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6

        94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혼합유기질비료는 대두박, 채금박, 어분, 철분, 골분 및 황토를 원료로 광합성 미생물 SA16 균주를 접종하여 pellet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1. 혼합 유기질비료 시용이 시설상추의 생육 및 토양의 생물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화학비료 3요소와 성분량이 동량인 혼합유기빌비료 90 kg/10a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주당 엽수는 2장 정도 많았고 뿌리길이도 2cm 정도 길었으며 생체중은 51% 증수되었다. 혼합유기질비료 시용량별 수확량은 45>90>135 kg/10a 순으로 많았고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최대 수확량을 얻을 수 있는 시용량은 73kg/10a로 나타났다. 상추수확량에 대한 소득 분석결과 혼합유기질비료 90 kg/10a 처리구에서 소득이 37% 증가되었고 최대 수량을 얻을 수 있는 혼합유기질비료를 73 kg/10a를 시용하면 소득이 41%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수확 후 토양 용적밀도는 혼합유기질 비료 90 kg/10a 처리구가 1.09 g/㎤로 가장 낮았으며 혼합유기질 비료 45 kg 처리구의 용적밀도가 1.19 g/㎤로 가장 높았다. 공극율은 혼합유기질 비료 45 kg 처리구가 58.8%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유기질 비료 45 kg 처리구가 55.0%로 가장 낮았다. 토양 염류농도는 혼합유기질 비료 45 kg/10a을 제외하면 시험전 EC 농도 1.35 dS/m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높아졌다. 특기할 사항은 토양의 NH4-N 함량으로 화학비료를 시용한 대조구에서 43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유기질 비료 시용구간에는 10 mg/kg 내외로 차이가 없었다. 혼합유기질 비료 처리에 따른 토양중 호기성세균의 분포는 혼합유기질 비료 90 및 135 kg/10a 처리구가 12.4, 및 12.8×106 CFU/g로 가장 높았으며, 생육기보다 수확기의 호기성세균의 분포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곰팡이수의 분포는 생육기에 혼합유기질 비료 90 kg/10a 처리구가 0.74×104 CFU/g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으며, 수확기의 곰팡이 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고른 분포를 보였다. 2. 혼합유기질 시용이 얼갈이 배추 생육 및 토양의 생물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얼갈이 배추의 포장 시험재배에서 엽수, 엽폭, 지하부 생체중, 지상부 건물중, 그리고 지하부 건물중 등은 혼합유기질 비료 시용구가 대조구인 퇴비구와 화학비료구보다 생장량이 양호하여 수량은 퇴비구에 비해 7.6%, 화학비료구에 비해 181% 증가하였다. 혼합유기질 비료 처리에서 통계적으로 F-test에서 유의한 형질은 지상부 생체중과 지상부 건물중이었고, LSD 0.05에서는 엽폭이 유의한 차를 보였다. 광합성 미생물 Rhodobacter azotoformans의 개체수는 105개로 표시되어 있었으나 수확 후 토양 중 개체수는 1.93×104 CFU/g으로 나타나 세균의 토양 토착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945.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회용 주방용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17개 제품군, 총 51종의 일회용 주방용품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평가와 함께 오염된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감마선 살균 방법을 적용하였다. 일반호기성세균, 대장균군, 곰팡이 Salmonella의 오염도 평가 결과, 대장균군과 Salmonella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반호기성 세균은 전체 시료의 약에서 수준으로 검출되어 일회용 주방용품의 위생화가 필요함을
        946.
        200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남 목포시의 각 가정에서 담근 물김치에서 총 24균주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 유산균 중 5균주가 인공 위액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유산균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하였고, 특히 물김치로부터 동정된 유산균 MUL-2, MUL-4, MUL-18은 인공위액에서 3시간 배양 후에도 초기 생균수에 비해 변화가 거의 없어 가장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분리 유산균은 병원성 미생물인 Listeria monoc
        947.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o hundred [(Duroc×Yorkshire)×Landrace] pigs were used in a 117-d growth assay (including four growth stage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Lactobacillus reuteri on performance of swine, fecal and rectumal microflora and carcass grade. Pig diet was divided tow types, commercial diet (Control group) and supplemention of 0.1% Lactobacillus reuteri (Treatmental group). There was tend to increased in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efficiency (Feed/gain) in treat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The number of Lactobacilius spp. into rectum and feaces and carcass rate tended to increase in treat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mmonia emission from excreta were decrease by supplemention of 0.1% Lactobacillus reuteri in feed (P
        948.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물은 예로부터 건강의 증진 및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특히 천연물 및 식품류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페놀성 화합물들은 항산화, 암세포 성장억제, 항돌연변이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심혈관계 질환 및 암의 치료와 예방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백나무의 기능성 물질 확보와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국내에서 자생하는 동백나무를 부위별로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및 항미생물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산화효과는 항산화력 성분인 총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BPPH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는데 총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동백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건조중량 100 g에 대하여 어린잎, 꽃봉오리 및 꽃 추출물에 각각 74.24mg , 65.02mg, 그리고 62.42mg로 나타났다. Free radical소거활성을 공존시킨 DPPH의 50%를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 (RC50)은 어린잎, 꽃봉오리 그리고 꽃의 추출물에서 각각 7.16 μg/ml, 14.45 μg/ml 및 18.4 μg/ml의 낮은 농도로 활성을 나타내어 기존의 합성 항산화제인 BHT의 61.23 μg/ml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어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B. subitillis, S. fradiae, S. aureus, E. coli, P. aeruginosa, Enterbacter spp. C1036 및 S. typhimurium 7종의 시험균을 사용하여 동백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 하였는데 어린잎의 경우 15 μg/ml의 농도에서 9~13mm의 투명환을 보여 비교적 높은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내었고, 꽃봉오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P. aeruginosa와 Enterbacter spp. C1036 균주에서 가장 장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7종의 시험균에 대한 항균력이 가장 높았던 어린일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MIC)는 1~15으로 나타났으며, 그람양성균이 그람음성균보다 각 농도에서 최소저해농도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49.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가하천인 오산천에서 수행되었으며, 하천의 자정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부착미생물군집을 중심으로 하천에서 거동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하천현장에서 장기간에 걸친 모니터링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부착미생물군집의 현존량은 소보다는 여울구간에서 더 높았으며, 여울구간에서도 흐름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급여울지역에서 더 많았다. 또한, 부착미생물군집이 하상기질에 부착하는 초기에는 빠른 유속이 부착미생물군집의 증식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지
        950.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풋마늘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고 합리적인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풋마늘의 영양성분을 조사하였고, 풋마늘 분말을 첨가한 빵을 제조하여 관능검사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풋마늘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 조단백질 , 조지방은 , 회분 , 탄수화물이 였고,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와 sucrose가 확인되었다. 무기성분은 K이 1,140 mg/10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Ca, P, Na의 함량이 높았다. 총
        951.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사선 조사(5, 10 kGy)와 훈증처리된 건고추의 저장조건(실온,4, 8개월)에 따른 미생물학적, 수분함량, 기계적 색도 및 흡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처리군별 미생물 농도에서 무처리 시료의 총세균은 분말 고추 , 통고추 수준이었고, 효모 및 곰팡이는 분말 고추 , 통고추 수준으로 통고추에 비해 분말 고추가 높은 미생물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화학 훈증제는 살균 효과가 거의
        952.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studied a extraction and degradation of alginate from seaweed-stems using microorganism DS-02. DS-02 has a maximum growth rate at 30℃ and the enzyme has a maximum activity of alginate extraction at 35℃. The yield of alginate extraction using DS-02 is about 16.0% for 3.0 hour and molecular weight of the alginate decreased to about 1/8 of initial value after 24 hour extraction. Alginate extraction method by DS-02, compared with general alkali-extraction method, has an advantage of decreasing the molecular weight of alginate during extraction.
        953.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 단백 필름 포장 방법이 쇠고기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장 중 중량 감소율, pH, TBARS, 미생물 수 (총균수) 등을 측정하였다. 쇠고기는 로즈마리 추출물을 첨가한 대두 단백 필름으로 포장 한 후 에 저장하였다. 중량 감소율은 대조구에 비해 포장재를 사용한 것이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대두 단백 필름 포장(NPF)과 로즈마리 추출물을 첨가한 대두 단백 필름 포장(RPF)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저장 중 pH의
        955.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grilled fish paste stored at , the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were effectively reduced by 2.5 kGy or more. In the samples stored at , the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of the samples irradiated at 7.5 kGy were below to the limit of detection (2 log CFU/g). The TBA values of the irradiated samples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s but not proportional to the irradiation dose. It is apparent that an irradiation treatment causes very little textural degradation and the sensorial quality of the sample was maintained by an irradiation at 7.5 kGy or more.
        956.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crobial product on microorganisms in soil and the growth of leaf lettuce. The test material were treated with chitosan, wood vinegar and EM activity liquid, and treatment concentration was 50 times solution and 100 times solution level with foliar applica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Among foliar application of microorganisms treatments diluted by chitosan 100 times solution level was effective considering growth of leaf lettuce as compared other dilutions and control plot. Change of microorganism number in the soil for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s and leaf lettuce was increased with microorganism treatment plot as compared with control plot. Specially chitosan 100 times solution level showe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957.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icrobial products on growth of chinese cabbage and microorganisms in soil. Two different levels of microbial products, such as 50 times and 100 times diluted solutions of chitosan, wood vinegar and EM activity liquid, were treated for foliar applica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Among foliar applications of microbial products, 100 times diluted solution of chitosan was effective on growth of chinese cabbage comparing to other levels of dilutions and untreated control plot. The number of microorganism in the soil tended to increase under the treatment of microbial products compared to control plot. Especially, the numbers of the bacteria and actinomycetes were estimated 73.67×10³ CFU/g and 34.00×10³ CFU/g, respectively, under the treatment of 100 times diluted solution of chitosan.
        960.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백나무의 잎과 꽃의 식용자원화를 위한 일환으로서 동백의 부위별 성분분석, DPPH radical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활성, 및 항미생물 활성을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은 꽃과 어린 잎 부위에서 70% 이상의 함유율을 보였고, 조단백질의 함량은 꽃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3%이상이었으며, 지방 함량은 씨부위에서 23.08%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회분의 함량은 수피 부위에서 2.97%와 탄수화물의 함량은 에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은 어린잎(RC50=30.37μg/mL), 꽃봉오리 (RC50=52.97μg/mL)와 꽃(RC50=59.48 μg/mL)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합성 항산화제인 BHT의 RC50 값이 584.04μg/mL의 활성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백을 각 부위별로 추출하여 병원성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및 효모 등 4균주에 대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검토한 결과, 동백의 수피 부위가 P. vulgaris와 B. subtilis에 대한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어린잎은 C. albicans와 T. beigelii 모두에 대하여 매우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