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due to economic growth, living environment has been convenient and comfortable and so human activities were decreased. Consequently energy consumption was also decreased. Also the habit of food intake has been changed and the tendency of obesity has been increased.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alysis of obesity index of residents in six metropolitan cities. According to analysis of Rohrer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regionally between men and women in metropolitan cities. Through analysis of Drop Valu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regionally between men and women in metropolitan cities on circumferences of chest, waist and buttock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in manufacturing and design of uniforms and equipments for safety.
We adapted association rules of data min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among the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roposed the method of preventing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associated wi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in previous study. Th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difficult to establish the method of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case factors can't be managed by worker himself, i.e., age, gender, marital statu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devised association rules of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roposed the interactive method of preventing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applying association rules with the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in previous study.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revention method of one part also prevents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other parts of body.
우리나라 청소년층인 중·고등학생(13~19세)의 칼슘 섭취량은 권장량 대비 55.4%로 심각하게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교우유급식은 청소년층의 칼슘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력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학교우유급식이 전체 우유섭취량 증대보다는 가정소비 우유의 대체로 전체 청소년층의 우유소비 증가에는 효과가 없다는 견해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우유급식이 중·고등학생들의 우유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인지 여부를 밝혀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우유급식을 실시하는 중·고등학교에 재학하는 학생 1,079명을 대상으로 2006년 6월 15일부터 7월 15일 까지 1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에는 Tobit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우유급식이 학생들의 우유음용에 대한 건전한 습관을 형성하고 우유급식을 하지 않는 학생보다 우유소비량이 더 많으며 그 차이 또한 학교에서 급식으로 섭취하는 양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고등학교 우유급식의 확대는 청소년층의 칼슘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00에서 2004년까지 5년 동안 방송 3사와 신문 3사에서 비브리오에 관한 보도기사를 내용분석 하여 언론의 비브리오 관련 보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자 하였다. 기존 비브리오에 관련된 연구는 생물학적 관점에서 균의 특성이나 방지 시스템 또는 예방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비브리오에 관한 언론의 보도를 좀 더 객관적ㆍ체계적으로 조명하고 이러한 보도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브리오 관련보도기사는 방송이 신문보다 많았고, 여름철 5월에서 9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보도되었다. 기사유형은 뉴스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지면은 사회면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기사는 40줄 이하로 짧았고, 전체기사 중에 23.6%는 유사보도였다. 유사보도를 긍정적인 면에서 해석을 한다면 비브리오에 국한된 보도 보다는 다양한 장르에서 폭넓은 정보를 전해 준다고 볼 수 있다. 기사제목에 비브리오라는 단어가 대부분 포함 되어 있고 주의보 발령, 감염자 입원치료, 감염자 사망 등을 집중적으로 부각하고 있다. 반면에 퇴치노력이나 예방조치 사항은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고 있다. 따라서 비브리오는 혐오스러운 전염병으로 인식이 되어 외식업에는 상당히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내용의 강도에서는 저강도와 고강도가 비슷했고, 방향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이었다. 정보원은 지자체 보건당국, 국립보건원과 감염자의 진료병원 등의 비중이 컸다. 보도의 중심은 상대적으로 생산과 유통 및 외식관련업계의 입장을 고려하는 보도기사가 미흡했다. 기사의 표현방식은 사실적이고, 자극적인 기사가 많았고, 전문적이고, 분석적이며, 심층적인 기사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기사의 성격은 사실기사가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에 기획이나 분석기사는 적었다. 감염자의 연령은 40대에서 60세 사이의 중장년층이 가장 많았고, 감염자의 성별은 남녀가 비슷했다. 그러나 성별을 구별할 수 없는 기사의 비중이 많았다. 매체별 기사의 특성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체별 기사강도는 전반적으로 방송보도가 신문기사 보다 고강도로 나타났으며, 기사의 방향에 있어서도 방송이 신문보다 부정적인 면이 높게 분석되었다. 매체별 기사의 중심은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방송보다 신문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방송이 신문보다 훨씬 높았다. 방송과 신문 모두 지자체 보건당국과 국립보건원, 감염자를 진료한 병원에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사의 표현방식은 방송이 신문보다 더 자극적이고 혐오적인 표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사의 성격에서는 신문과 방송 모두 사실기사가 91.5%로서 대부분을 차지했다. 유사보도에 있어서는 방송이 23.0%이고, 신문은 77.0%로서 신문이 훨씬 많았다. 유사보도를 긍정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보다 폭넓은 정보를 제공해준다는 면이 있고, 방송보다는 신문이 더 많이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differences about meal conditions and food preference between non-obese and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en children(non-obese 5 and obese 5) from each of the nationwide 192 schools were surveyed by self-developed questionnaire. Total of 1,767 questionnaires(815 from non-obese and 952 from obese children) were collect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height between non-obese group(151.0±12.5cm) and obese group(151.2±12.3cm). But BMI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obese group(18.0±2.2cm) and obese group(27.3±3.2cm). Economical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 groups. But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and mother’ job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2 groups. Only 2/3 of the subjects reported to have breakfast at regular basas, regularity of having breakfas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 groups. Also regularity of having lunch during vac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 groups. But Reasons of skipping breakfast and lun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 groups. Regularity of having dinner, reasons of skipping dinner, intake amount in dinner, and frequency of having snac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 groups. But the time required for lunch and dinner were under 20 minutes of 60-80% of the subjects,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 groups. Non-obese group have liked fast foods, fruits & juices, sweets, and cakes & cookies than obese group. Obese group have liked meat & meat products and ramyeon, but they have not eaten those foods frequently because of anxiety about being more fatt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clude different strategy according to obesity and obese prevention program is needed for non-obese school childre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Korean specific particles ‘i/ga’ and ‘eul/leul’ and show how to teach them effectively to foreign learners. In this respect, we first analysed some typical ‘i/ga’ or ‘eul/leul’ constructions: they seem very similar in appearance but their syntactic structures are quite different. We showed that in order to explain effectively ‘i/ga’ and ‘eul/leul’ constructions, the notion of ‘topic’ should be introduced and found that there exist some particular semantic restrictions between two successive noun phrases participating in ‘i/ga’ and ‘eul/leul’ constructions. Secondly, we tried to show how to construct the educational substance and method of these specific particles ‘i/ga’ and ‘eul/leul’. We proposed to introduce types of ‘i/ga’ and ‘eul/leul’ constructions, typical predicates used with these constructions, semantic restrictions of two successive noun phrases participating in these constructions, equivalent constructions corresponding to these constructions and their concrete examples in constructing the educational substance and method of the specific particles ‘i/ga’ and ‘eul/leul’.
The aim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to develop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it can be said that speakers might communicate their own idea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linguistic context and condition. Surely considering this ability is deeply related with culture, it has been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learning culture. Language is part of a culture, so we have to accept naturally to program the teaching culture as a part of teaching language. Actually, such that thinking is apparently not proper. In other words, we need the education of the incorporating both culture and language. Currently, it has been grow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culture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influenced by the movement of teaching foreign language, as reflecting of that above, most of the textbooks published since 2000 have included the cultural content and materials specially with the emphasis o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fter looking into the situation in teaching language of culture about such that textbook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educational wa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ose facts. To do so, as the aspect of the communication in language teaching,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whether the cultural content in the textbooks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real communicative situations where participants from the different culture and language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effectively. This point of analysis depending on the criteria of the cultural content, the origin of culture, and the cultural activities is to distinguish three parts briefly, the pragmatical part, the area of cultural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of culture.
We investigated the intake trends of street foods for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s students through the survey study.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tudents' consumption of street foods and their perception toward hygiene status of street vendor were studied. The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groups and enterobacteriaceae in Kimbab, eomuk, and eomuk-kukmul were counted using 3M petrifilms. More than ninety seven %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street foods. All the respondents ate street foods 1 to 5 times a month. Forty percent of the respondent stated that 'good taste' and 'time-saving convenience' were their reason for eating the street foods. Their favorite foods were ddokbokgi and various fried foods. All the students responded that frying oil, drinking water, and soy sauce as well as the street vendors' attire and their cooking tools in street vendor were unsanitary. For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ranked frying oil as the most unsanitary substance. Eigh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an enforcement of hygiene should be imposed on the street foods vend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among the student's age in the opinion related to the reasons of eating street foods, hygiene enforcement, existence of street foods and interest of hygiene status of street foods. High correlation (p〈0.05) between the frequency of street foods and snack intakes was shown, regardless of student's age. The result shows that those who eat snacks more than once a day tend to eat street foods more frequently. Aerobic plate counts in Kimbab in 5 different vendors exceeded 105/g and contamination levels of enterobacteriaceae or coliform in Kimbab exceeded more than 103/g, which did not satisfy the microbiological standards. In conclusion, although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sanitation of street foods was poor, most of them want the street food vendor to be maintained with better hygiene condition. This indicated that the regulation for safe street foods should be enforced and educational information about the preparation and serving for safe street foods should be provided to street food vend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consumers seriously considered when purchasing HMRs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factor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adults in their twenties or older who had used HMRs and liv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Korea. Random sampling picked 550 of them, who were distributed a questionnaire from March 12 to 30, 2005. Total 451 questionnaires were returned(the return rates were 82%). The validity of the 27 features was examined by factor analysis. There were seven factors identified, and they were labeled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ir items as follows: 'Factor 1. food quality,' 'Factor 2. appearance and packaging,' 'Factor 3. convenience and reliability,' 'Factor 4. access,' 'Factor 5. familiarity,' 'Factor 6. positive experiences,' and 'Factor 7. practicality.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날씨'와 '일기예보'를 다루고 있는 시각적 이미지를 사회-기호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시각적 이미지는 실제 세상의 현상을 묘사하는 '실체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든 시기의 초등 과학 교과서의 시각적 이미지는 대부분 학생들에게 친숙하였음을 의미한다. 시각적 이미지와 학생 사이의 의사소통에 대한 주도권 양상은 복잡하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시각적 이미지들은 시기에 관계없이 대부분 기하학적 코드나 숫자 문자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시각적 이미지의 정보의 양과 형태, 구조 및 사회적 의미 등을 해석하는 새로운 분석도구를 제안해준다. 또한 차기 과학교과서의 이미지 선택에 사회-기호학적 관점을 도입하는 하나의 전기가 될 것이다.
이 논문은 유가의 입장에서 사상을 달리하는 불가의 스님을 대하는 양상이 어떠하였는지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두 작품을 서로 비교한 것이다.두 작품은 中唐의 문인인 韓愈의 「送浮屠文暢師序」와 조선전기의 문인인 李陸의 「送日本僧聖津首座還國詩序」다.700여 년이라는 시간적 거리에도 불구하고 유가로서 불가를 바라보는 시각을 공통적으로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웠다.우선 한유의 작품을 전범으로 설정하여 분석한 후,이륙이 그 전범을 모의하였는지의 여부를 작품의 내용을 대비하는 방법으로 밝히고자 하였다.분석한 결과,한유는 유가로서 불가를 대하는 데에 ‘이름이 유가면서 불가의 행동을 하는 자’와 ‘이름이 불가면서 유가의 행동을 하는 자’의 두 유형으로 나누고는 전자를 배격하고 후자를 승인하는 태도를 보였고,더 나아가 후자마저도 ‘이름이 유가면서 유가의 행동을 하는 자’가 되도록 요구하였다.그것은 불가를 부정할 뿐만 아니라 상대인 불가의 스님조차 인정하려 하지 않는 극단적인 입장이었다.이러한 한유의 견해는 유가의 도에 대한 자신의 논리를 전개한 「原道」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한유는 聖人의 道에 대비되는 불가의 교리가 인간을 夷狄이나 禽獸로 만드는 야만적인 것이라고 여겼기에 비판한 것이다.이러한 한유의 불가에 대한 인식은 왜구의 노략질로 골치를 썩어온 조선전기의 문인인 이륙에게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그 결과 이륙은 한유가 「送浮屠文暢師序」에서 유가의 聖人之道를 언급할 때 사용한 주요 용어들을 「送日本僧聖津首座還國詩序」에 그대로 차용하였고 왜구의 노략질이 남에게 기대어 살아가는 불가의 교리에 연원하고 있다는 것도 발견해 내었다.내용도 서로 닮아 있지만 몇 군데의 형식도 한유의 작품에서 익히 본 적이 있어 낯설지 않았다.이것을 통해 이륙의 「送日本僧聖津首座還國詩序」가 한유의 「送浮屠文暢師序」를 모의하였다고 확언할 수 있다.다만 글을 시작하거나 맺는 방식에 있어서는 한유가 논쟁적인 글쓰기를 한 데 비하여 이륙은 설명하고 진술하는 글쓰기를 하는 차이를 보였다.이것은 두 사람의 개성이나 문세의 상이함에서 말미암은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이륙이 유가로서 불가의 스님을 응대하는 양상의 전범을,시공을 초월해 중당의 한유의 글에서 찾아내어 모의하였음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본고의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Pure Bombus ignitus venom samples were submitted to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A total of 64 excised spots were analyzed by mass spectrometry. Three main protein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have not been described in other bee venoms before. Dose-dependence against human carcinoma (Hep3B, BT-20, A549 and AGS) were observed from 1 ng/㎖ to 100 ng/㎖. Expecially, the treatment of 100 ng/㎖ B. ignitus venoms showed the highest cytotoxicity with 55% against hepatocellular carcinoma (Hep3B). The B. ignitus venoms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nterococcus faecium and Shigella sonnei, and practically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other microorganisms teste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of E. faecium and S. sonnei, were 0.256 ug/㎖, resp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수공간에 대한 감성을 대표하는 어휘를 선정과 수공간의 감성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공간의 감성평가를 위한 어휘를 선정하는 것은 감정의 잣대를 만드는 일이기 때문에 감성어휘를 정확하게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기초어휘 수집을 위해 첫 단계에서 수공간에 대한 감성을 표현하는 어휘를 수공간 연구, 경관 평가 연구, 환경디자인 감성연구 등에서 수집 후 최종 129개의 어휘를 선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수집된 어휘를 일반인들에게 제시하여 수공간의 감성을 나타내는 어휘로서 적절함의 정도를 5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여, 평균 3.5점 이상의 39개 어휘를 선발하였다. 세 번째 단계로 이 설문으로부터 나온 데이터에 대해 요인분석, 군집분석, 다차원분석을 실시하여 수공간에 대한 9개의 감성어휘를 추출하였다. 수공간 감성평가에 최종적으로 선발된 어휘는 체험적, 감각적, 자연적, 조화된, 깨끗한, 기분좋은, 역동적, 개방적, 낭만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