위를 전송받고, 이동변위의 설정된 한계 값을 초과할시 교량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VMS와 SMS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점검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1303.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수질 환경 문제가 많이 발생함으로서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오염된 하천을 회복시키기는 많은 비용과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됨을 볼 때 하천 수질관리 시스템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관리시스템은 현장 조사와 단순모니터링에 의존하여 실시간으로 하천수질상태를 측정, 알림, 통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하천에 유량이 유입되는 주요지점에 수중환경감지 센서설치 및 USN, 수중환경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주변오염지역 감지 및 수중환경상태를 실시간 감지하여 이상 징후 발생이 예상되는 시설물을 D/B 관리하는 지능형 수중환경 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1304.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축물의 지진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국내에서도 다양한 실험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건축물의 내진성능 진단방법 중의 하나로 전문가진단법과 같이 정량적인 내진평가를 얻기보다는 비전문가에게 사용 건축물의 구조적 이해를 돕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인이나 건축물 관리자, 또는 비전문가가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진단법이 미국, 일본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건축물 가운데 전통 기법으로 축조된 목조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는 내진성능 평가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해외 목조 건축물의 매뉴얼 및 진단지침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국내·외 9개 기초자진단법의 비교분석을 통해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일반적・구조적 평가항목을 도출하였고 소유자나 일반인, 관리자가 목조 건축물의 내진성능에 대해 이해하기 쉽도록 사진과 그림이 첨가되고 항목수가 10개, 20개 항목으로 된 2가지 종류의 기초자진단법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또한, 목조 건축물의 내진성능 기초진단법 적용성 분석을 위하여 실제 사용자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80%가 내진성능에 대한 정보 습득 경험이 없고 본 매뉴얼 정보에 대한 유용성과 활용성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1305.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항만은 유비쿼터스 개념의 U-Port로 많이 변화되어 가면서 안전과 운영관리에 대한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이런 시스템들은 선박 입출항 및 선박의 승무정원, 컨테이너 자동화 시스템 등에 관한 각각 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항만 시설물 유지관리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안전관리와 적정 수준의 유지관리 여부를 수시로 점검하는 시스템은 찾아보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하는 항만 운영시스템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수시로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선하고 항만 구조물 관리 및 제어, 자연재해 U-경보를 통한 예방 지능화등 기존 항만의 기능을 지능화 하여 극대화시키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은 유비쿼터스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기존 IT 기술과 건설 기술의 융합을 통하여 항만 건설의 미래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항만 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게 적용되는 사항이므로, RFID, RTLS 및 스마트폰, 센서등의 IT기술과 융합을 통하여 항만 전체 리드 타임 단축 및 무인 자동화 녹색 항만 시스템 구축을 하여 항만의 경제적, 시간적,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1306.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철근 콘크리트 강성관인 흄관은 현장 시공 후 사용 중 이음부의 누수와 침하로 인해 하수관거로서의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하수관거의 경제성, 안전성, 사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개발되는 하수관거 기초는 하수관거 자중과 수압, 상재토압, 도로에 작용하는 하중의 영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작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설계가 완성된 하수관거 기초의 기본형 모델을 범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ABAQUS(2009)와 CAD Mechanical(2011)의 3D 모델링을 사용하여 유한요소 해석 결과와 비교하고, 보다 경제적인 설계를 위한 격벽의 종류와 유무에 따라 발생되는 최대응력을 항복응력과 비교하여 적은 재료로 생산 할 수 있는 하수관거 기초의 최적화된 단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고려하여 항복응력과 각각의 모델의 최대응력 및 변위를 통해 적절한 단면의 형상을 제시한다. 그림 1은 기본적인 설계가 완성된 CAD 도면과 ABAQUS 입력모델링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플라스틱 재료(PE2406)의 물성치 정보와 여러 경계조건에 따르는 해석결과를 그림 2에 나타내었다. 그림 2는 하수관거의 크기와 모델, 위치에 따른 최대응력과 항복응력을 비교한 것으로서, 항복응력대비 발생된 최대응력 및 최대변위를 통하여 기초단면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판단 할 수 있다.
        1307.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목구조물의 설계와 시공에 있어서 온도변화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토목구조물의 설계 및 해석에 있어서 물성변화 특성을 고려한 대표적 기후조건에서 각각의 재료의 물성치를 적용하여, 설계 또는 구조해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구조물의 설계 및 해석 시 정확한 온도하중 산정을 위하여 기상청의 기후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 대표 도시를 선정하여, 각 도시의 기상관측소 최대 30년(1982~2011) 기간의 일평균온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각 데이터 값의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토목구조물 설계 및 시공에 있어 고려할 수 있는 최대/최소 온도 변화 값 및 국내 고유의 온도 변화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1308.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첨단산업의 발전과 지구환경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여 시멘트 산업에서도 다각화 측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술들이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새로이 검토되고 있는 시멘트 대체 재료로서 천연제올라이트를 주원료로 사용한 제올라이트 시멘트 콘크리트에 관한 기초 물성에 대해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악취 및 유독가스 제거기능이 우수하며 중금속, 암모니아와 같은 양이온성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능, 흡착능, 분자체효과를 가지며 또한 다공성 물질이라 보온능력이 좋은 것으로 알려진 천연제올라이트와 알칼리 활성제(NaOH)의 양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슬럼프, 블리딩 및 공기량 등을 실험하였다. 천연제올라이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측정결과 거의 40MPa정도로 측정되었으며 슬럼프, 블리딩, 공기량 시험에서도 일반 콘크리트과 비슷한 성능을 나타내어 향후 고성능, 고기능성 건설재료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되어진다.
        1309.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식정보사회에서 직업기초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성공적인 직업인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이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직업 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계고교의 경우 졸업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사 및 산업체의 만족도는 낮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문계 고교 상업계열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중 문제해결능력 및 경력개발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전자계산 실무 교과의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 단원에 적합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을 연구, 적용한 후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이 전통적 실습수업 집단에 비하여 문제해결능력 및 경력개발능력 신장에 더욱 효과기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직업기초능력을 고려한 교육 방법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교 현장에서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도와 노력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1312.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세기 초반 쇤베르크는 무조성과 12음 음악이라는 새로운 음악 어법을 시도하였다. 과 거의 어법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창작 기법을 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쇤베르크는 자신이 독일 음악 전통을 버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확장하여 지속하고 있다고 믿었다. 쇤베 르크의 이러한 역설적 주장은 그의 예술관과 깊이 관련된다. 그는 예술이 ‘아이디어’의 표현 이며, 예술 작품은 그 ‘아이디어’가 구현된 유기적 통일체로 보았다. 예술 작품의 유기체적 본 질에 관한 쇤베르크의 철학과 아이디어를 음악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요소인 ‘기초 악상’ 개 념은 그의 창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드러내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기초 악상’을 제시하고, 음악적 요소들과의 다양한 관계 안에서 변화와 통일성, 긴장과 이완, 구심력과 원심력의 대비 등의 역동적 과정을 만들어내며 유기적 전체를 형성한 다. 이는 쇤베르크의 음악 스타일과 어법의 변화를 초월하여 일관성 있게 존속되는 창작의 본질이며, 과거 대가들로부터 계승한 전통적 패러다임이다. 본 논문은 쇤베르크의 창작 과정 에서 본질적으로 작용하는 음악적 아이디어와 기초 악상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것이 후기 조 성 음악, 무조 음악, 12음 음악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1313.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포형 유출모형에 대하여는 컴퓨터의 발달과 지리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관련정보의 제공이 활성화되면서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분포형 유출모형은 대상유역을 보다 세분 요소화하여 계산하는 이론적이고 물리적인 기반의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매개변수와 2차원 확산파 방정식에 기초하여 지표면에서의 유출량을 계산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기존에 연구되었거나 개발 중인 유출모형은 대부분 Manning-Strickler의
        1315.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도시 재개발 과정에서 중요시되는 도시 워터프런트를 다각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수(水)문화 개념에 입각하여 항구도시 워터프런트를 문화론적으로 해석하고자 시도했다. 본 논문은 안과 밖을 허물고 경계를 희석시키는 물의 속성에 기반하여 바다의 역동성과 집합성, 개방성 속성에 기초하여 워터프런트가 가진 속성을 밝혔다. 그리하여 항구도시 워터프런트가 지닌 경계성, 개방성, 혼종성, 통로적 성격이라는 문화론적 속성이 도시 거주민의 문화정체성 형성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부산의 사례를 통해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항구도시 워터프런트와 거주민들의 문화정체성간의 상관관계를 분명히 하였다. 나아가 이런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가 항구도시 워터프런트 개발의 방향성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131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북한이탈학생들의 의식과 사고방식 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그들의 외모는 남한청소년들과 비슷하지만, 의식, 가치관과 사고방식 등은 매우 다르다. “북한에서는 배고파서 못 살겠고, 중국은 무서워서 못 살겠고, 남한에서는 몰라서 못 살겠다”는 말은 이들이 남한 사회에서 얼마만큼 이질감과 소외감을 느끼고 있는가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이 연구는 주로 북한이탈청소년들을 위한 대안학교인 여명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지도해 온 현장교사들이 파악한 내용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학생들이 남한에서 가정과 사회에서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가를 밝혔다. 학생들은 북한에서의 생활과 탈북과정에서 경험한 불안과 공포 때문에 정서적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 가족이 없이 혼자서 혹은 어머니와 함께 생활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북한이탈 학생들은 “네가 알아서 스스로 결정하라”는 말을 두려워한다. “선생님이 지시하면 그대로 따르겠으니, 이렇게 하라”고 가르쳐 달라고 요구한다. 세상 사람들을 ‘좋은 사람과 나쁜 놈’으로 구분한다. 역사적인 인물들도 마찬가지이다. 오랫동안 북한의 억압적이고 명령적인 체제에서 생활해 왔고, 이분법적 사고방식에 익숙해 있기 때문이다. 북한이탈 학생들의 의식과 사고방식은 그들이 북한에서 어떻게 생활하였으며, 남한에 온지 얼마나 되었고, 남한에서 어떻게 생활해 왔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다. 또한 그들의 의식과 사고방식도 시일이 지나면서 변화되어 간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집단간의 차이를 밝히지 못하고 있다. 비교적 남한에 온지 얼마 되지 않는 북한이탈 학생들의 일반적인 의식과 사고방식을 그들의 언어를 통해서 밝히고 있을 뿐이다.
        1317.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adation of N, N-Dimethyl-4-nitrosoaniline (RNO, indicator of the generation of OH radical) by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plasma. The DBD plasma reactor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quartz dielectric tube, titanium discharge (inner) and ground (outer) electrode. The effect of shape (rod, spring and pipe) of ground electrode, diameter (9 ~ 30 mm) of ground electrode of spring shape and inside diameter (4 ~ 13 mm) of quartz tube, electrode diameter (1 ~ 4 mm), electrode materials (SUS, Ti, iron, Cu and W), height difference of discharge and ground electrode (1 ~ 15.5 cm) and gas flow rate (1 ~ 7 L/min) were evalu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shape of ground electrode and materials of ground and discharge electrode were not influenced the RNO degradation. The thinner the diameter of discharge and ground electrode, the higher RNO degradation rate observed. The effect of height gap of discharge between ground electrode on RNO degradation was not high within the experimented value. Among the experimented parameters, inside diameter of quartz tube and gas flow rate were most important parameters which are influenced the decomposition of RNO. Optimum inside diameter of quartz tube and gas flow rate were 7 mm and 4 L/min, respectively.
        1319.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포페아의 대관식》에 등장하는 포페아와 옥타비아는 둘 다 로마 제국의 5대 황제였던 네로의 부인이었다. 오페라에서 두 여주인공의 캐릭터는 실제보 다 추악하게 왜곡되었는데 이것은 이 작품이 완성되고 초연되었던 베니스 공화국의 정치적 성향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대 로마 역사가인 타키투스, 수에토니우스, 디오 카시우스의 원전을 살펴보고 여기에 기록된 포페아와 옥타비아의 실제 모습과 오페라 속의 모습을 비교 분석하였다.
        1320.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우리나라는 기상이상으로 인한 자연재해 현상의 증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적 및 사회적 재난의 증가로 매년 다양한 종류의 재난, 재해의 피해를 입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교통 방재 분야에서는 자가 승용차 위주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이용자, 노인 청소년, 어린이 등은 재난 발생시 신속한 대피를 하는데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재난 발생시 이용 가능한 수송수단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각 수송수단의 역할 정립하여 재난 영향권 내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이 자가 승용차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통수단(버스, 지하철, 철도, 항만, 항공기 등)을 이용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수송수단의 역할 정립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수송수단의 역할을 바탕으로 재난 발생시 자가 차량을 이용한 대피방안 뿐만 아니라 비차량 이용자(대중교통, 스쿨버스, 관용 및 군용차량 등)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성화된다면 한정된 도로를 통한 대피가 더욱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