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e embankments, namely Changpo, Bokkil and Guil, in Chunggye Bay were investigat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hanges to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distribution of species and standing crops. Three stations was sampled near at each embankment in Nov. 2006, Feb. 2007, May 2007 and Aug. Phytoplankton were classified into net-size (>20㎛) and nano-size (<20㎛). In summer, the freshwater discharge seemed to have influence in the decrease of salinity and in the increase of turbidity, ammonium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Chl a concentration and phytoplankton abundance in Feb. 2007 were observed to be generally higher in all stations compared to other periods. Net-size phytoplankton was observed to be higher in Feb. 2007 and May 2007 compared to nano-sized phytoplankton. However, there was shift in phytoplankton composition in Nov. 2006 and Aug. 2007. Phytoplankton under seven class (Bacillariophyceae, Chlorophyceae, Chrysophyceae, Cryptophyceae, Cyanophyceae, Dinophyceae, Euglenophyceae) was identified during the study period. It was found out that the major phytoplankton class was Bacillariophyceae. Phytoplankton was more diverse in autumn compared to any other season. Cyanophyceae was increased in summer. In rainy season, change in physical factors (salinity, transparency) seemed to have more influence on phytoplankton growth compared to inorganic nutrients.
본 연구는 예비여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념도와 성찰일지 학습전략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전략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하고 미래의 학생들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175명의 예비여교사들을 개념도 전략 집단, 성찰일지 전략 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을 다시 Kolb의 학습양식에 따라 분류한 후 시험을 통해 학습 성과를 측정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개념도는 학습 성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성찰일지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양식별 학습전략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렴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예비교사들에게 개념도와 성찰일지 전략 모두 학습 성과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산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예비교사들에게 개념도 전략은 학습 성과에 효과적이나, 성찰일지 전략은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성차가 있는지, 또한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유능성간의 관련성과 성차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P시의 공립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129명이었다. 그 결과,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성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변인군간의 관계 파악을 위해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하위요소인 인지적 영역은 또래 유능성 변인군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며, 또래 유능성 변인군 중 친사회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고, 주도성과 사교성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두 변인군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성차는 남아는 사회․정서적 영역의 자기효능감이 친사회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여아는 인지적 영역의 자기효능감이 주도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 유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유아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하며,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성공경험을 위한 다양한 교육활동의 제공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지도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배경변인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공․사립유치원 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자기지도성 질문지', '직무만족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은 교사의 배경변인 중 학력, 근무기관 유형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은 직무만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교수 성취감, 교수권한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배경변인 및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성취감이 자기지도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지도성의 행동적 전략에 대하여는 학력, 자기지도성의 인지적 전략에 대하여는 교수 권한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수업지도성이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설문지 조사 방법으로 시행되었으며, 표집 대상은 충청북도 11개 지역교육청과 131개 중학교, 그리고 161명의 교사이다. 분석결과는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구안된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수업지도성, 학교조직효과성 간에는 상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특히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은 수업지도성과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수업지도성은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의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격교원연수의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를 준거변인으로, 지각된 과제가치와 ICT 활용능력을 예측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와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 9월과 2011년 1월에 실시된 원격 직무연수 과정을 이수한 현직교사 172명 중 설문에 충실히 응답한 8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지각된 과제가치(내재가치, 성취가치, 효용가치), ICT 활용능력(정보수집, 정보 분석․가공, 정보 전달․교류, 정보 윤리․보안), 학습만족도는 자기보고식 검사지로, 학업성취도는 지필고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과제가치만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그 중에서 내재가치(β = .429)가 학업성취도를, 효용가치(β = .719)가 학습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와 같이 원격교원연수의 교육성과는 지각된 과제가치, 특히 내재가치와 효용가치가 예측하는 변인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연수가 시작되기 전 교사들에게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가치를 충분히 인식시킨 후 연수에 참여하도록 하거나 연수 프로그램 자체에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교수설계 전략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실제 가치를 높이는 방안이 제안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support the successful living of the elderly people in rural community, the Senior Well-being Villages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ince 2005 in Korea. This timely project, however, produces good results with 582 villages so far, we must endeavor to upgrade it more effectively. This study is to find complementary way of improving the project,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ustainable and practical strategies of the health care for the rural elderly must be adopted. The elderly people's mutual care system can be a good option for improving the existing project. Secondly, the cooperative heath care system must combine with this project. In this regards, health cooperative federation system can be also a challenging option. The beneficially activity of rural elderly people, which is a component of this project, must be linked with rural social enterprise or community venture. The local experts or capable men of various fields including family, the aged problem, social welfare, and regional development, must be appointed, and the support system enables them to do their jobs actively in the Senior Well-being Villages Project as well as other community work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조직몰입은 어떠하며, 배경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자기지도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30명을 대상으로, ‘자기지도성에 관한 질문지’, ‘조직몰입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조직몰입은 보통수준이었으며,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는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조직몰입의 정서적몰입, 규범적몰입, 지속적몰입 순으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최근 물류를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물류관리의 한 형태로 제3자 물류가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물류의 이러한 추세 속에서도 물류를 아웃소싱하지 않고 자사가 직접 물류활동을 수행하면서, 그에 못지않게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물류를 수행하는 기업도 적지 않다. 이를 상황적합이론 관점에서 보면, 기업이 처한 물류 환경 및 특성에 따라 적합한 물류관리 유형은 달라지게 되며, 이러한 적합관계에 따라 물류성과도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기업의 물류특성과 물류관리유형 간의 적합관계와 이들의 적합관계에 따른 물류성과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물류업무의 중요성과 물류업무 비중 및 수출비중이 높을수록 제3자 물류가 적합관계를 이루며, 물류비 비중이 높을수록 자사물류가 적합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의 물류특성과 물류관리 유형간의 적합관계를 이루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물류비용 절감효과와 물류운영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RIFD를 게이트에 적용하여 활용하고 있는 컨테이너터미널을 대상으로 게이트에서 RFID 수용의도와 적용성과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주요 이론 및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RFID를 게이트 적용 시에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술안정성, 시스템 품질, 보안성 등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요인들 중 RFID 게이트 적용 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RFID 수용의도와 적용성과간의 관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술 안정성을 제외하고 시스템 품질, 보안성은 RFID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RFID 수용의도는 RFID 적용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처럼 경쟁이 치열한 글로벌 해운시장 환경에 대한 외항선사의 대응능력은 기업성장과 물동량 창출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외항선사이 직면하고 있는 해운환경의 특성을 규명하고 이러한 환경 대응능력과 전략실행프로세스 및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외항선사의 경쟁력을 결정하게 되는 핵심요인이 환경대응력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략실행을 위한 내부프로세스와의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달라진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외항선사의 환경대응과 전략실행 및 경영성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증한 것으로 해운환경변화에의 대응능력 향상과 적절한 전략수행의 유인을 통해 외항선사의 경쟁력 강화에 공헌할 수 있다는 데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본다.
An ecological learning center is defined as a place which can establish the correct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Human can learn ecosystem and importance of environment throughout observation of nature and participation in program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planning are to reflect on user's demand and preservation of ecosystem.
The prime goal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s characteristics in the Young Wheol Mulmurigol Ecological Learning Center.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model based on user's perceived performance of each program and facility in the center.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 with 204 individuals was completed.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statistical method by SPSS.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results from the study as following
First, this ecological learning center as a newly operating facility is used not for educational purpose but for resting and relaxation purpose. It is due to that the most of users in this center are package tourists with historic scenes.
Second, user's perceived performance evaluated by 23 attributions of programs and facilities, and these attributions could be classified by 5 factors such as environment friendly design, educational function, preservation of environment , provision of various bio-top and provision of resting area.
Third, the user satisfaction model indicates that user satisfaction is depended on various factors such as preservation of environment , provision of various bio-top, provision of resting area. Among these factor affecting the satisfaction, provision of various bio-top is the mos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본 연구는 골프 퍼팅시 숙련성과 거리에 따른 시각탐색과 주의집중 요인을 분석하여 그 차이를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의 H 아카데미와 K 아카데미에 소속되어 있는 회원 50명 중 KPGA 자격기준에 따라 숙련자와 비숙련자 각각 8명씩, 총 16명을 비확률적인 목적표집법으로 선정하였고, 선정된 대상자는 골프 퍼팅과제(1M, 5M)를 실시하였다. 과제수행 시 실제 눈의 움직임을 관찰하기 위해 Eye Mark Recorder-9(EMR-9)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시선 고정 값을 분석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의집중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 구조화면담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숙련성에 따라 준비단계와 스윙단계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거리에 따른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주의집중의 요인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퍼팅기술에 있어 운동숙련을 결정짓는 지각기술 및 주의집중요인은 초보자 및 중간 숙련자 지도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키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부동산 시장에서 시장지향성의 요인인 시장정보 창 출과 시장정보 확산, 시장정보에 대한 반응이 부동산 거래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환경적 요인인 시장 격변성 과 경쟁강도에 따라 부동산 시장에서 고객의 반응을 연구하여 시 장의 범위에 최종 고객은 물론 부동산거래업자 등을 포함시킴으로 써 보다 광범위한 마케팅 패러다임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따라 서 부동산 유통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장지향성의 특성을 통해 부동 산 거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연구대상을 결정하고 설문을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로 새 로운 고객과의 관계와 부동산 시장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 보 다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부동산 거래성과를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게임 엔진의 기술 체제의 차이가 기술거래 성과에 어떻게 영향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 엔진의 기술적 특성의 차이에 따라 게임 엔진을 활용한 게임의 장르 분포(genre distribution)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둘째, 게임 엔진 체제의 이용자 편이성이 높은 모듈형, 범용형, 통합형 API 엔진이 높은 장르다양성(genre diversity)과 낮은 장르집중도(genre concentration ratio)를 보여주었다. 셋째, 게임 엔진체제의 이용자 편이성이 높은 모듈형, 범용형, 통합형 API 엔진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 높은 활용도를 보였다. 넷째, 게임 엔진의 혁신 유형과 가격 유형은 기술거래 성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분석 결과는 게임 엔진의 기술 체제가 게임 개발 과정상에서 상용 엔진의 장르분포, 다양성, 활용도에 있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용자 편의성과 모듈성, 범용성이 높은 게임 엔진으로 표준화 되어가고 있음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and evaluate issues and performance of development projects of Gurye Banggwang villages' key projects, especially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resident income augmentation. The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factory, the valley resting, the urban and rural exchange center, and the village festival have been closely selected a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resident income. Analysis of survey of resident and two agriculture unions' members led the performance and problem of Banggwang villages' development projects. The income project has the difficulties of recruiting members, lack of professionalism of people in production and marketing of processed products, and conflict between members etc. For this reason, income projects being adopted as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s often negative. Compare to the other cases, Banggwang village has more reflection of the income project, and has lot of interest by policy makers whether it be pursued successfully. It is too early to evaluate a performance properly because it is the beginning of income projects and the experience are not yet being sufficient. However, the performance is appearing gradually from various sides. For example, dividend of business profits,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developing increasingly. Income projects have strengthens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with securing stable funding it will help to maintain the facilities.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epistemology of urbanism and rurality, that is, the justification of certain knowledge claims about how to intervene in understanding of urban and rural way of life and their implications to space. It is not concerned with the search for "truth" as such, but rather with the construction and presentation of knowledge as truth that subsequently lead to interpretation in the form of scholarly arguments. Rural areas vary considerably, and we define it as of a socially constructed category and so does urban as a comparative construction. As with community, rurality has been defined in widely different ways so has urbanism. In identifying and interconnecting these two concepts, we incorporate diverse western epistemologies such as empiricism and pragmatism. In addition, we hee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intellectual history of Silhak, a philosophical ideology of Korea,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nd it's effect on social way of life encompassing the realm of rural and urban spaces. We found that Silhak is particularly useful in that it deals with substantive issu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urality and urbanism arising from the discordance between values and perceive conditions of the rural and urban way of liv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epistemology of Silhak is particularly superior to those of western ideologies since it accentuates unity of spaces rather than differentiating urban and rural way of life. We concludes with demanding more studies in the field of urban and rural analyses incorporating more diverse concepts of Korean orthodox epistem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