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293

        5824.
        2016.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blast work inevitably exists a vacant space between drilling hole wall and explosive. So it cause an blast inefficiency called on a decoupling effect. In this study, For enhancing the detonation efficiency and reducing the environmental problem(vibration, noise, etc.), water is used to fill the vacant space. Water filling has many advantages such as efficiency, low price and workability. In the comparison analysis the field test is carried out. It result on an aspect of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The result measured in the field is as follows; First, the water tube blast reduces the vibration by 16.5% and lessen the noise by 1% comparing to general blast. Secondly, water tube blast makes a separation distance shortened by maximum 15m. Thirdly, in the case that the same quantities of explosive are used, the amount of crushing per hole increased by about 12.8% in water blast method. The quantity of the explosive is reduced by about 11.4% comparing with general blast.
        4,000원
        582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의 목표는 쌀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쌀면을 제조하는데 있어 최적 품종을 결정하는 것이다. 쌀 면 제조에 사용된 쌀 품종은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품종인 밀양 278호, 한아름 2호, 백진주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쌀을 건식 제분하여 100-150 mesh 체를 통과한 쌀가루를 쌀면 제조에 이용하였다. 쌀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 은 호화특성, thermo-mechanical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쌀가루의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라 호화특성 및 thermomechanical 특성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품종별 호화 개시 온도는 밀양 278호, 한아름 2호, 백진주 각각 70.0, 62.7, 63.0 ℃이었으며, 고아밀로스 함량을 갖는 쌀가루 품종인 밀양 278호는 높은 호화 온도를 나타내며, 호화 시 점도의 특성 또한 다른 품종과 차이를 보였다. 제조된 쌀면의 특성은 면의 질감분석, 조리손실률, 국물의 탁도, 단면사진을 통해 분 석하였다. 밀양 278호, 한아름, 백진주로 제조한 쌀 건면의 경도는 각각 4.55, 2.24, 1.89 N의 값을 나타내었다. 면을 삶았을 경우에 백진주는 면이 형성되지 않고 잘게 끊어져 면의 질감을 측정을 할 수 없었으며, 밀양 278호와 한아름 2호 쌀면의 Rmax 값은 각각 0.86, 0.46 N을 나타내었다. 밀양 278호 품종의 경우 다른 두 품종에 비해 호화 시 높은 점도를 나타내고, 낮은 조리 손실률 등 제면 가공적성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582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유기농 쌀가루에 물리적 처리를 통하여 저항전분의 함량 증가 및 이의 물리화적특성을 확인한 것이다. 저항전분의 함량을 늘리기 위해 유기농 쌀가루를 heating (autoclave, 121℃, 15min)과 cooling (4, 25, 50℃)과 같은 물 리적 처리를 하였다. 입도분석기(Laser Particle size analyzer, CILAS 1190 Liquid, CILAS. France)를 이용하여 평균입도 를 측정하였으며, organic rice powder (ORP)에서 12.92μm, 물리 처리한 유기농 쌀가루는 40-51μm로 3-4배 증가한 것 을 확인 할 수 있었다. Rapid ViscoAnalyzer (RVA-Super4. Newport Scientific. Australia)을 이용하여 호화 특성을 확 인한 결과 물리 처리한 유기농 쌀가루는 ORP에 비해 peak viscosity, final viscosity가 25배 이상 낮아졌으며, pasting temperature는 관찰되지 않았다.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에서 ORP의 경우 atypical globular shape를 보였지 만, 물리 처리된 유기농 쌀가루의 경우 얇은 slice shape를 보였다. 유기농 쌀가루의 저항전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ORP 와 4, 25℃로 cooling한 유기농 쌀가루에서는 0.51-0.90%를 보였지만, 50℃로 cooling한 유기농 쌀가루는 10.46%로 10 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기농 쌀가루를 물리처리 함으로써 난소화성 전분인 저항전분함량 을 늘려 체중 조절용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582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산물 가공업체의 생산품목에서 분말류를 주원료로 하는 다류가공 사업장은 차지하는 비율은 ‘08년 기준 41개소 이며 전체 가공시설의 13.3%로 가장 점유율이 높다. 기능성 성분 함량이 높은 농산물의 분말은 건강기능성 식품의 원 료로 활용되고 있어 소비자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분말식품 가공은 다른 가공식품에 비하여 제 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여 농가에서도 관심이 높은 품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가형 분말식품 가공 사업장에의 가공 설비 종류, 배치 및 제조공정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분말가공 식품의 공정을 분석하고, 농가형 가공사업장 에 적용할 수 있는 위생구역을 설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농가형 분말식품 가공 시설은 원료창고, 가공실(원료전처 리, 추출, 건조 등), 분쇄 및 환제조실, 계량 및 충진실, 외포장실 및 사무실로 구성하고 위생구역을 설정 하였다. 분말 가공제품의 이물질 혼입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량 및 충진실을 청결구역으로 설정하였고 충진과 내포장이 완료된 제품은 pass-box를 통하여 외포장실로 이송하여 출고되도록 하여 소규모 가공시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 도록 설계하였다.
        5828.
        2016.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밀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반죽과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면제품의 경우 시료의 두께가 매우 작아 일반적인 압축응력을 사용한 측정으로 기계적 특성이나 관능검사와의 상관관계를 규정 짓는 조직 감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면제품에 인장력을 바탕으로 한 기계적 특성을 측정을 적용할 경 우 압축응력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들의 많은 부분들이 보완될 수 있다.또한 반죽의 경우 배합비에 따른 성형정도가 가공적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으며,이는 신장성을 나타내는 인장 력의 측정으로 정량화가 가능하다. 인장력측정이 기계역학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사용되기 어려운 이유는 측정하고자 하는 시편을 인장력이 적용되는 방향으로 고정시킴이 필수적인데, 이 같은 고정 점에서 미끄럼(slip) 현상이나 응력집중(stress concentration)이 발생하여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 이다. O‐ring형태로 시편을 만들어 인장력 측정을 할 경우 미끄럼현상과 함께 응력집중현상을 최소 화하여 면반죽 및 면 제품의 인장력 측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O‐ring 형상의 시편을 이용한 면류제품의 인장도 측정법의 개발, 2) 밀가루 면,밀가루와 분말형 첨가물이 혼합된 면, 밀가루와 액상 혼합물이 혼합된 면의 인장도를 ring tensile 측정법으로 측정하여 혼합된 첨가물이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3) 영상분석을 통한 인장도 측정 시의 변형률 분포도의 비교, 4) ring tensile측정법을 이용한 응력 및 변형률의 계산이다. 시료로는 1) 밀가루만을 이용한 반죽과 면, 2) 유색감자분말을 첨가한 면, 3)해삼추출물을 첨가한 면을 사용하여 반죽과 면상태에서의 인장력을 측정하였다. 인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는 자체 개 발된 장치를 사용하여 texture analyzer(Brookfiled, Middleboro, MA US)에 부착하여 인장력을 측정하 였다. 시편에 인장력을 가한 속도는 0.5mm/sec로 고정하여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다. 면의 시료의 두 께는 5mm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밀가루만으로 만든 면의 압축응력을 측정할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파손강도와 파손 거리에서 모두 얻기가 어려웠다. Ring형상의 시편을 만들어 인장력을 이용하여 측정할 경우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5반복에서 도출할 수 있었으며 10반복 이상을 적용할 시에도 그 5반복과 비 교하여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밀가루로만 만든 면의 경우 반죽의 파손인장강도는 조리 시의 면보다 낮았으나 반죽의 파손인장거리는 조리된 면보다 높았다. 이는 조리 전 반죽 상태의 글루텐 의 신장성과 조리 후 호화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이다. 분말의 첨가물을 포 함한 경우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첨가되는 분말의 함량, 입자크기 등에 따른 유의미한 기 계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액상의 첨가물도 인장강도와 인장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면제품이나 시편의 두께가 작을 경우 인장력을 측정하여 시료의 기계적 특성을 정 량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다양한 시료에서 유의차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