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6

        1141.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xamined the genetic variation within the species, the patterns of genetic diversty between populations, thermostability variations of enzymes and temperature tolerances of Corbicula japonica from the two main rivers in Korea.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examine the genetic variation of 22 loci. Heating experiments of electrophoresis under the condition of 40±5° for 15±5 min disclosed thermostability differences, called heat-sensitive and heat-resistant types, within each electrophoretic allozyme. Genetic diversity at the natural species level was high (77.3%), whereas the extent of heat-treat groups was relatively low (52.6%). The genetic diversity trends to decrease from the source of two main rivers (the Sumjin River and the Nam River) to the mouths. Based on the data available such as considerable high genetic diversity compared with a mean value of C. japonica species, It is recommended that several populations of the species in Korea should be preserved.
        1142.
        199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ee, Jae, Choel. 1998. The Locality on Movement and the Strict Cyclicity. Studies in Modern Grammatical Theories 12, 103-123. In the framework of the Minimalist Approach, as the Government theory is eliminated, the locality on movement is determined by the Checking Domain of Head Chain, the Minimal Link Condition, the Extension Requirement, three processes for the Generalized Transformation,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at the Strict Cyclicity becomes a factor that determine the locality of movement,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Extension Requirement(Chomsky 1992), the Minimal Chain Condition(Chomsky 1994) and the Target α (Kitahara 1995) that are suggested to guarantee the Strict Cyclicity, and is to prove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Attract-F Theory. When the feature of the checker is strong, the strict cyclicity is automatically guaranteed, because the closest item containing the relevant formal features must move to the SPEC of the checker before the projection of the upper head does occur. There never arise direct movements of lexical items after Spell-Out. The violation of the Strict Cyclicity cannot occur after Spell-Out, either because the relevant formal features only move to the sublabel of the checker and adjoin there.
        1143.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ung Moo-Joo. 1997. Functions of the Articles Related to Definiteness. Studies in Modern Grammatical Theories 10: 47-62. In this paper, it has been argued that the articles in English possess both a referential and an expressive function. So far, the studies of definiteness have been confined to a referential view of definiteness. All these approaches focus exclusively on the articles` contribution to reference, that is, on the way the articles help NPs establish the existence of and individuate entities in the universe of discourse. In addition to their referential function, however, the articles also possess an expressive function. In particular, the definite article can be used expressively as a marker of prominence, and the indefinite article can be used expressively as a means of de-emphasizing a referent`s individual identity. Evidence for these functions was drawn principally from the fact that different articles can often be used to describe the same objective situation. In particular, we examined discourses in which the could be used felicitously (for expressive reasons) even though α was referentially more appropriate (a basis for unique identifiability was lacking). We also examined discourses in which α could be used felicitously (for expressive reasons) even though the was referentially more appropriate.
        1144.
        199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자가 대단히 미세하여 육묘과정에서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는 담배종자를 pelleting하여 육묘과정을 생력화할 목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Pelleting 방법은 종자+pelleting 물질(bentonite, cellulose, clay, vermiculite) + 접착제(polyox, pelgel, CMC, water)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든 후 성형판을 이용하여 wn조식으로 pellet을 만들었다. 각 재료별 pellet 종자의 특성 및 발아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ellet종자의 경도는 접착제의 농도에 비례하여 강했고, 재료별로는 bentonite 가 가장 경도가 강했고 어느 재료에서나 접착제의 농도에 비례하여 강했다. 또 200, 400, 600, 800g press/pellet의 경도를 가진 pellet종자의 파괴율은 각각 7.5%, 0.9%, 0.6%, 0.5% 였다. 2. Pelleting 물질 1g으로 지름 및 높이가 각각 2mm인 pellet 종자를 cellulose, bentonite, clay에서 각각266개, 92개, 57개 만들 수 있었다. 3. 담배종자와 재료의 혼합비율에 따라 pellet종자 1입당 포함된 종자의 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었다. 또 pellet 당 2∼3개의 종자를 목표로 했을 때 종자가 포함되지 않은 pellet은 6.9∼16.0% 였다. 4. Pellet 종자의 공기 중 수분흡수율은 재료별로 cellulose>bentonite>clay 순으로 낮았다. 5. Bentonite와 cellulose를 재료로한 pellet 종자의 발아율은 무처리(나종자)와 차이가 없었으나, clay를 재료로한 pellet종자에서는 paper towel 에서나 vermiculite 상토에서 모두 뚜렷한 발아저해 현상이 나타났다.
        1146.
        199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벼의 소얼성과 다얼성 품종에서 분얼의 종류에 따른 이사목절간 (상위제1절간)의 유관속과 이삭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구명하고자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1988년에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소얼ㆍ수중형인 IR25588과 다얼ㆍ수수형인 IR58이었으며 이들은 분얼능력과 이삭의 크기는 현저한 차이가 있으나 다른 특성은 비슷하였다. 1. 이삭목절간의 대ㆍ소유관속수는 IR25588(소얼성)이 IR58(다얼성)보다 많았고 또한 두 품종 모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보다 유관속수가 많았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이 다얼성 품종보다 동화산물의 전류에 유리한 특성으로 해석된다. 2. IR25588과 IR58간의 수당영화수를 보면, 1차 지경에 있는 영화수는 서로 비슷하였으나 (IR25588=55개, IR58=52개) 2차 지경에 있는 영화수는 IR25588(113개)이 IR58(70개)보다 61.4%나 많았다. 또한, 두 품종 모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에 비하여 수당영화수 유의적으로 많았다. 이러한 경향은 이삭의 지경수에서도 비슷하였다. 3. IR25588은 IR58에 비하여, 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에 비하여 절간의 굵기와 두께가 컸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이 다얼성품종보다 더 많은 유관속을 가지고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소얼 ㆍ강간ㆍ수중형'의 벼 품종이 수량성을 현재보다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이상적인 초형으로 사료된다. 4. 이삭목절간의 유관속수는 1차ㆍ2차지경수, 수당 영화수, 이삭중과 매우 밀접한 정의 유의상관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절간이 금은 소얼성품종이 그에 비례하여 유관속수가 많으며 따라서 지경수와 영화수를 많게 하여 이삭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5. 1차지경 1개당 영화수와 대유관속 1개당 영화수는 1R25588이 IR58보다 많았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의 sink strength가 다얼성품종의 그것보다 큰 것으로 사료된다. 6. 분얼종류에 따른 유관속수는 IR25588과 IR58모두 주간>1차분얼>2차분얼>3차분얼의 순으로 많았다.
        1147.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수도 소벽성과 다벽성 품종의 분벽 습성의 차이를 구명하고, 재식밀도에 대한 소ㆍ다벽성 품종의 수량 반응 및 밀식 적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실시하였다. 공시품종은 다벽ㆍ수수형인 IR58과 소벽ㆍ수중형인 IR25588을 비교하였던 바 이들은 분벽능력과 이삭의 크기는 현저히 달랐으나 다른 특성은 비슷하였다. 1. 소벽성인 IR25588(19.1 개/주)은 다벽성인 IR58(32.5 개/주)에 비하여 약 60%의 분벽능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총 분벽수에 대한 주기여분벽은 두품종 모두 2차 분벽로서 50-55%를 차지하였다. 2. 다벽성(IR58)은 소벽성(IR25588)에 비하여 첫 분벽이 일찍 발생되었고, 분벽속도가 빨랐으며, 분벽발생기간이 길었다. 3. 분벽 종류에 따라서 분벽발생기간이 달랐는데 1차, 2차, 3차분벽의 발생기간이 IR25588은 26, 17, 5일이고 IR58은 30, 28, 8일로서 다벽성의 분벽발생 기간이 소벽성보다 길었다. 4. 유효경비율은 IR25588(85.3%)이 IR58(67.4%)보다 높았다. 1차분벽의 유효경비율은 두 품종이 비슷하였으나 2ㆍ3차분벽의 유효경비비율은 소벽성이 다벽성보다 현저히 높았다. 5. 수량에 대한 밀식적응성은 소벽성품종이 다성품종보다 컷는데, 이는 밀식재배 또는 직파재배시에 소벽성품종이 다벽성품종보다 수량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1148.
        199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흰잎마름병(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병원세균(K1)의 조직내에서의 증식과 이동 그리고 수공을 통해 추출되는 병원세균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항성 품종에서는 접종 3일후에 약 103 cfu/cm2 로 12일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나 리병성 품종에서는 접종 6일에 약 104 cfu/cm2 에서 접종 12일에는 약 108-109cfu/cm2 로 계속 증식하였다. 2. 병원세균의 접종부위로부터 상, 하향 이동속도 및 증식속도는 상향이동이 약간 빠른 경향이었으며 리병성 품종에서 빠른 증식과 이동속도를 보여 저항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3. 병원세균의 증식 및 이동은 생육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감염된 잎의 수공을 통해 나오는 병원세균의 농도는 조직내에서 병원세균의 증식 및 이동과 일치하였으며 저항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1149.
        199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질소시용량의 차이가 수도의 수잉기 내랭성과 출수기에 있어서 약의 호흡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여명벼, 운봉벼, 밀양 2003를 공시하여 소포자초기의 엽신 및 엽소+경의 질소함량, 출수기의 약의 호흡활성 및 내랭성 지표인 임실지수를 조사하여 이들의 상호간계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포자초기 엽신질소함량과 임실지수, 약의 호흡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2. 약의 호흡활성은 100ppm 질소처리보다 10ppm 질소처리에서 높았다. 3. 출수기 약의 호흡활성에 대한 Arhenius plot 분석에서 여명벼, 운봉벼는 100ppm 질소처리에서는 각각 18℃ , 18.5℃ 에서 변환점을 나타내었으나, 10ppm 질소처리에서는 온도차이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며, 밀양 2003는 10ppm, 100ppm 질소처리에서 각각 20.5℃ , 21℃ 에서 변환점을 나타내었다. 4. 15-30℃ 온도범위중 20℃ 에서의 약의 호흡량과 임실비율과의 상관계수가 가장 컸었다.
        1155.
        197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전형적인 조숙성 재래종의 특성은 월동전에는 잎이 담녹색 광엽 직입이며 성숙시에는 화모이 짧고 직수이며 입중이 가볍다. 또한 내한성이 약한 재내종도 상기 조숙성 품종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한숙성과 약한 내한성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것으로 생각된다. 2. 강한 내한성과 관련된 특성은 않지 않으나 대체로 월동전에 포복형이거나 반포복형이며 엽색은 녹색 또는 암녹색을 띠며 협엽, 장간, 당숙인 경향이 있다. 2. 강한 내한성과 관련된 특성은 많지 않으나 대체로 월동전에 포복형이거나 반포복형이며 엽색은 녹색 또는 암록색을 띠며 협엽, 장간, 중숙인 경향이 있다. 3. 조숙성 집단에서 내한성이 강한 품종의 선발은 대단히 어렵고, 또한 매년 합리적인 내한성 검정을 실시하기란 극히 곤란하나, 본 내항성과 관련된 형질연구에서 중생인 재래종을 이용하므로서 내한성이 강한 품종이 선발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4. 중생이며 내한성이 강한 품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특성은 장망, 장수, 장립, 장간, 늘어진잎, 중간지엽폭 및 장, 중간화경장, 월동전의 반포복형 및 중간엽폭 등이며, 중생이며 내한성이 약한 지엽이 넓고, 월동전에 잎이 직입, 담록색, 광엽 등의 특성이 있다.
        1156.
        197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의 수량검정시험을 할때 어떠한 시험구의 크기와 모양이 시험의 정밀도를 높이는데 가장 이상적인가 하는 문제를 소지성품종으로 대표되는 Clark와 민무형이고 다기성품종인 금강대립을 사용하여 토양균일도시험과 아울러 실시하였다. 1) 시험구크기는 증가에 따르는 변이계수의 감소는 어느 크기까지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에서의 변이계수의 감소는 완만하여져, 시험구크기에 따라서 Plotting한 변이계수곡선은 최대만곡점을 이루는 부위가 생긴다. 2) Camparable variance의 비교에 의해 시험구모양간의 F검정을 한 결과, Clark는 시험구크기가 10~18개기본단위구로 구성된 시험구에서, 금강대립은 7~32개기본단위구의 시험구에서만 모양간의 유의차를 보였다. 유의차가 있는 모양간의 변이계수를 비교하면 규수가 많고 규장이 짧은 모양보다는 규수가 적고 규장이긴 세장한 장방형의 모양이 일반적으로 변이계수가 낮았다. 3) 이와같은 결과에 의해 Clark는 1규 x 1m의 기본단위구의 12배(8.4m2 ) 크기에 모양은 규수 2 규장 6m, 금강대립은 18배(12.6m2 )크기에 모양은 규수 2 규장 9m의 시험구가 최적시험구로 추정되며 이때의 변이계수는 Clark와 금강대립에서 각각 12.5%와 12.1%였다. 4) 토양의 균일도측정으로서 회귀계수 b를 이용하였던바, b치는 시험구크기와는 상관이 없었으나 모양간에 차이를 보였다. Clark와 금강대립의 종실수량에 대한 b치는 각각 평균 -0.71과 -0.75로 계산되였다.
        56 57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