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the increasing power of distributors has given them the opportunity of introducing private brand (PB) products. Based on the game theory, this study analyzes the decision making of a distributor regarding the optimal pricing and quality strategi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개발도상국의 해외 직접 투자(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의 동인 분석이며 연구 대상국은 중국이다. 제도이론(institutional theory)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기존 연구에서는 실증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본국 및 진출대상국의 제도적 요인을 모델화하여 전통적 해외 직접 투자 동인과 제도적 요인들의 직접 효과 및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상무부가 공식 발표하는 2003~2008년까지의 OFDI 데이터와 해당기간 진출한 62개국의 지표를 이용, GLS 회귀분석 방식으로 분석하였으며 총 6개의 가설 중 4개의 가설이 지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해당기간 중국 해외 직접 투자의 핵심적인 동인은 천연자원형 추구로서, 이러한 동인이 시장추구형, 효율성추구형, 전략적 자산 추구형보다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중국 자체의 제도적 요인과 투자대상국의 제도적 요인이 모두 해외 직접투자의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이러한 제도적 요인이 각각의 해외 직접 투자 동인에 따라서 그 조절효과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국의 해외 직접 투자 패턴은 전통적인 해외 직접 투자 이론에 부합하면서도 일부분은 중국 특유의 투자 패턴이 혼재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D 지출은 지속적이어야 하며, 일시적으로 감소할 경우 이후 상당한 조정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재정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경우 R&D 조정비용을 회피하기 위해서 기업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을 이용하여 R&D 자금을 조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업의 재정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이용한 기업 연수 뿐 아니라 기업 규모, Altman Z-score 및 K-Score에 따라 기업의 재정상태를 구분하였고, Brown and Petersen(2010)의 동적 R&D모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재정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기업을 분석한 모든 결과에서 R&D지출과 기업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과 유의한 음(-)의 관계가 도출되었다. 즉, 중소기업, 부도확률이 중간이상인 기업, 기업 연수가 짧은 기업일수록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지속적인 R&D지출을 위해 기업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man의 Z-Score와 K-Score를 사용하여 분류한 결과는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었는데, 부도확률이 매우 높은 기업들은 R&D 지출을 유지하고 있지 못하지만, 다만 판단유보 상태에 있는 중간 기업들이 재정적인 어려움에 처했을 때에도 막대한 R&D 조정비용을 예방하기 위하여 현금성 자산으로 재원을 조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논문에서 설정한 가설과 일치되는 것으로 재정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기업은 현금성 자산을 이용해 R&D 자금을 조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eunginjimun as treasure No.1 is wooden structure of 2 story. This stucly presents an investigation on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Heunginjimun in Seoul through ambient vibration test. The research team studi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unlike general building and performed the test. Natural or environmental excitation as ambient vibration source is always present and hence the test implies a minimum interference with normal use of the structure. Natural frequencies, damping ratio and modes are identified and compared using two strategies, Frequency Domain Decomposition, Stochastic Subspace Identification techniques. The result shows that behavior and dynamic property of Heuninjimu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usability of Cirsium setidens(CS), Aster glehni;(AG), Kalopanax pictus(KP), Anthriscus sylvestris(AS) as functional food in aspects of their functional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alysis of proximate composition showed that CS contains mor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crude fiber than the other samples. AG showed higher contents in phosphorus, and AS showed higher contents in magnesium, calcium, sodium, potassium, copper, and CS showed higher contents. Total phenol contents was highest in AS as 0.245% and lowest in CS as 0.194%. Regarding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aqueous fraction, AS appeared strongest as 64.93% at pH 1.2. Regarding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KP was appeared strongest as 66.73% at pH 1.2.
본고에서는 중국시장에 상장된 A주 시장과 홍콩시장에 교차상장된 H주 시장 간의 가격정보 전달과정을 분석하고 동일한 주식의 두 시장 간의 가격 차이에 대한 기존 가설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장의 개방 전후 시점을 비교하여 본국시장주도가설과 정보비대칭가설도 검정하였다. 주가지수를 이용한 GJR-GARCH모형을 통한 분석에서 본국주도가설은 설득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변동성이전효과를 나타내는 계수 값은 외부 시장인 홍콩 H주 지수시장에서 중국 국내시장인 상해 및 심천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즉, 외부 선진시장에서 본국시장으로 변동성 이전효과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중국 시장 개방 이후 수익률의 정보 이전효과를 의미하는 계수 값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다른 계수는 서로 일방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홍콩과 중국의 두 시장은 거의 동시에 서로 영향을 미치는 통합된 시장으로 감을 알 수 있다. 양 시장에 교차 상장된 개별지수를 이용한 인과관계검정을 통한 분석에서는 두 시장주식들 간에 피드백 또는 상호인과관계가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개방 후에는 외국인도 정보에 더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방후가 개방전보다 국내주인 A주로부터 해외 주인 홍콩 H주로의 상호인과관계가 크게 개선되지 못했다. 이는 정보비대칭가설은 설득력이 없음을 시사한다.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양 시장 간의 정보 전이에서 지수 간에는 상호 영향을 미치고 개방 후 상호 영향력은 증대 하였다. 그러나 중국시장과 홍콩시장 간에 지수 및 교차상장 된 개별 종목의 가격차이분석에서 본국주도가설이나 정보비대칭가설은 설득력이 없고 시장의 다른 특성에서 찾아야한다고 사료된다.
FOSS(free and open source software)는 라이선스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소스코드를 재사용하거나 수정 및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서, 정보시스템 구축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최근 GIS의 컴퓨팅 환경이 웹으로 확장되면서 FOSS를 활용하여 공간데이터를 공유하거나 시각화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볼 때, 웹GIS에서 FOSS 애플리케이션들은 환경 및 생태 정보 제공을 위한 지도서비스가 주를 이루며 분석지향적인 사례는 매우 드물다. 또한 공간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GIS툴, 통계패키지 등의 FOSS가 개별적으로 웹GIS에 활용되어 왔으나, 개방성과 재사용성이 우수한 이들 FOSS를 커플링(coupling)하면 공간자료의 공유, 시각화에서 더 나아가 공간데이터의 통계분석을 지원하는 웹GIS가 구축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환경에서 DBMS, GIS툴 및 통계패키지를 커플링하는 브로커리지(brokerage)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간자료의 저장, 질의, 처리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며 그 결과를 시각화하는 FOSS 기반의 웹GIS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공간 DBMS로는 래스터와 벡터가 모두 지원되는 PostGIS을 이용하였고, 공간데이터 프로세싱에는 GRASS, 통계분석에는 R, 시각화를 위한 지오브라우저로는 Google Maps와 Google Earth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FOSS들의 커플링을 위한 브로커리지 모듈은 운영체제 독립적인 Java 언어로 구현되었으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JSP(Java Server Pages)에서 참조하여 웹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에서는, 남한지역의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환경요소 간의 회귀분석을 수행하는 프로토타입을 통해 공간데이터의 공유, 프로세싱, 시각화, 분석에 있어서의 가용성이 검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existing assessment tools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improve them through combination. A total of 314 patients with low back pain participated. Their condition was assess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ODQ), the Quebec Back Pain Disability Scale (QBPD), and the Back Pain Functional Scale (BPFS). Rasch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inappropriate items, item difficulties, and the separation index. In this study, the 'sex life' item of the ODQ (10 items) and the 'sleeping' item of the BPFS (12 items) showed misfit statistics, whereas all items of the QBPD (20 items) were appropriate. After combining the ODQ, QBPD and BPFS, Rasch analysis was applied. The 'pain intensity', and the 'sex life' item of the ODQ and the 'throw a ball' item of QBPD showed misfit statistics. These 3 items were retained for further analysis. The remaining 42 combined ODQ-QBPD-BPFS items were arranged according to difficulty. For all subjects, the most difficult item was 'pain intensity', whereas the easiest was 'take food out of the refrigerator'. As the separation index of 42 combined ODQ-QBPD-BPF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hree questionnaires separately, difficulty of items varied with some need for rearran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and need for a new back pain disability assessment tool, and produced one. Further study is needed to refine the questionnaire in consideration of psychosocial and occupational factor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which fall-prevention program offered in community settings in Korea is the most effective in strengthening muscles. Muscle weakness is one of the major risk factors causing falls among the elder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clinical controlled trials published between 1996 and February 2011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eventeen of the 69 identified studies met the study's criteria and were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 was .822 (95% confidence interval= .717~.927). The general strengthening exercise (1.608), dance sports training (1.538), Thera-band exercise for lower extremities (1.517), Seniorobic exercise (1.146), gait training (.959), balance training (.909), gradual resistive exercise (.888), and multifactorial fall prevention (.842) programs all show positive effects on muscle strengthening. Subgroup analyses found that more relative effects are seen in programs offered to the more elderl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ncreasing muscle strength on the prevention of falls can only be indirectly suggested; there are few available studies that report the frequency or history of falls in Kore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s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factors related to the ability of ambulatory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CP) to walk over vertical and horizontal obstacles. Twenty patients with spastic CP who were able to walk independently for at least 10 m with or without walking device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walk over small obstacles (1, 4, and 8 cm in height or width; total of 6 conditions). A 'fail' was recorded when either the lower limbs or the walking device contacted the obstac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ge, sex, walking devices, eyeglasses, subtype (hemiplegia or diplegia), ankle foot orthoses, functional level, and score of body mass index on the ability of obstacle crossing. Fifteen participants (75%) failed to adequately clear the foot or walking device over obstacles in at least 1 condition. The chance of failure in crossing vertical obstacle was affected by the use of ankle foot orthoses, eyeglasses, gender, and CP subtype (p<.05). The failure rate crossing horizontal obstacle was affected by CP subtyp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habilitation procedures should (1) conside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 order to prepare them to be more independent while performing daily activities, and (2) incorporate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patients encounter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본 연구는 불특정 다수의 도로이용자들이 경로우회 시 갖는 의사결정과정속에 내포된 비선형성과 불확실성을 고려한 정도 있는 모형구축으로 주요 우회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고속도로 및 국도를 이용하는 운전자를 대상으로 우회여부에 관련된 SP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에 대하여 의사결정나무와 신경망이론의 결합된 모형을 구축하여 운전자 우회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운전자 우회여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회도로 인지여부, 교통정보 신뢰도 및 이용빈도, 경로전환빈도, 나이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분류표를 통한 기존 모형과의 예측력의 비교결과 결합된 모형의 오분류율이 8.7%로 기존 모형인 로짓모형 12.8%, 의사결정나무 단독 모형 13.8%와 비교했을 때 가장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운전자 우회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모형의 적용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통량 분산효과와 도로망 효율 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우회관리전략 수립 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최근 고속도로 사고발생량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치사율은 증가하는 추세임에 따라 고속도로의 교통사고 감소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고속도로의 경우 사고다발지점의 등급별 관리기준을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어 이에 대한 등급별 사고 영향 인자를 파악하는 것이 세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이용률이 높은 경부고속도로를 대상으로 해당구간 내 사고지점에 대한 등급별 데이터를 기준으로 주변환경 요인 중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고, 사고특성을 분석하여 사고등급을 결정지을 수 있는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사고관련 변수 중 고정변수인 기하구조를 기준으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특성을 고려한 수량화이론 제2류 기법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한 결과, 사고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평면선형의 경우 승합차종과 차대 사람이, 종단구배는 트레일러 특수차량과 차대 사람, 방책시설은 주시태만과 흐린 날씨가 공통인자로 분석되었다.
근래의 폭발적인 차량의 증가와 지가 상승, 도시부 시가지 내에서의 지상공간의 공급한계, 자연환경 및 경관에 대한 사용자 요구수준의 증대 등 여러 이유로 지하공간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공간의 개발은 필연적으로 건설비의 증가로 이어지며 대형 구조물의 설치는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최근에 가능하면 도심 구조물의 경우 경량화, 소형화 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지하공간의 개발을 위해 대구광역시의 도시부 도로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지하차도 구조물을 대상으로 미시적 소프트웨어인 VISSIM 5.20을 이용하여 소형차 전용 지하차도 도입에 따른 지체시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소형차 전용 지하차도 도입 시 운영 방식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대형차량을 지하차도를 통해 통행시키지 않고 지하차도 상부 평면교차로를 이용해 통행하도록 하였으며, 교통특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접근로의 포화도(v/c)와 대형차량 혼입률을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통행시간의 변화를 알아보고 기존 지하차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소형차 전용 지하차도의 도입은 토지매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른 환경훼손 및 친환경적 녹색교통 측면에서도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콘크리트 포장의 다웰바는 교통하중을 줄눈 넘어 인접한 슬래브로 전달하는 하중전달장치이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다웰바는 원형봉강으로 교통하중과 환경하중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전단응력과 휨응력에 대해 높은 내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강재 다웰바는 장기간 공용시 줄눈틈, 포장 하부 등으로 침투한 수분으로 인해 부식이 발생한다. 특히, 겨울철에 사용되는 제설용 염수와 접촉할 경우 부식은 급격히 진행된다. 다웰바에 부식이 발생하면 부피가 증가하여 줄눈의 거동을 방해하며 유효단면적의 감소로 하중전달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지속적인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강재 다웰바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강재 다웰바의 문제점은 새로운 재료를 사용한 대체 다웰바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인장강도, 높은 내부식성을 갖춘 FRP(fiber reinforced plastic)를 튜브 형태로 제작하고 그 속을 고강도 무수축 모르타르로 충진한 FRP 튜브 다웰바에 대한 역학적 두께 설계를 실시하였다. 역학적 두께 설계의 기준으로 다웰바와 콘크리트 면 사이에 발생하는 지압응력을 사용하였다. 지압응력의 산정을 위하여 다웰바에 전달되는 교통하중을 이론식과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산출하고 실내시험을 통해 FRP 튜브 다웰바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직경 32mm, 40mm FRP 튜브 다웰바 모두 지압응력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콘크리트 포장은 콘크리트 슬래브 하부에 강성이 큰 린 콘크리트층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웰바에 전달되는 교통하중이 적고 이로 인해 지압응력도 낮아져 상대적으로 적은 직경의 FRP 튜브 다웰바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과속방지턱의 설치규격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동역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과속방지턱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기하구조 자료를 수집하여 현행 설치기준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차량과 운전자를 일체화시킨 단자유도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충격하중에 의한 변위응답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해석 결과 과속방지턱의 폭과 높이는 커질수록 운전자에게 미치는 심리적 부담감이 커지나 과도한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도록 크기를 결정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과속방지턱의 폭과 높이의 비율은 운전자가 느끼는 수직가속도의 크기를 지배하므로 폭과 높이의 조화도 고려하여 과속방지턱을 설치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프리스트레스 접속슬래브(PTAS: Post-Tensioned Approach Slab)가 환경하중을 받아 컬링할 때의 거동을 수치해석을 통해 적절히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TAS의 한쪽 단부가 교대에 힌지로 연결되는 부분을 해석 모형에 적합하게 포함시킬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였으며, 접속슬래브의 헌치 부분을 삭제한 단순 형상의 접속슬래브 모델의 사용성도 분석하였다. 개발한 모델을 이용하여 교대 뒤채움부 침하에 의한 접속슬래브의 컬링 응력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TAS의 단순화 힌지를 포함한 단순 형상 모델은 실제 형상 모델의 최대인장응력을 산출하기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컬업시에는 하부지반 침하가 없는 PTAS에서 최대인장응력이 도출되었으며, 컬다운 시에는 하부지반 침하가 진행된 PTAS에서 최대인장응력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컬링 응력을 고려하여 설계를 수행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