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9

        1101.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Korean endemic and evergreen small tree ' Dendropanax morbifera LEV.(Araliaceae)' is a component of evergreen forest and mainly idstributein sourthern region and islands in Korea. A local population of D. morbifera which is located between evergreen and deciduous forest within 50m x 50m quadrate was investigated to ascertain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emergence and growth dynamics of seedlings and saplings, and pattern of spatial distribution by the temproal and spatial expansion of population . The result of analysis of population structure by Importnace Value(IV), evergreen forest showed a high species diversity of evergreen tree species such as Cinnamomum japonicum, Machilus japonica, Neolitsea serica, Daphniphyllum macropodum, Ligustrum japonicum, and etc, in middle and under story than in upper story where Camelia japonica and Quercus acuta were dominant. And in conterminous deciduous fores, the major component of evergreen forest in this region, Camellia japonica, Quercus acuta, evergreen tree of Lauraceae and etc. were abundant in only under story. IV of D. morbifera differed from among three story. In comparative analysis of emergence and growth dynamics of D. morbifera seedlings and saplings between evergreen and deciduous forest, emergece and density of seedling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evergreen than in deciduous forest, and growth of height and basal diameter of seedlings and saplings were slightly larger in evergreen than in deciduous forest.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by Moristia's index mapping of indivuduals using a lattice method of XY axis within this population showed that seedlings(age up to 2 years) and saplings (age〉2 years and height〈1m) both evergreen and deciduous forest were more or less aggregated apart from mature trees, and thougth intermediate trees(height〉1m and dbh〈10cm) had a aggregated distribution pattern, mature trees(dbh〉10cm were uniform. In conclusion , the expansion of D. morbfera population from evergreen to deciduous forest accompanied with a mumber of evergreen woody species, and also, emergence and recruitment, and growth of seedlings were greatly influenced moisture and canopy by around community structure.
        1102.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ough total fatty acid analysis by the Gas chromatography, 17 different fatty acids were identified from the sap extracted from bark of Korean Rhus(Anacardiaceae), six species. Linoleic acid(C18 :2) and oleic acid(C18 : 1) were identified as major fatty acids for the species investigated, but except in R. chinensis.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for the species, one or two specific-fatty acid was detected, and its could be utilized as a useful taxonomic character.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the 22 reliable character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suggested first group was R.trichocarpa and R. succedanea, the second group, R.verniciflua, R.ambgua and R. sylvestris, but R.chinensis was a greatly independent species. The possible chemotaxonomic applica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ark in the genus Rhus was discussed.
        1103.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edia, crown position, clone ,a nd plant growth substances upon the rootability of cutting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ethod of mass production by cutting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the artifical soil mixtureof vermiculite, perlite and peatmoss (1 : 1 : 1 v/v/v) with IBA 100mg /l treatment was most effective on the rooting rate (85%) was obtained with semihardwood cuttings, which were collected early-August after the first growing seasons. The effect of crown position on rooting of cuttings were obsreved. Average percentage rooting of cuttings on crown position showed 78% , 72% and 65% in middle , upper and lower part with IBA 100mg/l treatment , respectively. Among the four treatment levels of IBA, the highest rooting rate was observed in 100mg/l IBA treatment.
        1105.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 및 시기별 ascorbic acid 와 β-carotene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중 ascorbic acid 함량은 잎부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일 보다는 2.7배, 줄기와 뿌리 보다는 14배 정도 더 높았다. 2. 잎 채취시기별 ascorbic acid 함량은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1.8배 더 높았으며,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1.8배 더 높은 ascorbic acid를 함유하고 있었다. 3.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중 β-carotene함량은 잎부위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일보다는 3.5배 더 높았다. 4. 잎 채취시기별 β-carotene 함량은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더 높았으나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1106.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자생지인 전남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시 종자의 발아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황칠나무의 열매는 핵과로서 자방의 길이가 7.8~10.7mm였으며, 자방폭은 6.9~9.0mm의 타원형이었다. 자방은 5실로 구분되어 있었고, 1실에는 각각 1개의 종자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자방 1개에는 5개의 종자가 들어있으며, 5개의 종자중의 1개종자는 배유가 형성되지 않은 무배유 종자로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황칠나무의 종자는 길이가 6.3~7.4mm였으며, 종자폭은 2.0~2.9mm이었고, 종자의 100립중은 1.43~1.80g이었다. 황칠나무 종자의 발아율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채종 즉시 가을파종은 40℃온탕에 90분~120분간 침지한 후 파종을 하면 종자의 발아율이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종자 저장후 봄파종은 10℃의 온도에 60일~90일정도 저장한 후 파종하면 발아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107.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weather and tapping date on yield and quality of lactree(Rhus verniciflua) sap yiel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inimum temperature of one day before sap collection at 1% level and with theminimum humidity of theday of sap collection at 5% level.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ximum and the minimum temperatures and humidities of the day of sap collec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ap yield at 5% leve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inimum temperature of one day bofore sap collection and the minumum humidity of the day sap collection were important factors for increasing sap yield. The high sap yield of lactree by Japanese tapping method was recorded during mid-July and early August. Seasonal variation in lactree sap constituents was observed. The sap collected on 15th of August contained the highest urushiol content (68.3%) and the lowest water content resulting in high quality of lactree sap. By reversed-phase HPLC analysis, fove urushiol components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doulbe bonds in the side-chain , and seaxonal variation of urushiol composition was noticed. The 3-C15 triene content fo the sap collected on 5th of July was the highest(77.56%) indicating the major component of urushiol which affects lactree sap quality.
        1108.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예로구터 그 수액이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되어온 고로쇠나무의 줄기를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성분을 찾기위하여 실험에 착수하였으며, 그 MeOH추출물의 ETOAc분획을 대상으로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scopoletin, isoscopoletin, (-) -epicatechin등 3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scopoletin과 isoscopoletin은 BHA나 α-tocopherol보다 활성이 약하였으나 (RC50 : 120, 110 mug), (-)-epicatechin의 항산화활성 (RC50 : 7.5 mug)은 BHA나 α-tocopherol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1109.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가지의 식물체 추출액을 공시하여 P. capsici에 대한 항균 활성 검정, 고추 역병에 대한 방제효과 및 고추에 미치는 약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가지 식물체 물 추출액 중에서 일황련 추출애기 균새장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2배의 희석농도에서 70% 이상의 억제 효과가 있었고, methanol 추출액의 경우 1,000배 이상의 희석농도에서도 74.4%의 억제 효과가 있었다. 지모 및 일황련 추출액의 2개 희석농도와 황백나무의 추출원액 처리에 의해 P.capsici의 유주자낭의 발아는 완전히 억제되었다. 2. Methanol에 의한 추출액이 상온에서 물에 의해 추출하거나, 끓여서 추출한 액보다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3. 세 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고추 역병균에 대한 항균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세 가지 추출액 모두 고추 역병에 대해서 방제효과가 있었고, 그 중 일황련 추출액이 가자 효과적이며 황백나무 및 지모의 순이었다. 5. 수경 재배형식의 유모검정에서는 고추묘에 약해가 있었으나, pot시험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또한 고추 종자에 추출액을 처리했을 때 발아가 저해되거나 유근의 신장이 억제되는 등 약해가 유발되어쓰나, 고추 잎과 고추 과실에 추출애글 엽면살포 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1110.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향신료와 식용 및 약용 겸용으로 재배가치가 매우 높은 초피나무종자의 발아율 향상을 위하여 GA3, Kinetin 및 물리적인 처리를 하여 수행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피 나무종자 종피파상후 GA3 50 ppm 24시간 침지에서 발아율 8.9%로 저조하였다. 2. 수온 18℃ 1~5일 및 40~70℃에서 10분처리 후 각각 GA3 50 ppm에 24시간 침지에서 초피종자 발아율 6.8, 4.4%로 매우 낮았다. 3. 화학적인 방법으로 H2SO4, NaOH 및 HNO3 침지에서 초피나무종자 발아율 7,5, 2.7, 14.3%로서 저조하였다. 4. 초피나무종자에 대한 GA3처리의 경우 GA3 100 ppm에서 48시간 침지가 91.1%의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고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5. Kinetin은 50 ppm 12시간 침지에서 초피종자의 발아율은 31.7%로 양호하였으나 전반적으로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어 실용적인 방법으로는 미흡하였다.
        1113.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나무의 향기성분 조성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C상에서 생강나무는 꽃, 잎, 줄기 각각 60, 80, 83개의 peak가 관찰되었으며, 주요 성분군은 생강나무의 경우는 꽃의 경우는 sabinene, eta -myrcene, 1-limonene, cir-3-hexanal, λ -terpinene, (Z)-3-hexen-1-ol acetate, λ -elemene, 1-borneol, δ -guaiene, ledene, δ -ca-dinene, elemol, 9-octadecanal, 1-(1,5diNe-4-hexenyl ) -4-mebenzene, α -chamigrene, λ -selinene, β-endesmol, 1-phellandrene, 3-Me-6-(1-Me, ethyl ) -2-cyclohexen-1-one, epiglobulol의 성분이, 잎의 경우는 phellandrene, α -terpinolene, sabinene, β-myrcene, ι-limonene, cis-3-hexanal, λ -terpinene, (Z)-3-hexen-1-ol acetate, λ -elemene, 1-borneol, δ -guaiene, ledene, δ -cadinene, olemol, 9-octadecanal, λ -selinene, o-chamigrene, 1-(1,5-diMe-4-hexenyl) -4-mebenzene, β-endesmol의 성분이, 줄기의 경우는 sabinene, β-myrcene, ι-limonene, phellamdrene, α -terpinene, ledene, 1-borneol, λ -terpinene, 2,4a,5,6,7,8,9,9a-octahydroben-zocycloheptane, elemol, λ -selinene, cis-3-hexanal, (Z)-3-hexen-1-ol acetate, λ -elemene, δ -guaiene, δ -cadinene, 9-octadecanal, 1-(1,5-diMe-4-hexenyl) -4-mebenzeno, β-endesmol, α -cha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β-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β-eudesmol, δ -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β-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1116.
        199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치자나무의 재배실태(栽培實態)와 문제점(問題點)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5년간(年間) 재배(栽培)한 결과(結果)를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한바에 따르면, 조숙(早熟), 다수확(多收穫) 치자나무의 품종개발(品種開發)이 시급(時急)하며 소목묘(掃木苗), 상토(床土),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삽목시기(揷木時期)등의 시험(試驗)에 의한 삽목묘(揷木苗) 재배법(哉培法)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 본포(本圃)에 재식(栽植)된 치자나무의 재식년도(栽植年度), 재식밀도(栽植密度), 추비시기(追肥時期), 추비양(追肥量) 등에 의한 재배법(栽培法) 개발(開發)이 요구(要求)되며, 병충해(病蟲害) 방제(防除)는 농약(農藥)이 아닌 영양요구(榮養要求) 시비(施肥)와 유기농법(有機農法)에 의한 내병충성(耐病蟲性) 재배법(栽培法)의 연구(硏究)가 필요(必要)하다.
        1119.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양재래와 유성 2호 2품종을 공시하여 원줄기를 10cm로 고정시키고, 구기순 채취길이를 20cm, 30cm, 40cm로 달리 하였을 때 구기자나무의 생육적 특성 및 구기순의 수량을 알아봄으로써 구기순 재배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성2호가 청양재래에 비해 구기순 수, 구기순당 엽수, 주당 총엽수, 수확횟수는 많았고 구기순의 굵기는 굵었으나 엽장, 엽폭은 작았다. 2. 청양재래의 구기순 채취횟수는 4.5회이었으나 유성2호는 5.5회로서 청양재래보다 1회 더 채취할 수 있었다. 3. 구기순의 건물중은 1.01~1.03g이었고, 줄기 : 엽비율은 46 : 54로 엽비율이 8% 높았다. 4. 구기순의 수량은 청양재래가 108~204kg/10a이고 유성 2호는 215~383kg/10a 이었으며, 유성 2호는 년차간의 수량 증감폭이 적어 재식 당년의 수량을 기대할 수 있었다. 5. 청양재래의 구기순 수를 제외한 공시품종의 각 생육형질은 수량과 고도의 정(正)의 상관적이었으며, 유성 2호의 구기순 수는 주당 총엽수를 제외한 각 생육형질 및 수량과 부(負)의 상관이 있었다.
        56 57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