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hinacea의 추출물 및 분획물들의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0.5 mg/ml이상의 농도에서 정상세포의 생육이 20% 가까이 저해되었으며, 비교적 높은 농도인 1.0 mg/ml의 농도에서도 70%이상의 세포 생존을 나타내었다.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은 0.5 mg/ml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의 butanol 획분과 ethan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획분에서 각각 87%와 81%로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인간 간암세포주인 Hep3B에 대한 생육억제능은, 물과 ethanol 추출물의 butanol 획분에서 0.5 mg/ml의 농도에서 81%와 63%의 생육 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1.0 mg/ml의 농도에서는 수층획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70% 이상의 높은 생육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위암세포인 AGS의 경우 물 추출물의 butanol 획분에서 0.5 mg/ml의 농도에서 80%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1.0 mg/ml의 농도에서는 각 추출물의 수층 획분과 ethan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획분을 제외하고는 80% 이상의 높은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폐암세포인 A549에 대한 생육억제능은 물과 ethaonl 추출물의 butanol 획분에서 1.0 mg/ml의 농도에서 92%와 87%로 높게 나타났다. 이전까지 Echinacea에 관해서 보고된 것은 그리 많지 않으며, 본 논문에서 Echinacea의 추출물 및 분획물들에 관해 실험한 내용에 관한 것은 전무한 것으로 사료되어져, 이용에 있어서 본 논문에서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Echinacea의 항암활성 효과를 통하여 앞으로의 이용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린 것이며, 아울러 Echinacea의 추출물들을 이용시 본 눈문에서 실험한 결과물인 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butanol 분획에서 그 효과가 가장 높았으므로 이를 사용한 다양한 암세포 사멸효과뿐만이 아니라 면역 활성 증진 및 여러 생리활성의 이용에 사용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21 종의 생약 추출물을 선정하여 5 μg/ml의 농도에서 SK-MEL-28 cell 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목단피의 메탄올 추출물이 74.3%의 성장율을 보였다. 활성 물질을 찾기 위하여 목단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hexane 분획과 EtOAc 분획에서 충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mp, UV, IR, 1H-NMR, 13C-NMR 등 각종 물리, 화학적 data로부터 그 구조를 paeonol (1), benzoylpaeoniflorin (2), benzoic acid (3), 2,5-dihydroxy-4-methoxy-acetophenone (4), paeoniflorin (5)으로 동정하였다. 분리한 물질을 human 피부 암세포인 SK-MEL-28 세포주에 대하여 10 μg/ml의 농도에서 SRB방법으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compound 4가 ED50 값이 5.92 μg/ml로 가장 좋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결과는 compound 4가 SK-MEL-28 melanoma 세포주에 대한 새로운 항암 후보 물질임을 제시한다.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s are actively undertaken for environmental-friendly animal produc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d understanding about food safety because of the outbreak of various diseases such as mad cow disease, Foot and mouth disease and Poultry Influenza virus. However, high quality(higher safety)-animal production may not be successful without increasing of disease resistance of animal and the improvement of feeding environment. To increase the disease resistance is able to be accomplished by stimulating the immune function.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zyme mixture reinforced with β-glucanase activity which degrade polysaccharide to release β-glucan known as stimulator of immune function on the change of milk production and somatic cell count. After 12weeks of experimental feeding, milk production tended to be increased and somatic cell count was decreased from average 227×10⁴ to 37.1×10⁴. Milk protein and solid-fat content were tended to increase but milk fat showed decreasing tendency by the feeding of enzyme mixture. All togeth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high quality milk production may be possible through the dietary addition of immune modulating enzyme mixture in lactating dairy cows.
산마늘 에탄올 추출물과 각종 유기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을 검토하였다. 시료자체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산마늘 에탄올 추출물(200/plate)에서 88.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동일 시료 농도에서 4NQO에 대해서는 S. typhimurim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에서 각각 76.4%와 83.
발효콩을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의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31.6/mL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발효 콩을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의 에탄올 추출물(200 /plate)에서 84.8%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Trp-P-1에 대해서는 S. typhimurium TA98과 TA
낙동강 하구역에서 1년 동안 채집한 붉은줄참새우, Palaemon macrodatylus를 대상으로 안병에 분포하는 신경성 분비세포의 형태적 특징 및 계절별 분비 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안병의 신경계는 신경세포층(lamina ganglionaris), 외수(medulla externs), 내수(medulla interns) 및 종수(medulla terminalis)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병에서 관찰되는 신경성 분비세포는 A, B, C, D세포
생쥐 신생자 시기에 생식 세포의 사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사멸을 보이는 생식 세포에서 세포 사멸 관련 단백질인 caspase-3, caspase-activated DNase(CAD), Bax 및 Fasnas ligand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활성화된 caspase-3와 CAD의 면역화학적 염색 결과 일차 및 이차 난포내 TUNEL 양성을 보이는 세포 사멸 난자에서 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CAD 또한 TUNEL 양성을 보이는 세포 사멸 난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