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12

        1408.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practicality of horticultural education by suggesting reorganization method and prospects of horticultiral education as urban horticulture. The outcome of research is the contents of hor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related with the cognitive and physical education and building a sense of justice which are educational aims of bloom. Hence horticultural education is undertaken under the larger theme of urban horticulture aiming to create sustainable society where people and nature are organically related. When recognizing the contents of horticultural education, effects of urban horticulture such as creation of pleasent environment and culturing of emo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seven classifications of urban horticulture activity through rotated factor analysis becomes the basis for the recognization in areas such as education material, location, contents and in in-depth studies. It is also expected that increased effort on introducing a new concept into urban horticulture will make horticultural activity more prominent and more appreciated.
        140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study was planning to a rural community space plan for revitalization of aging in rural society and activity of rural older adults. The rural community type was divided 5 categories by local topography characteristics and road system. According to 5 categories, the rural community space plan was consisted of space plan such as consideration for a rural topography characteristics and activity plan by space which analyzed a relations with rural resource and activity of rural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rural community planning showed that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to increase in economic productive activity for rural older adults, moreover to lead a retired oppidan migrate from city to country and to make full use of oppidan's intellectual capacity resource.
        1411.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상교통관리 방법 중에서 국내외적으로 혼잡한 해역에서의 해상교통 흐름을 정류하여 통항선박의 해상교통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항로 설정 및 통항분리대의 설정이다. 항로 및 통항분리대의 설정 시 지침이 되는 설계지침 가운데 국내외적으로 항로 설계지침은 존재하지만 통항분리대에 대한 설계지침에 대한 언급은 어느 문헌에도 없어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하여 설정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통항분리대의 설정 시 해양사고의 감소효과에 대한 연구는 다소 있지만, 통항분리대의 설계지침에 대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통항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설정되는 통항분리제도에 대한 설계지침을 선박 운항자의 관점에서 본 정량적 수치로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통항분리대는 많은 선박의 통항을 분리하기 위한 제도이기 때문에 통항하는 선박의 교통용량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1412.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관특성평가(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는 지속가능한 경관생태학적 설계 및 계획을 찾는데 있어 점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촌경관(Rural landscape)평가방법의 잠재성에 초점을 두고 전문가에 의한 쉐필드 그린벨트의 경관가치 평가가 그린벨트 안이나 주변에 사는 거주자들의 의견을 반영했는지를 연구하였다. 쉐필드 그린벨트지역을 대상으로 경관특성평가를 하였고 설문지 조사 결과는 경관에 전문지식을 갖고 있
        1413.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prout characteristics for 783 sprout soybean lines screened by pure line selection method were evaluated. Those  developed lines were originally collected on farmers fields all around the country. Some of the lines showed higher yield rateof soybean
        1414.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ural landscape is essential resources to reinvigorate rural tourism and local econom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methodology that can assess landscapes of many rural villages based on the data of Rural Amenity Resource Survey. Above all, to make the data of rural amenity resources survey appropriate for landscape assessment, that was reclassified into 4 landscape resource and 12 lower items. Secondly, 4 evaluation standards of rural landscape; weight of landscape resources, weight of lower items, evaluation of lower items as the number, and evaluation of management condition was established by questionnaire survey. Thirdly, the evaluation standards was applied to case study area; Jug-Goc Myeon, Goc-Seong county, Jeollanamdo. Finally, this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other result that management condition was not included in, and the villages that were urgent to improve management condition were selected. As a result, water resource and management condition have great effects on the total quality of rural landscape. Therefore, there are many villages that have peat potentials although that indicates low quality of landscape, now.
        1416.
        2007.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음성군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병설유치원 2학급의 만 5세 유아 28명으로 실험집단 15명(남: 9명, 여: 6명), 통제집단 13명(남: 7명, 여: 6명)이었다. 연구 대상 유아의 연령 분포는 5년 4개월에서 5년 6개월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년 5개월이었다. 연구 도구는 문제해결력 검사와 과학 관련 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문제해결력 검사는 Tegano, Sawyer와 Moran(1989)의 유아 문제해결력 검사에 기초하여 문은자(2000)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과학 관련 태도 검사는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가 개발한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에 기초하여 채정연(2003)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은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문제의 발견 및 진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과 문제해결에 대한 결론짓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은 유아의 과학 관련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과학관련 태도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식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1418.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사는 역사이해 방식이나 다양한 탐구 방식을 면밀하게 검토한 뒤, 학교급별 학습자 수준에 적절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학습 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업 방법의 바탕이 된 역사이해 방식의 특성이 수업 계획의 어느 단계, 또는 학습자 활동의 어떤 측면에 반영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세밀한 판단과 적용이 필요하다. 이 글은 학습 내용과 학습자 수준과 역사 이해 방식, 학습 내용을 유기적으로 고려한 일련의 체계적인 수업 계획 및 그 구성 과정을 제시하고자 역사신문제작 수업을 선택하였다. 역사신문제작의 기저에서 작용하는 역사이해는 감정이입으로서, 과거의 상황과 인물의 행동을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하고, 시대상에 비추어 맥락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감정이입을 역사신문제작에 적용하기 위하여 고려할 사항을 감정이입의 특성, 역사신문제작의 특성으로 나누어 살피보고 이를 위하여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1학년(10학년) '국사' 가운데 조선의 제도사 내용을 대상으로 역사신문 제작 수업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1419.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 놀이와 자유선택활동의 교육적 의의를 뇌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뇌는 인간 모든 행동을 관할하는 기관으로 학습 또한 뇌에서 이루어진다. 뇌의 학습을 도모할 수 있는 뇌 기반 학습은 위협이나 스트레스가 없는 정서적으로 안정된 분위기와 풍부한 학습 환경에서 유의미한 내용을 정서와 신체적 움직임을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자유선택활동은 긍정적인 정서와 신체적 움직임을 수반하는 놀이를 맥락적인 연결을 맺고 있고 다감각을 활용하게 하는 흥미영역환경에서 유아가 자신의 자유 의지에 따라 주도적으로 선택 및 계획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유의미한 내용을 유의미하게 학습하게 한다. 따라서 자유선택활동은 뇌 기반 학습에 부합되는 학습활동으로 학습의 효과를 거두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유선택활동의 뇌과학적 이해는 자유선택활동의 교육적 의의에 대한 과학적 입증으로 바람직하고 적극적인 지도를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