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6

        561.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icken carcass microflora were evaluated for aerobic microorganisms after defeathering, evisceration, washing, chilling, and sanitizing during a commercial chicken processing and storage at wholesale and retailsale levels. Sampling was at between December 1997, and March, 1998. Tap water washing and sanitizing with 25 ppm chlorine for 10 sec significantly (P$lt;0.05) reduced aerobic plate counts (APC) and gram-negative bacterial counts (GNC) on chicken carcasses from a commercial chicken-processing plant. After 4 days at 2±2℃, APC and GNC on chicken carcasses in retailsale store rapid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wholesale store (P$lt;0.05). Chicken wings from retailsale store significantly (P$lt;0.05) decreased generation time (GT) compared to other chicken carcasses.
        4,000원
        563.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10℃ 냉장조건에서 0.5% 초산(AA), 0.5%유산 (LA) 및 0.5% 구연산 (CA) 침지법으로 5분 동안 처리한 신선한 광어의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0.5% 초산 처리구는 4℃, 12일 저장 동안 그람음성세균(GNC)의 증식을 완전히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0.5%의 유산 및 구연산 처리구는 각각 4℃, 저장 9일부터 그람음성세균(GNC) 의 급속한 증식을 보였다. 10℃에서 6일 저장 동안 0.5% 초산 처리구는 그람음성균의 증식억제에 효과적이었으며, 유산 및 구연산 처리구는 저장 3일 이후 효과가 없었다. 0.5%(v/v) 초산 처리구는 4℃에서 저장 6일 동안 그리고 10℃에서 저장 3일 동안 호기성 부패 세균 (APC)의 증식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0.5%(v/v) 초산 처리구는 4℃에서 저장 12일 동안, 그리고 10℃에서 저장 6일 동안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4∼10℃에서 광어포의 저장 동안 호기성 육부패의 주요 세균인 그람음성세균 (GNC) 억제력이 초산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0.5% 초산처리구의 광어포는 4℃에서 12일동안 미생물학적 저장안정성을 유지하였다.
        4,000원
        564.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agonistic bacteria and pathogenic fungi on the growth of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Schreb.) in continuous cropping soil(CCS) and non-continuous cropping soil(NCCS). Tall fescue was establishe
        4,000원
        565.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약제 농축액의 품질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생약제 농축액에서 수분 활성도 변화에 따른 미생물 성장 변화 및 일부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활성도를 각각 0.86, 0.80, 0.69로 조정한 생약제 농축액을 40℃에서 180일 동안 저장한 후 세균의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수분활성도 0.86(수분활성도 63.85%)시료의 경우 초기생균수가 18/g에서 90일 저장시 80/g으로 180일 저장시 190/g으로 증가하였다. 수분활성도 0.80(수분함량 43.04%) 경우에는 초기생균수가 24/g에서 90일 저장시 83/g으로, 180일 저장시 170/g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수분활성도 0.69(수분함량 33.05%)경우에는 초기생균수가 16/g에서 90일 및 180일 저장시 각각 20/g, 25/g으로 큰 균수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수분활성도에 따른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은 수분활성도가 낮을수록 저해되었으며 C. albicans, A. niger의 경우 28℃에서 30일 저장 후 초기생균수가 150/g, 140/g에서 각각 30/g, 20/g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E. coli, S. aureus, P. aeruginosa의 경우에도 수분활성도 0.69 시료에서는 37℃에서 30일 저장 후 생균수가 0로 나타나서 균은 완전히 사멸되었다. 수분활성도 0.85, 0.80, 0.69시료에서 pH 의 변화는 180일 저장시의 pH에서 초기 pH를 뺀 pH의 감소폭이 자각 0.84, 0.72, 0.31로 나타나서 수분활성도가 낮을수록 pH의 감소폭이 적은 경향이었다. 생약제 농축액에 포함된 인삼 중의 지표성분인 사포닌은 180일 저장한 시료에서 측정한 사포닌함량에서 저장초기 시료의 함량을 뺀 사포닌함량의 감소폭은 0.12~0.30%로 나타나서 비교적 작은 편이었다. 또한 생약제 농축액에 감미료, 산미료 등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40℃에서 60일 및 180일 동안 저장한 후 TLC로 사포닌을 조사한 결과 모든 사포닌이 확인되어 이러한 조건에서 사포닌은 안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67.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부의 가공공정에 대한 위해분석을 통한 위생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가공공정별 시설?설비와 작업장 환경 및 원재료와 가공공정별 시료에 대한 미생물 변화와 오염원인을 분석하였으며, 포장유부를 10℃에서 자장하면서 저장수명을 예측하고 이의 적절한 평가를 위한 품질지표를 도출코자 하였다. 가공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최종제품의 저장수명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공공정 특히 사용용수, 침지, 성형, 절단, 유탕이후의 공정에서의 작업장 환경시설?설비에 대한 위생관리대책과 침지와 성형공정에서의 미생물 증식 억제방안의 마련이 필요하였다. 유부의 저장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품질지표로는 조직감 같은 관능지표와 육안적 곰팡이 발생 및 일반세균수가 매우 유용하게 이용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유부의 저장수명은 최대 6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유부의 가공조건 설정과 저장수명 평가에 대해서 적절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68.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569.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out distribution and contamination sources of hazardous microbes through microbial hazard analysis on the processing steps of surimi-based imitation crab (SBIC). As a results of analysis of 9 hazardous microbes for 16 raw materials and 8 processing steps, no Sa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Level and distribution of hazardous microbes in mixed color were similar to those of surimi. Changes of aerobic plate counts (APC), psychrotropic bacteria, coliforms,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nhaemolyticus showed similar trends at different processing steps. Thermotrophic bacteria and aerobic sporeformers were not detected until mixing step and feeding step, respectively and not reduced after cooking step.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APC at each step, it was suggested that surimi, workers and silent cutter at mixing step, and mixed color, workers and bundler at packaging step were the major contamination sources of bacteria.
        4,000원
        570.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microbial risk degree of some processed foods in Korea. In this study the data on the outbreak of foodborne diseases during recent 18 years (1976-1989, 1993-1996. 8) were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pathogens were Salmonella (36.9%); followed Vibrio (22.0%), Staphylococcus (15.7%) and Escherichia coli (13.3%). Outbreak rate of Staphylococcus, Vibrio, E. coli and Salmonella, was 33.0%, 23.5%, 17.5% and 17.1%, respectively. Overall risk degree of pathogens by fatality rate, outbreak rate and pathogen amount for foodborne outbreak was Clostridium, 5, Staphylococcus and Vibrio, 4, Salmonella and E. coli, 3. Based on foodborne pathogens, the risk degree of raw seafoods, raw eggs and processed seafoods were 4, and those of raw meats, Doshiraks and milk products were 3. Also, based on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foods, the risk degree of surimi-based imitation crab was 3. Foods of the highest actual risk degree were raw seafoods and raw eggs (16); followed raw meats (15), surimi-based imitation crab (12), Doshirak (9) and milk products (6).
        4,000원
        571.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acetic acid (AA) on aerobic plate counts (APC), gram-negative bacterial counts (GNC), and generation time (GT) in chicken wings stored at 4℃ were assessed. Chicken wings were treated with 0.5-1.5% (v/v) AA at exposure times of 5 min. Treatments of AA for 5 min significantly (P$lt;0.05) reduced aerobic plate counts (APC) and gram-negative bacterial counts (GNC) on the surface of chicken wings for 8 days, respectively. After 4 days of storage, treatments of 1.0% AA and 1.5% AA for 5 min completely (P$lt;0.05) inhibited APC and GNC compared to initial controls. Based on these results, treatments of 1.0% AA and 1.5 % AA for 5 min prolonged the microbiological shelf-life for 8 days compared to those of 0.5% AA and the controls. All treatments of AA increased the lag phase and GT of aerobic microorganisms.
        3,000원
        575.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김치를 담근 후 15℃에서 60일간 밀폐상태로 발표시키면서 발효일수 경과에 따른 pH, 총산함량 및 미생물수의 변화를 조사하고, 주요 미생물군집을 분리·동정하였다. 담금 즉시의 김치는 pH 6.15, 총산 0.03%였고, Gram 음성 간균류가 최우점 미생물이었으며 이들의 주요 속 구성은 Pseudomonas 55%, Enterobacter 40%, Erwinia 5%였다. 젖산균은 발효 2일 이후부터 최우점 미생물이 되었으며, 발효 4일, 12일 및 50일에 젖산균의 1차, 2차 및 3차 정상기를 각각 나타내었다. 젖산균 2차 정상기의 김치는 pH 3.51, 총산 0.59%로 적숙상태에 해당되며, 이 때 주요 젖산균의 종 구성은 Lactobacillus bavaricus 55%,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42.5%,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2.5%였다. 젖산균 3차 정상기의 김치는 pH 3.40, 총산 1.10%로 과숙상태에 해당되며, 이 때 주요 젖산균의 종 구성은 Lactobacillus plantarum 65%, Lactobacillus brevis 35%였다. 젖산균들을 동정할 때에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및 Lactobacilus brevis로 동정된 균주들은 기존의 분류체제에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나, Lactobacillus bavaricus로 동정된 균주들은 일치하지 않는 점들을 많이 나타내었다. 젖산균의 수가 증가할 때에 효모의 수가 감소하였고, 젖산균의 수가 감소할 때에 효모의 수가 증가하였다. 효모의 정상기는 젖산균의 제2정상기와 제3정상기의 사이인 30일에 나타났으며, 이 때 주요 효모의 속은 모두 Saccharomyces였다.
        4,000원
        576.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120 여종의 집락 중 응집제를 생산하는 집락을 선발하고 가장 응집력이 우수한 K-67 균주를 최종 선발하여 Agrobacterium sp KF-67로 동정하고 실험균주로 사용하였다. 응집제 생산시 최적 배지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응집활성을 kaolin과 활성탄현탁액에서 응집활성을 측정하였다. 최적 배지성분과 농도는 탄소원과 무기질소원은 glucose와 NH_4NO_3 각각 2%와 0.1%, 유기질소원은 yeast extract와 peptone 각 0.01%, 무기염으로 CaCO_3을 0.04%를 첨가하였을 때 응집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배지 중 0.03% NaCl 첨가로 약 19%의 응집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Agrobacterium sp.에 의한 응집제 생산시 최적배지의 성분 조성과 함량은 2% glucose, 0.1% NH_4NO_3 0.01% yeast extract, 0.01% peptone, 0.04% CaCO_3, 0.03% NaCl이었고, 이때 기초배지에 비해 약 76.1%의 응집활성력이 증가하여 응집제 생산에 효과적인 배지성분 조건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577.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cohol treatment was applied to ginseng powder for the improving hygienic quality of ginseng powder. A bacterial strain designated as GT5 was isolated from ginseng powder contaminated and was identified as Escherichia coli species by IMVIC test method. Ethanol used as alcohol, inhibited strongly the growth of coliforms in ginseng powder at the concentrations of 50 to 90%. Ethanol treatment also decreased numbers of total bacteria at the same concentrations. There was not significant changes in saponin of ginseng powder after treated with ethanol. However, ethanol treatment caused a decrease in Hunter's color L value and an increase in a and b values of ginseng powder. As a hygienic quality control of ginseng powder, ethanol treatment could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ans for decontaminating microorganisms in ginseng powder.
        4,000원
        578.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 냉장조건에서 신선한 돔포의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 증진을 목적으로 초산, 유산 및 구연산 침지법을 이용하여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억제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4개의 처리구로 만든 돔포는 각 0.25∼1.0%의 초산, 유산 및 구연산의 위생수에서 5분 침지 후 처리구별로 플라스틱 저장백에 넣은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구는 수돗물에 5분간 침지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2반복 시료는 4℃, 12일 저장하면서 3일 간격으로 취한 다음 분석에 사용하였다. 0.25∼1.0%(v/v) 초산 처리구는 4℃, 12일 저장 동안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0.25∼1.0%(v/v) 유산 처리구 그리고 0.5∼1.0%(w/v)구연산 처리구는 각각 4℃, 저장 9일 동안 호기성 부패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돔포의 냉장 동안 초산처리구의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4,000원
        580.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ied vegetable mix, fried fish mix and fried chicken which prepared as convenient style at traditional market in Chonju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their chemical composition, lipid and microbial changes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 for confirming those fried.food stability. The POV and AV of oil in samples and total bacterial count during storage at 5, 15, 20 and 30℃ were monitered. The POV, AV of oil, and total viable count were greatly changed depending on storage temperature during storage. Those factor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shelf-life determination. Following POV, AV and total bacterial count tested of each sample, shelf-life can be suggested as within 1 day at 30℃, 2-3 days at 15-20℃ and over 5 days at 5℃.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