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 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고 한 것은 한국인이 한문문법적 인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 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것과, 교수자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문법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킬 수 있는 것을 연구하는 방향이었다. 즉,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분야는 형태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과, 통사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 그리고 한문 문법교육사 연구 방향 등이 다. 形態論(Morphology)은 形態素와 單語의 構造와 機能, 結合關係 등 모든 형 태소들의 文法的 現象들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單語(詞,語彙, 詞組)形成, 形態論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며, 派生法과 合成法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이 형태론 연구에서는 단어들이 문법적 性質에 따라 分類되 는 品詞論도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虛詞의 機能에 대하여도 연구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形態論 敎育論에서 論議되어지는 내용들은 학습자에게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는 敎授法과 객관적이고 공정한 評價法들이 摸索되어져야 한다. 統辭論(Syntax)은 단어(詞)들이 결합하여 文章이 構成되는 原理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漢字語(詞)의 統辭 構造, 漢文 文章의 構造類型을 通 한 統辭論 敎育의 연구, 漢文 文章 類型의 교육을 통한 文章 讀解 能力 向上의 硏究, 統辭論 敎授法 연구, 통사론의 評價法 연구 등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漢文文法 敎育史 硏究는 漢文科 敎育課程 속에 나타난 漢文文法 敎育의 史的 硏究로부터 始作되어야 한다. 한국의 한문문법 敎育史는 1945년 光復 후, 美軍政에 의하여 제정되어 過渡的 역할을 담당하였던, ‘敎授要目期’부터 현재 학교 교육현장에서 실시중인 ‘2011년 改定 敎育課程期’까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 과정 속에서 한문문법 교육의 變遷 過程과 그 내용을 추출하고, 그것을 통해 연구 가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한문문법교육사의 교수법과 평가법도 연구되어져야한 다.
It is well-known that grammar rules learned in class are hard to use in communication. This paper explores an answer to this puzzle, focusing on the so-called third person singular present -(e)s in English. Observing that the core nature of the hard-to-use rules is best described in terms of 'form', rather than 'meaning' and 'use', the paper shows that the formal descriptions of the grammar rules presented to learners do not correctly represent the syntactic nature of the linguistic phenomena concerned. It proposes that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i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linguistic nature of grammar categories and items to be taught to learners.
이 논문은 광복 후, 미군정시대의 敎授要目期부터 2007년 改定 敎育課程期까 지, 중․고등학교 漢文科 敎育課程에 나타난 漢文文法의 내용이 각 교육과정기 의 漢文敎科書에 어떻게 투영․반영되었는지를, 史的으로 변천한 것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것은, 각 교육과정기의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 정 속에, 반영되고 受容된 한문문법에 대한 내용의 변천과정과 각 교육과정기의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서 속에 반영된 한문문법의 내용을 비교․분석․검토하는 것 등의 연구이었다. 한문문법에 대한 내용이 교육과정 속에 학습요소로 구체적으로 구현되기 시작 한 것은 중․고 등학교 똑같이 4차시기 이후이며, 5차~6차시기까지는 한문교과 가 필수과목 또는 내용상 필수과목화되어 문법적인 내용도 확대되고 심화되었다. 7차시기 이후에는 한문교과가 선택과목으로 되어 문법적인 내용도 축소되고 약화 되었다. 2007년 개정기 이후에도 문법적인 내용이 축소되었지만, 교육과정에 ‘한 문지식’영역이 생겨, 이전 교육과정기보다 좀 더 문법적인 내용을 많이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각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는 각 교육과정기 교육과정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각 교육과정기에 제작된 한문교과서는 각 교육과정기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 제시되 어 있는 한문문법적인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즉, 한문과 교육과정이 독립 과목으로 되고 필수과목으로 된 시기에는 한문문법적인 내용도 확대 심화되고, 교 과서도 그대로 확대 심화된 내용을 싣고 있었다. 그러나 한문과 교육과정이 선택 과목으로 된 시기에는 한문문법적인 내용도 축소 약화되어 그 변화된 상황을 그 대로 반영하고 있었다. 각 교육과정기에 만들어진 교과서들은 대개가 문법적인 용어나 내용을 일반적 인 문법 수준에서 취급하고 있지만, 몇 개의 교과서들은 일반적인 수준에서 벗어 난 용어와 내용들을 사용하여 학습자들이 혼동을 가져올 수 있었겠다고 여겼다. 한문문법은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서 한문과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한다. 때문에, 앞으로 좀 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을 구축함에 있어, 한문문법에 관한 용어와 내용들이 통일될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하루 속히 ‘한문문법 통일안’이 마련되어, 그것을 근거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 에 반영되어, 학습자들이 혼란을 겪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본고는 그동안 학계에서 여러 이견이 있었던 보어 개념에 대해 문제점과 타당 성을 검토하고 일정한 방법과 기준을 통해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반 언 어학 관점으로 볼 때 보어라는 개념 자체가 정의 내리기 어려운 측면이 있고 이를 한문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한문 문법 서술 체계의 기준을 정하지 못함으로 인해 여러 문제가 노정되었다고 보여진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한문에서 무엇을 보 어로 볼 것이냐가 아닌 한문에 과연 보어가 존재하느냐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 야 한다. 본고에서는 한문에서 소위 보어로 분석되어지는 언어 현상이 실제는 보 어가 아닐 수 있으며 따라서 보어라는 용어를 상정할 필요성이 없다는 소견을 제시하였다. 학문 문법의 측면에서 보면 한문을 좀더 정치하게 분석하기 위해 동사 뒤의 명사성 성분 및 유관 언어 현상을 세밀히 나누는 것이 필요하겠지만 학교 문법의 각도에서 보자면 실제 한문 독해력 신장과는 일정 정도 거리가 있는, 문법 을 위한 문법이라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목적어와 보어를 하나로 통일하여 목적어라는 개념을 쓰는 방안, 혹은 또 다른 용어, 예컨대 ‘客語’를 상정 하는 방안 등을 통해 간략하면서도 명확한 학교 문법 서술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under the premise that lack of grammatical education with overall emphasized fluency is not desirable and the grammatical education can function fully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To support this, the studies that attempted comparative linguistics, universal language theories, and attempts of linguistic typology were examined. However, such efforts are limited in explaining the overall Korean grammatical education systematically. As a method to resolve such problems, a suggestion of actively utilizing grammatical categories were provided. The categorization by grammatical systems is quite familiar since it was applied to all languages for a long time and is a concept that can be usefully utilized in comparative linguistics or linguistic typology. In addition, the overall grammatical factors could be examined systematically. As the meanings, functions, and constraints of combinations among the grammatical factors are compared, which could not be done when examining the individual grammatical factor, the differences can be clearly recognized. This study provided an example of expressing negatives and also suggests the methods to use the grammatical categories for Korean educational grammatical system in the sites of Korean education in detail.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French grammar by means of English grammar. As one of their strong points, English has simplified the verbal and nominal inflections, but French has done the regular shape of its pronunciation. As a matter of course, they differ in the pronunciation, words, and expressions. Nevertheless, French and English have shared so many things through their history: their vocabulary and grammar on the Greco-Roman legacy have had mutual influences through Norman Conquest(1066)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So these two languages have grammatical common concepts, which are not at all: for example, the parts of speech, word order, modes, tense, passive voice, relative clauses, etc. There is not only grammatical similarity but also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languages. Basically, they have the word order SVO but French has the case SOV that contains clitic pronouns. They also show subtle disparities in the mood, the tense, the frame of verbal sub-categorization, the hiatus, etc. Though they broadly have common concepts of the article, its ordinary uses are not same. In the passive voice and the relative clauses, there is a little subtle distinction. But English grammar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French grammar. In consequence, students who have knowledge of the former can easily acquaint the latter. Professors may lead students to reach to a higher level of French grammar by explaining common concepts and emphasizing different ones between these two languages
There are many studies which have investigated biases hidden in ELT materials, particularly reading texts. But English grammar books haven't received much attention regarding the issue because their contents are considered as instruments for explaining grammar points. This paper thoroughly examines biases in an English grammar book, Grammar in Use Intermediate(GIUI),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two aspects: idealization of the culture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gender bias. The findings show that materialism tends to be considered as a norm putting so much emphasis on money. With regard to gender bias, there are mixed results. Males are more dominant than females with respect to appearing as main characters, initiating conversations, and being mentioned ahead of the other gender. Males and females are treated equally in participating at active sports and pursuing various occupations. On the other hand, unethical or unlawful acts are alloted to males overwhelmingly more often than to fema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list for checking hidden biases in English teaching materials.
It is time for Germ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to strive for qualitative development. One of the tasks to achieve this is to develop German grammar books that explain the German language system in a way that suits Korean students. We should develop books on language learning, including German grammar,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Gemeinsamer Europäischer Referenzrahmen. We should adjust the selection and order of the parts of grammar depending on the level of difficulty, frequency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There should b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in German grammar. In this paper, I have made suggestions for the beginner level. The task in the future is to implement and systemize these suggestions all the way down to the details of each part of speech. It is not overstatement to say that the strength of Korean students is their understanding of grammar. Instead of considering this strength as weakness, we should find a way to use it effectively in order to facilitate more qualitative German education.
This paper examines social grammars of naming patterns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focusing on the names for the Chinese and Italian restaurants located in the Manhattan area of New York City and the state of South Carolina. Logit analysis and t-test were mainly used in this quantitative analysis of naming patterns.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whether restaurants are named with ethnic connotation or not are determined more by cultural variables rather than by economic variables, (2) the economic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only weakly determine naming patterns, i.e. the marginal effects of the logit analysis is very small, and (3) the only influential economic variable is the reverse attitude toward information use, which implies that the number of computers within a restaurant i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ethnicity of the owner and its naming pattern. Overall, this paper is an attempt to broaden the contents and methodologies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naming patterns and ethnicity from the sociolinguistic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