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8

        945.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modifying effect of Kwao Kreu, Pueraria mirifica (PM), we performed two kind of studies which are the non-surgical medium-term carcinogenicity study and the modulation of gap f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study. The first study, a non-surgical medium-term carcinogenicity bioassa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modifying effect of Kwao Kent, Pueraria mirifica (PM), a rejuvenating folk medicine from Thailand, on the male F344 rat liver. Specific pathogen free, male 6-week-old F344 rats were divided into ten groups. To induce hepatocarcinogenesis, those in all groups were given a single i.p. injection of DEN (200 mg/kg) and were received two i.p. injection of DGA (300 mg/kg) at the ends of weeks 2 and 5. Rats of group 3-6 were given sodium phenobarbital (PB 0.05 % in drink). A diet containing 10 mg/kg PM was given to group 2 during the post-initiation phase and to groups 4 and 5 during promotion and initiation phase, respectively. Group 6 was given the experimental diet alone throughout the experiment (8 weeks). Rats of group 7, 8, 9 and 10 were fed 1000 mg/kg PM in the same manner as group 2, 4, 5 and 6.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t 8 weeks after DEN administration. Result of the i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l form (GST-p) indicated that the numbers and areas of the preneoplastic leision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all PM treatment group comparing to control group. A.Iso the numbers and areas of GST-p positive foci among group 7, 8, 9 and 10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comparing to control group. To study the effect of PM on the modulation of gap f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scrape-loading dye transfer (SL/DT) assay in human keratinocytes. The results showed that PM could not modulate GJI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ueraria mirifzca may have no carcinogenic effects on experimental hepatocarcinogenesis in rats and gap f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 human keratinocyte.
        4,000원
        946.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의 저항성과 방어관련물질 유도에 관련된 salicylate가 담배 미분화세포로부터 분리된 isoperoxidase A3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Fe2+ 의 첨가에 의하여 salicylate에 의한 효소활성 억제가 보호되는 양상을 조사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salicylate가 isoperoxidase A3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0.48mM salicylate에 의하여 isoperoxidase A3의
        4,000원
        949.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phosphatidylinositol 대사의 기질 및 억제물질이 돼지 난모세포의 체외 성숙·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다. 난모세를 inositol (250 mM) 첨가 또는 무첨가한 mTLP-PVA 배양액에서 46시간 체외배양하였다. 성숙이 완료된 난모세포는 신선 돼지정액을 이용하여 6시간 동안 mTALP-PVA 배양액에서 체외수정을 시켰다. 수정 후 6시간에 이들 난모세포를 10% 혈청을 첨가한 TCM-199 배양액에서 추가로
        4,000원
        957.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중 널리 사용 되고 있는 Tyloxapol과 Tromethamine의 단백질 게거 효과와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를 서로 비교하기 위하기 위해 먼저 렌즈를 인공누액에 65시간 담근 후 계 면활성제의 처리시간에 따라 단백질 제거효과를 UV Photo-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는 MTT assay, LDH 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계면활성제가 L-929세포에 미치는 저해효과는 통일 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으며, 세포 수도 농도 의폰적으로 감 소하였다. 독성의 차이는 LDH assay 보다 MTT assay가 더 민감도를 보였다. 침착 된 단백질에 대한 세척효과는 동일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뛰어났 다. 단백질 제거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yloxapol과 Tromethamine의 세포증식 저해를 나타내는 최저농도에서 Tyloxapol 이 Tromethamine보다 단백칠 제거효과는 월둥히 뛰어났다.
        4,000원
        958.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콘택트렌즈 단백질 제거제로 4개회사의 제품(국 내 2종, 국외 2종)을 선별한 후, 세포 독성과 단백질 제거 효능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제거제가 녹아 있는 식염수에 12시간 동안 담근 콘택트렌즈를 L929 세포주 (생쥐섬유모세포주) 위에 직접 올려놓아 용출된 용액으로 인한 세포 생사를 Trypan blue 염색올 통해 판별하는 USP Elution Assay 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단백질 제거 제를 직접 배양세포에 15분간 처리하여 MTT Assay 인 세포 독성을 검정하였다. 또 한 단백질 제거제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FDA에서 분류한 IV group lens를 조성한 인공누액에서 단백질을 홉착시킨 Bradfod Assay 법을 통해 측정 비교하였다. MTT 결과는 1 종류의 제품에서 40% , 3종류의 제품은 70% 이상의 세포증식 저해율이 나타 났다. USP Elution Assay에서는 동물성 단백질 제거제 Pancreatin 이 주성분인 1 종 류의 제품은 1 등급, 나머지 3종류는 O등급을 나타내였다. 또한 Bradford Assay 방법 을 이용하여 단백질 제거제의 효능을 겁정하였는데, Subtilisin A가 주성분인 A사 8 시간, Subtilisn 이 주성분인 B사 5분, Pancreatin 이 주성분인 C사 6 시간, Papain 이 주 성분언 D사는 8시간이 지난 후에 단백질 제거제 효능이 최대 효과가 나타났다.
        4,000원
        959.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step System으로 6시간 동안 중화된 H202의 배양 각막상피 세포에 대한 세 포독성과 Apoptosis를 조사하기 위해 세포에 15분간 직접 처리하여 세포의 형태적 변화, 생화화적 변화 그리고 면역화학적 발현 여부 등올 확인하였다. 세포독성은 형 태적 변화와 MTT Assay률 시행하였고 Apoptosis는 Hoechst 잃342의 형광염색으로 산 정 한 Apoptotic index, DePsipher™ assay를 이 용한 mitochondria 활성 과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immunocytochemistry로 각막 상피세포 막의 수용체인 FAS 의 발현 여 부도 조사하였다. 중화된 H202를 15분간 처리 후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같은 디스크로 중화를 반 복한 경우 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세포증식도 느리게 나타났다.24시간 동안 세포를 정상 배양액으로 환원시켜 조사한 결과, 세포 독성에서 회복효과가 거의 없고 Apoptotic index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활성과 초기 Apoptosis 에 대 한 검증도 모두 양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poptosis 유도의 가장 중요한 경로인 FAS-FAS ligand system에 대 한 조사에 서 중화된 H20z를 처 리 한 세 포의 FAS 가 정 싱세포에서 보다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immunocytochemistry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강력한 apoptosis 유도 물질인 H202를 콘태트렌즈 소독을 위해 One-step system으로 중화한 경우에도 불완전하게 중화된 Hz02에 의해 각막상피세 포의 Apoptosis가 유도되 므로 중화용 백금 디 스크의 반복된 사용올 금지 하거 나 반복 사용 시에는 시간을 더 늘려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