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66

        468.
        2016.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ir cleaning unit(ACU) in a nuclear power plant plays a role on cooling the safety-related components whose function is involved in the reactor shutdown, and maintains the suitable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work in the rooms where an operator is working on. To guarantee the performance of the unit the design of ACU should be subject to credible codes and standards, such as ASME, ANSI and ASHRAE, etc. On top of them, the desorption of the carbon adsorber is addressed in ASME N509 which causes the adsorber no longer to capture the iodine isotopes produced by the severe accident. In this study, the equations of the heat source were derived from the radioactive decay heat of each iodine isotopes. From the resultant equation, the maximum temperature below 300oF for the desorption was calculated under a proposed condition and analysed with the reference results.
        3,000원
        469.
        2016.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조나노물질의 발전으로 이를 이용한 제품들이 늘어남에 따라 상수 내 나노 물질에 대한 잠재 위해성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응집과 같은 기존 나노물질 처리 방법에 비해 막 분리법은 2차 오염물이 없고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수계환경 변화로 인한 나노물질의 특성변화에 따른 막 기 반 공정 내 나노물질 거동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 제조나노물질인 Ag, ZnO, TiO2의 수계 내 유 기물 존재여부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 막기반 상수처리 공정에서의 거동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SR-NOM을 대표 자연유기물로 평가하였으며 상수 내 SR-NOM의 유/무에 따른 나노물질들의 응집성 등의 변화가 막기반 공정 결과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470.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우수한 천연 자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똥쑥으로부터 천연 물질을 분리·동정하고 분리된 물질에 대하여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개똥쑥 잎과 줄 기의 chloroform층과 ethyl acetate층으로부터 각각 6개와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화합물 중 chloroform층으로부터 분리된 ArteCA(M.W. 316g/mol, C16H12O7)는 isorhamnetin, ArteCB(M.W. 360g/mol, C18H16O8)는 chrysosplenol D, ArteCC(M.W. 316 g/mol, C16H12O7)는 rhamnetin, ArteCD (M.W. 374g/mol, C18H16O8)는 chrysosplenetin, ArteCE(M.W. 284g/mol, C21H20O12)는 acacetin 그리 고 ArteCF(M.W. 270g/mol, C16H14O4)는 imperatorin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EtOAc층으로부터 분리된 ArteEAA(M.W. 178g/mol, C9H6O4)는 6,7-dihydroxy coumarin, ArteEAB (M.W. 192g/mol, C10H8O4) 는 scopoletin, ArteEAC (M.W. 448g/mol, C21H20O11)는 kaempferol-3-O-b-D-glucoside, ArteEAD (M.W. 464 g/mol, C21H20O12)는 quercetin-3-O-b-D-glucoside 및 ArteEAE(M.W. 318g/mol, C15H10O8)는 myricetin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ArteEAE(myricetin)는 α-glucosidase에 대하여 97.3%의 높은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혈당조절용 건강식품 또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500원
        47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노물질은 기존의 벌크 크기와는 다른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 산화아연나노 물질(nano ZnO)은 식품산업에서 식품포장재, 식품첨가물 및 아연보충제로 사용되는 등 넓은 범위에 이용되는 반면 그 에 대한 생체이용률과 독성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한편, 나노물질은 생체 내에서 특정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노-단백질 코로나(nanoparticle-protein corona)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혈장 단백질과의 상호작용 정도에 따라 조직분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생체 내에서 다른 거동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nano ZnO와 벌크크기의 산화아연(bulk ZnO)을 이용하여 in vivo에서 크기에 따른 용해도를 분석하고 생체이용 률을 비교 연구하였으며, 또한 혈장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단백질 코로나 현상을 규명하였다. In vivo 위액에서의용해도 결과에서 산화아연은 크기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물질을 단회 경구 투 여한 뒤 생체 내 흡수율을 비교한 결과, 크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단회 정맥 투여한 결과에서는 ZnO-nano 가 ZnO-bulk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혈류시스템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테오믹스 기법에 의한 나노 코로나 분석 결과에서는nano ZnO가 bulk ZnO에 비해 혈장단백질과 상호작용하는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 한 혈장단백질의 경우에도산화아연의크기에따라상호작용하는정도가달라질수있는것으로나타나잠재적으로조직분포도 에영향을미칠수있음을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 다양한 식품용 나노 소재의 효율성 및 독성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7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화아연나노물질은 상업적으로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물질 중 하나이다. 특히 식품산업에서 산화아연나노물 질은 아연에서 기인하는 세포생장과 면역증진 등의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산화아연자체에 의한항균 기능성을 보유 하고 있어 건강보조식품, 식품첨가물 및 식품포장재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식품산업에서 산화아연 나노물질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나노물질에 대한 노출이 증가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나노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최근 들어 산화아연나노물질의 독성시험이 세포와 동물모델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나노물질 의 독성과 입자크기 및 체내 성상에 대한 상관관계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화아 연나노물질(nano ZnO)을 랫드에 14일 반복 경구 투여 후 차세대 염기서열분석기법(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을 이용하여 간 조직에서의 전사체 발현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입자크기와 이온화도에 따른 독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벌크 크기의 산화아연(bulk ZnO)과 염화아연(ZnCl2)을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산화아연의 입자크기 및 이온화도에 따라 서로 다른 유전자 발현양상을 보였다. 특히 아연 이온 투여에 의한 전사체 발현 양상이 입자에 의한 양상과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입자크기 및 체내 성상에 따라 잠재적 독성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화아연나노물질의 잠재적 경구 독성의 평가와 독성메커니즘의 예측 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7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노기술에 의해 마이크로 또는 벌크크기의 입자를 나노미터 크기로 조작함에 따라 변화하는 물리, 화학적 및 생물 학적 특성 때문에 나노 기술은 환경, 반도체, 생명공학, 약학,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 서 이용한 산화 아연은 항미생물 효과, 촉매작용, 반도체 등의 특성을 가져 산업적으로 폭넓게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 인데, 아연은 체내에서 단백질의 합성과 세포의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영양소이므로 산화아연은 식품첨가물로서도 스 낵 과자류, 영양 보충 식품 등에 영양강화제의 목적으로 첨가되어 사용된다. 이렇게 식품 수준의 나노물질은 마이크로 크기의 물질 대비 넓은 표면적을 보유하므로 식품 첨가물로서 사용될 경우 흡수율의 증대가 예상되는 반면효율 및 독 성, 안전성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식품의 경우 경구 섭취 후 위장관에서 흡수가 일어나기 때문에 장관 내 흡 수 기작 연구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화아연의 입자크기에 따른 안전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경 구섭취 시 소장에서 입자의 유입 기작을 in vitro 수준 모델에서 관찰하고, in vivo 수준에서 랫드에 단회 경구투여를 통한 약동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절관련상피세포(human FAE: follicle associated epithelium)모델을 통하여 나노크 기와 마이크로 크기 입자의 위장관 상피세포 내 유입량을 비교한 결과 물질의 크기 별 유입량의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경구투여 후 체내 흡수율에 대한 약동학적 결과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식품용 나 노소재의 체내 독성과 흡수 메커니즘 및 효율성을 예측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7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화학물질은 인간의 삶에 필수적이며 큰 유익을 제공한다. 그러나 화학 물질은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중대한 위해를 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정 부는 유익과 리스크라는 양면성을 가진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할 책임이 있다. 한편, 화학물질 안전규제는 필연적으 로 국제적 조화가 요청된다. 산업화학물질의 시장은 전 세계로 확대되었 고 자칫 화학물질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국경은 무의미 하기 때문이다. 국제적인 관점에서 산업화학물질에 대한 규제는 성숙기 에 있다. 2002년 국제연합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정상회담은 2020 년까지 화학물질의 이용 및 제조 방식을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대한 중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유인한다 는 목표를 수립하였는데, 캐나다와 유럽연합을 시작으로 일본, 중국, 우리나라 등 주요 화학물질 산업국가들이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규제체계를 개선하였다. 한편, 화학물질 규제체계의 개선이라는 국제적 조류 속에 세계 최대 화학물질 산업국인 미국은 다소 어긋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이 미 1976년에 유해물질관리법(Toxic Substance Control Act of 1976, TSCA)을 제정하여 화학물질을 관리하여 왔는데 현재까지도 당시의 규 제체계의 기본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연방정부의 이러한 소극적인 태도로 인하여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 주(州)를 필두로 하여 주(州) 단 위에서 화학물질 노출 악영향을 평가하고 저감하기 위한 새로운 제도들 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는 화학물질 안전규제를 둘러싸고 주요 화학물질 산업국들이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느린 행보를 유지 하고 있는 미국의 화학물질 규제행정의 체계와 법제상황을 고찰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비록 우리의 신규 화학물질 규제체계가 미국 연방의 그것에 비해 제도적으로 선진적이라고 할지라도, 현실적·경제적·산업 적 이유에서 미국의 화학물질 규제체계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미국의 화학물질 규제행정의 체계 및 법 제의 연혁과 현황을 개관하고, 미연방의 화학물질 규제법제를 유해화학 물질관리법(TSCA)과 소비자제품안전개선법(Consumer Product Safety Improvement Act, CPSIA)의 주요제도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TSCA 는 화학물질 의 규제에 있어서 일반법적 지위에 있으며, CPSIA는 화학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제품 규제에 있어서 핵심적인 법률이다.나아가 본고에서는 연방법보다 더 엄격하고 선진적인 화학물질 규제법제 로 평가받고 있는 캘리포니아 주(州)의 California Proposition 65의 주 요 내용을 살핀 후에 글을 마무리하였다.
        47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약용식물로서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재배된다. 본 실험의 목적은 형광등과 LED 광조사가 당귀 생육의 발달과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Decursinol angelate와 Decursin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당귀 ‘만추’ 종자를 우레탄 스폰지에 파종 후 4주간 유리온실에서 육묘하였다. 본엽이 3 매 전개된 120주를 저면관수 시스템에 이식하였다. LED [적색: peak wavelength 660nm, 청색: peak wavelength 455nm, white = 3:2:4 비율]와 형광등 조건에서 최상부 군락에서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은 180±7μmol·m-2·s-1로 동 일하였으며 16:8의 일장조건에서 5주간 재배하였다. LED 처리에서 당귀의 엽수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형광등 처리와 비교하여 13.5% 증가하였으며, 형광등 처리에서 당귀의 엽장과 엽폭의 비율과 초장은 각각 24, 13% 증가하였으며 최대 근장은 두 그룹이 유사하였다. LED 처리한 당귀의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50, 42% 씩 증가하였으며, 지하부는 125, 45%씩 증가하였다. 형광등에서 재배된 당귀의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 는 LED처리한 당귀보다 지상부에서 단위 건물중당 188, 27% 증가하였으며, 지하부에서 78, 8% 각각 증가 하였다. LED와 형광등 처리에서 재배된 당귀의 한 개체 당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의 함량은 132과 122mg 이었다. 결론적으로 기능성 물질은 형광등에서 증가되고 생장은 LED 조건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7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 연구에서는 스크러버를 이용한 NO2 를 제거하기 위해 암모니아 수용액을 적용한다. 하 지만 암모니아는 독성 및 악취가 강해 실선 적용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어, 암모니아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위해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체 물질로는 수산화나트륨(NaOH), 티오황산나트륨 (Na2S2O3), 요소(Urea)를 사용하였다. 세정액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기존 암모니아를 적용한 실험의 최 적 조건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된 세 가지 물질 중 두 물질은 암모니아 용액과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최적조건은 각각 NaOH 2.5 %, Na2S2O3 5.0 % 에서 가장 높은 효 율을 나타냈다. Urea는 효율이 일정하게 지속되지 않아 대체 물질로는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 었다.
        4,000원
        477.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a biofilter in the removal of ammonia, as a malodor compound. A trickle-bed type biofilter was applied for this study, and operated at the ammonia loading rate of 0.97-15.52 g/m3·h.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dicate that the critical loading rate of ammonia to the biofilter was 10.7 g/m3·h and the elimination capacity was 11.6 g/m3·h. The analysis of nitrogen mass balance in the reactor indicates that inlet nitrogen as gas phase was converted through the biofilter into NH4 + (41.5% by mass), NO2 - (43%), and NO3 - (15%) as the available form of nitrogen in the effluent liquid. Free ammonia concentration in the effluent liquid was estimated as being in the range from 0.14 to 2.93 mg/L (average 1.7 mg/L)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4,000원
        478.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외선 광분해에 의한 비스페놀 A (BPA)의 에 스트로겐 활성 저감에 미치는 하수처리장 방류수 유기물질 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류수 유기물질과 표준으로 사용한 스와니강 자연 유기물질은 극성에 따라 소수성, 반친수성, 친수성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특이 자외선 흡수 (SUVA) 분 석 결과, 방류수 유기물질은 높는 소수성을 가지고 있는 자 연 유기물질과 다르게 소수성이 낮은 미생물 기원 유기물 질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3시간의 자외선 조사는 방 류수 및 자연 유기물질의 극성에 따라 SUVA 값을 유의하 게 감소시켰다 (p<0.0001). 유기물질이 없는 조건에서, BPA (5.0×10-5 M)의 상대 에스트로겐 활성도는 자외선 광분해 에 의해 86%에서 63%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유기물질이 있 는 조건에서 상대 에스트로겐 활성도는 평균적으로 68%에 서 37%로 감소하였으며, 유기물질의 종류 (방류수 또는 자연 유기물질) 및 극성 (소수성, 반친수성, 친수성)과 유의한 차이 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결과적으로, 유기물질이 있고 없는 조건에서 자외선 광분해에 의해 감소한 BPA의 상대 에스트로겐 활성도는 각각 31%와 23%였으며, 이것은 방류 수와 자연 유기물질 모두 광분해에 의한 BPA의 에스트로겐 활성 저감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제시한다.
        4,000원
        479.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focused on an economic analysis of applied air pollutant control technologies used for the particulate matters present in subway. Beneficial effects such as reduction in medical expenses and prevention of productivity loss and death are achievable through the adaptation of control technolog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total investment expense was 97.6 billion won and the cost-benefit was 4776.8 billion won, therefore a 4.8 benefit/ cost ratio was attained.
        4,000원
        480.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tal plating industry produces a large amount of wastewater generally containing heavy metals with various chemical compounds; as such, treating the wastewater is both an environmental and an economic challenge. A vacuum evapor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effectively reduce the volume of plating wastewater. However, the gas stream discharged from the distillation unit of the evaporator is often contaminat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odorous compounds such as ammonia and dimethyl disulfide (DMDS). In this study, a non-thermal plasma process operated in wet conditions was applied to remove the odorous compounds, and it showed high removal efficiencies of greater than 99% for ammonia and 95% for DMDS. However, the gas flowrate more substantially affected the efficiency of ammonia removal than the efficiency of DMDS removal, because the higher the gas flowrate, the shorter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odorous compound and the mist particles in the wet plasma reactor. The analyses of the maximum removal capacity indicated that the wet non-thermal plasma system was effective for treating the odorous compounds at a loading rate of less than 20 mg/m3/min even though the lowest amount of electrical power was applied. Therefore, the wet-type non-thermal plasma system is expected alleviate to effectively abate the odor problem of the vacuum evaporator used in the treatment of plating wastewater.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