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4

        342.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论文主要以韩中日古代文学作品中出现的女性自杀现象为主题,分析 了女性决心自杀的动机、展开、以及结果。本文以弗洛伊德(Sigmund Freud)精神分析理论中的人类三种意识, 描述了古代韩中日文学作品中女性 自杀行为: 一, 本我型(Id),自我型(Ego),超我型(Super- Ego)。通过这 三种类型, 对女性的自杀行为进行了分析, 并对其内心反应出的社会的认识 和当时的女性观进行了剖析。 我们发现,三个国家古代文学中女性自杀的行为有以下共同点。三国古 代女性在‘女性自杀’的展开过程中, 如以社会共同认同的儒家伦理道德‘孝’ 和 ‘烈’为动机,就得到全社会的肯定和支持,而且受了佛教的‘轮回转生’、‘因果 报应’的观念,通过‘自杀行为’寄托她们的梦想和理想。 但是,因三个国家文化背景的不同,也存在一些差异性。韩国和中国, 特别到了明朝,李朝时期甚至带有国家鼓励‘女性自杀’的色彩。不同于中国 和韩国,日本尚死的文化又形成了日本人独特的生死观。而日本人独特的生 死观又促成了女性自杀情节。 结果,儒道佛家为思想背景的男尊女卑的韩中日旧社会里,以社会认同 的伦理动机为出口, ‘自杀行为’给女性留下了个人自由权利的余地,同时成 为唯一女性自已选择的权利。
        6,300원
        343.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예이츠 시 “어린 학생들 속에서”에 나타난 춤과 춤추는 자의 합일성을 시인의 마음의 변화성으로 해석한다. 그 시 의식을 인지론적으로 접근하며, 그 합일성의 정도를 가능세계로 재음미해본다. 예이츠의 시심은 인지적 마음과 감성적 마음, 실행적 마음 중에서 시적 지성과 감성의 조화성만을 드러낸다.
        5,200원
        344.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예이츠 시 속의 모드 곤, 마키에비치 백작 같은 여성민족주의자들의 모습을 다룬다. 영국의 지배에서 독립하기 위해 저항하는 민족주의자 모드곤은 예이츠가 사랑했고 수차 청혼하여 뜻을 이루지 못한 여인이다. 그녀는 예이츠의 시에서 중요한 인물이며, 본 논문은 아일랜드의 정치를 다른 시를 논한다. 또 한 명의 민족주의자 마키에비치 백작은 아일랜드 국회에 최초 여성 국회의원이 되었고, 그녀도 아일랜드 독립을 위해 투쟁했다. 예이츠는 그녀의 적극적인 정치 참여가 나타나는 시를 썼다.
        4,000원
        345.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속(Bursaphelenchus) 선충은 전 세계적으로 100여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대부분 종은 식균성 선충(mycophagous)으로 주로 죽은 식물체나 죽은 목재 조직에서 서식한다. 다만,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과 같이 일부 종의 경우 살아있는 나무와 죽은 나무 모두에서 식물기생성 시기(phytophsgous phase)와 식균성 시기(mycophagous phase)를 순환하는 선충도 있다. 소나무재선충속 선충의 분류 방법은 크게 형태적인 특징과 분자생물학적인 특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은 다양한 기준과 요소로 세분화되어 진다. 형태적인 특징으로는 ‘수컷의 생식기 형태’를 비롯하여, ‘수컷 미부 돌기의 배열’, ‘암컷 생식기 구조’, ‘암컷 꼬리 모양’, ‘측정치’등을 들 수 있다. 독일의 Braasch(2000)는 이에 ‘측선의 수’, ‘수컷 bursa의 모양’등을 추가하여 28종의 Bursaphelenchus속 선충을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한편 Ryss등(2005)은 수컷 생식기에 대한 측정치를 산정함으로써 형태적인 분류를 보다 수치적으로 체계화하는데 성공하였다. 분자생물학적인 분류를 위하여서는 라이보좀 DNA(ITS, D2D3, SSU), 미토콘드리아 DNA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종 동정을 위한 유전자 마커로 개발되었고 또 일부는 계통 분류학적 근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속 선충 종에 있어서 유전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간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한다.
        346.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생식물(寄生植物)은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양분을 흡 수하는 식물을 말한다. 기생식물의 영양형식에서 보면, 겨 우살이나 며느리밥풀속처럼 스스로 엽록소를 가지고 광합 성을 행하는데도 불구하고, 한편에서는 숙주식물(Host plant)에서 유기물·무기물을 흡수하여 종속 영양적으로 생 활하고 있는 반기생식물(半寄生植物)과 새삼류, 야고 등과 같이 완전히 다른 식물에 영양을 의존하는 전기생식물(全寄 生植物)이 있다. 기생식물의 뿌리는 흡기 또는 기생근 (haustoria)라 하여 흡기가 숙주식물에 붙는 위치에 따라 그 특징을 구분하기도 한다. 겨우살이와 새삼은 흡기가 줄기나 잎에 붙으므로 Shoot-Parasitic plant라 하며, 흡기가 뿌리에 붙는 며느리밥풀속, 야고 등은 Root-Parasitic plant라고 한 다. 또한 광합성을 전혀 하지 않는 전기생식물(Holo-parasitic plant)과 광합성을 하면서 기생하는 반기생식물로 구분할 수 있다. 며느리밥풀속(Genus Melampyrum)은 현삼과(Scrophulariaceae) 의 식물로서, 전 세계적으로 약 40종이 북반구에 분포하고, 특히 유럽 쪽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며느리밥풀속에는 3종 4변종 2품종으로 9종으로 분류 되어있다. 며느리밥풀속은 반기생식물에 속하며, 숙주식물 의 뿌리에 흡기를 부착하고 기생하면서, 한편으로 광합성을 하며 살아가는 독특한 생육형태를 지닌다. 이 연구에서 며 느리밥풀속의 서식지의 식생분포를 조사하고, 숙주식물의 가능성이 높은 식물종을 유추하고자한다. 식물의 종자확산 을 위한 전략으로 종자에 영양분이 풍부한 지방체 (Elaiosome)를 개미에게 보상하고, 개미의 이동에 따른 종 자산포를 유도하며, 이에 식물과 개미의 생리공생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강원도 지방에 자생하고 있는 며느리 밥풀속의 생육지역을 예비 조사하였으며, 평창군 진부면 동 산리 오대산 비로봉 구간과 강릉시 옥계면 산계리 석병산 구간에서 새며느리밥풀(M. setaceum var. nakaianum)의 생 육지를 확인하였고, 평창군 대화면 하안미리에 위치한 중왕 산일대 꽃며느리밥풀(M. roseum)의 자생지를 확인하여 조 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알며느리밥풀(M. roseum var. ovalifolium)은 양구군 해안면 돌산령터널 인근 산에서 발견 하여 종자를 수집하였으나, 개벌 후 전나무를 조림하여 생 육환경 및 식생조사는 진행하지 못하였다. 산림식생조사는 며느리밥풀속이 자생하고 있는 대상지에 정방형조사법 (10m×10m)으로 수관의 위치에 따라 상·중·하층을 구분하 여 총 19개소의 표준지를 조사하였으며, 초본식생조사는 1 개소의 수목식생조사구 내에 정방형조사법(1m×1m)으로 각 4개소씩 총 76개를 조사하였다. 각 조사구 내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층위를 구분하여 각 수종의 상대적인 중요 도를 나태나는 측도로써 상대우점치(Importance Percentage, IP)를 산출하였으며, 상·중·하층의 개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평균상대우점치(Mean Importance Percentage, MIP)를 산 출하였다. 단 초본식생조사구는 각 식물종의 개체수와 빈도 를 조사하여 상대우점치(IP)를 산출하였다. 종구성의 다양 한 정도를 나타내는 측도인 종다양성은 종다양도(Species Diversity, H′), 균재도(Evenness, J′), 우점도(Dominance, D′)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하였으며, 산출방법은 일반 적으로 이용되는 Shannon-Wiener의 다양성 지수를 나타내 는 수식을 적용하였다. 며느리밥풀속의 종자산포는 ‘우리나라에서 개미가 종자 를 산포하는 식물종과 그들의 Diaspore특성에 대한 연구 (Kim, 2011)’를 바탕으로 2012년 엘라이오솜(Elaiosome) 의 부착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각 조사지에서 종자 성숙기 인 9~10월에 종자를 수집하여, 종자 및 엘라이오솜 형태 등을 10-80× 실체현미경(V8 Discovery, Zeiss, Germany) 으로 관찰하였다. Diaspore(산포체 또는 전파체)를 분석용 저울(AJ100, METTLER, USA)로 5립씩 4반복하여 평량하 고, 확대경과 핀셋을 이용하여, 엘라이오솜을 떼어내고 종 자와 엘라이오솜의 중량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값은Microsoft Excel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분석 하 였으며, 각 인자들의 유의차를 분석하였다. Diaspore 급여실험은 각 조사대상지에서 채집하여, 목재로 제작한 접시 (11cm×8cm×0.5cm)에 10립을 배열하고, 조사구 내에 설치 하여 종자를 물어가는 개미를 관찰하였으며, 흡충관을 이용 하여 개미를 채집하고, 산림곤충학연구실에서 동정 하였다. 며느리밥풀속(Genus Melampyrum)의 생육환경 조사 결 과, 새며느리밥풀이 자생하고 있는 오대산 지역은 해발 1168~1353m 구간까지 높은 지역에서 나타났으며, 사면방 위는 남사면과 남서사면에서 생육하고 있었고, 경사도는 25~30°까지 나타났다. 토양습도는 5~22%로 다양하게 나 타났으나, 고산지대를 감안하여 비교적 토양습도가 낮은 편 이였다. 토양pH는 6.7~7.0으로 중성에 가까운 토양 이였으 며, 토심은 25~28cm로 나타났고, 토양 낙엽층은 2~3cm로 나타났다. 조사구내 수관 울폐도는 70~80%로 비교적 광량 이 풍부한 지역에서 생육하였다. 석병산 지역은 해발 786~895m로 조사대상지 중 가장 낮은 지역이었으며, 사면 방위는 남동사면과 남서사면에서 나타났고, 경사도는 22~27°로 조사되었다. 토양습도는 5~10%로 건조한 지역 이며, 토양pH는 6.4~6.9로 조사되었다. 토양 낙엽층은 3cm 로 동일하였으며, 토심은 27~30cm로 나타났다. 수관 울폐 도는 70~80%로 비교적 광량이 풍부한 지역에서 생육하였 다. 꽃며느리밥풀이 생육하고 있는 중왕산 지역은 해발 905~914m로 나타났으며, 사면방위는 정서사면과 남서사 면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경사도는 17~26°로 완만한 지역 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토양습도는 8~12%로 낮은 편이였 으며, 토양pH는 6.4~6.9로 중성에 가까운 토양으로 조사되 었다. 토양 낙엽층은 3~4cm로 나타났으며, 토심은 29~30cm 로 조사되었다. 조사구내 수관 울폐도는 75~85%로 조사되 었다. 며느리밥풀속 자생지역의 산림식생조사를 바탕으로 평 균상대우점치(MIP)의 분석 결과는, 새며느리밥풀이 자생 하고 있는 오대산 비로봉구간은 신갈나무의 평균상대우점 치가 40.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잣나무 20.0%, 철쭉 14.1%의 순으로 나타났다. 석병산 구간은 신갈나무의 평균 상대우점치가 47.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소나무 12.7%, 철쭉 12.3%, 조록싸리가 4.8%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꽃 며느리밥풀이 자생하고 있는 중왕산 지역은 신갈나무의 평 균상대우점치가 58.0%로 조사대상지 중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생강나무 9.8%, 미역줄 5.2%, 소나무가 4.6%의 순으 로 높게 나타났다. 3곳의 조사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수 종은 신갈나무, 당단풍, 철쭉, 참싸리, 미역줄 이었으며, 모 든 지역에서 신갈나무가 우점 하였다. 며느리밥풀속 자생지 3곳의 초본식생조사를 바탕으로 상대우점치(IP)의 분석 결 과, 새며느리밥풀이 자생하고 있는 오대산 지역은 이질풀이 16.1%로 가장 높았으며, 난사초 10.3%, 대사초 10.0%, 실 새풀이 7.7%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석병산 지역에서는 맑은대쑥12.0%로 가장 높았으며, 대사초 11.0%, 김의털 9.8%, 세잎양지꽃이 9.5%의 순으로 나타났다. 꽃며느리밥 풀이 생육하고 있는 중왕산 지역은 애기나리가 26.1%로 가 장 높았으며, 대사초 14.1%, 맑은대쑥이 7.6%의 순으로 높 게 나타났다. 각 조사대상지에서 대사초의 상대우점치(IP) 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맑은대쑥, 김의털 및 실새풀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 식물종들은 며느리밥풀속의 숙주 식물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대상지별로 조사된 목본식물의 종다양성(Species Diversity, H′) 분석결과, 석병산에서 16종으로 출현종수가 가장 많았으며, 오대산 14종, 중왕산이 9종으로 나타났다. 종다양성(H′)은 오대산이 1.83(0.79)으로 가장 높았으며, 석 병산 1.80(0.78), 중왕산 1.46(0.63)으로 나타났다. 초본식 물의 종다양성(H′)분석 결과는, 중왕산에서 출현종수가 30 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오대산 23종, 석병산이 17종으로 나 타났다. 종다양성은(H′)오대산 2.49(1.79)로 가장 높았으며, 중왕산 2.11(0.91), 석병산이 2.11(0.91)로 나타났다. 며느리밥풀속의 Diaspore 중량은 새며느리밥풀이 0.053mg으로 가장 무거웠고, 알며느리밥풀 0.040mg, 꽃며 느리밥풀이 0.036mg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엘라이오솜 (Elaiosome) 중량은 알며느리밥풀이 0.0059m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새며느리밥풀 0.0045mg, 꽃며느리밥풀이 0.0039mg으로 가장 가벼웠다. 엘라이오솜 중량비는 알며 느리밥풀이 17.68%로 가장 높게 분석 되었으며, 새며느리 밥풀이 5.58%로 가장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각 종별로 산 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Diaspore(종자+엘라이오솜), 종자, 엘라이오솜, 엘라이오솜 중량비(엘라이오솜 중량/Diaspore 중량×100) 등의 인자들을 분산분석한 결과, 엘라이오솜의 중량을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냈다. 이는 새 며느리밥풀, 꽃며느리밥풀 및 알며느리밥풀이 종자중량에 비하여 엘라이솜의 중량은 비교적 일정하게 포함하고 있으 며, 며느리밥풀속의 종자 중량은 생육지의 조건에 따라 크 기 및 무게가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며느리밥풀속의 종자산포및 관련개미 조사 결과는, 새며 느리밥풀이 생육하는 오대산 비로봉 구간에서 Diaspore를 물어가는 개미종으로 코도쿠뿔개미(Myrmica kotokui)가 관찰되었으며, 석병산 구간에서는 항아리뿔개미(Myrmica excelsa)와 가시방패개미(Myrmecina nippontca)가 관찰되 었다. 꽃며느리밥풀이 생육하는 중왕산일대의 조사대상지 에서는 일본장다리개미(Aphaenogaster japonica)가 관찰 되었다. 채집된 개미는 모두 두마디개미아과(Myrmicinae) 에 속하는 3속 4종의 몸집이 작은 개미류들이였다. 이 개미 류가 생활하는 서식처 및 먹이의 다양성 등 생육특성을 고 려하면, 며느리밥풀속의 종자산포에 유리한 종이라 사료
        347.
        201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48.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産) Nacoleia속(屬)은 6종으로 정리된다. 이 중 2종(Nacoleia inouei Yamanaka, 1980 및 Nacoleia satsumalis South, 1901)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된다. 본 고에서는 한국산 Nacoleia속의 기록종을 중심으로 분류학적으로 정리함과 동시에 한국미기록 2종에 대하여 외부형태 및 생식기특징을 도해하고, 채집지기록 및 국내외 분포정보 등을 제시하였다.
        3,000원
        34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iny the Elder said that multiple cultures agree that the painting began as a shadow trace. A daughter of Butades, the potter in Corinth, traced an outline around a man's shadow, and it was the very beginning of painting. In this anecdote, the profile, i. e. the portrait substitutes body of the absent lover. It makes the absent body present and replaces his place. In this context Hans Belting put the anthropological value to this visual practice. Human being made images to cope actively with the shock of death and the disappearing of body. With the aid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bodily presence, the image struggles to resist the death.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ritical meaning of representation in the context of bodily survival by image. The representation is the paradoxical trick of consciousness, an ability to see something as 'there' and 'not there' at the same time. So the connection between image and the body would be suspicious. Although this relation was tight in the ancient shadow painting and the medieval effigies, the modern visual practice forsakes this connection and exposes the trick of representation. It insists that image was not real and even expels the medieval visual practice from the boundary of fine arts. The genealogy of the portraiture is formed by two different visual practices. The belief and the disbelief in the image are observed in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and anti-representation, and this ambivalence transforms the ontological meaning of portrait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8,400원
        35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ntury-old nutrition and health concepts can be revived and applied in the modern age in the forms of newly developed menus, recipes, and lifestyle education. Current medical nutrition therapy concepts were first described in the Chosun Dynasty (1392-1897) in Korea based on the philosophy that food and medicine originate from the same source, which is known as ‘food as medicin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tradition, local diet, and lifestyle on health and medical nutrition therapy, we tried to rediscover traditional Korean approaches towards food consumption and nutrition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eveloped contemporary menus accordingly. The medical nutrition therapy prescriptions described in ‘Shikryochanyo’ (1460) by the Chosun Dynasty’s royal physician Soonyi Jeao cover 45 different diseases. In this project, we developed contemporary menus for those disease models that are most prevalent in modern society. Menus developed with foods that are readily available today were evaluated for their nutritional content and adequacy using a computer-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CAN pro 3.0, developed by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for comparison with RDA for Koreans). Therefore, century-old nutrition and health concepts can be revived and applied in modern society as newly developed menus recipes and lifestyle education.
        4,600원
        35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리응애 1 신종인 Typhlodromips geumgangensis n. sp. (금강이리응애)를 기재하였고, 1 한국 미기록종인 Typhlodromips paraki (Ehara, 1967) (명아주이리응애)를 한국산 표본으로 재 기재하였으며, 비단이리응애속의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3,000원
        352.
        201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틈새 버섯 소비시장을 겨냥하여 선호도가 높은 야생 식용버섯의 인공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자주 방망이버섯속 균주를 수집하여 균사 생육특성을 조사하였고 또한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시험균주는 모두 18균주(Lepista sordida 6, Lepista nuda 12)로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정보센 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온도별 균사 생장은 PDA 배지를 사용하여 ∅8.5cm 샤레에서 15℃, 20℃, 25℃, 30℃에서 각각 12일간 배양 후 조사하였다. 배지 종류별 균사 생장은 배양 온도 25℃ 조건하에 배지 종류를 PDA, MCM, CDA, MEM, YM 5종을 사용하여 ∅8.5cm 샤레에서 각각 12일 간 배양 후 조사하였다. 유연관계는 UFPF-PCR법으로 UFPF4, UFPF7 2개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험균주 18종 중 Lepista sordida 3균주, Lepista nuda 8균주 등 총 11개 균주가 자주방망이버섯 속의 전형적인 균총색인 보라색을 띠었다. 온도별 균사 생육은 전반적으로 25℃에서 양호하였으나, LS-05와 LN-06은 15~30℃ 범위에서 균사 생장이 빠르고 활력도 좋았다. 배지 종류별 균사 생육은 전반적으로 PDA와 YM 배지에서 양호한 편이었고, CDA 배지에서는 균사 활력이 매우 떨어졌다. 균주별로는 LS-01, LS-05, LN-05, LN-06 등 4균주의 균사 생육이 양호한 편이었다. 이들 수집균 주의 PCR 분석 결과, 크게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353.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진사회성(eusocial)곤충이며 우리나라 고유종인 참땅벌(Korean yellowjacket, Vespula koreensis)의 둥지(nest)입구 유리관 내로 진입 속도와 나오는 속도에 대한 측정치를 제시한다. 각 포식 재료(foraging material)인 nectar(에너지원), prey(유 충먹이), pulp(둥지 재료)에 속하는 3가지의 포식 재료를 가져 오는 forager의 유리 관 속 행동을 영상을 곤충 행동 관찰 장치(Noldus, EthoVision XT 8)를 사용하여 각 포식 재료를 들고 나는 속도를 측정 하였다. 측정은 각 포식 재료 별로 44개체씩 측 정하였으며, nectar forager의 속도 평균(4.655±0.556cm/s), prey forager (5.238± 0.601cm/s), pulp forager(5.200±0.631cm/s)이며, 전체 속도 평균(5.028±0.595cm/s) 로 측정 되었다. 속도는 prey forager가 가장 빠른 속도를 보이며, nectar forager가 가장 느린 속도를 보였다. 이 외에 개체의 나오는 속도와 개체의 무게와 길이 나이 등이 비교분석 되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각 개체들의 속도의 차이와 개체의 나이 의 변수, 각 포식 재료의 비용들을 추정하고 비교 토의 하였다.
        35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Zeiraphera屬은 잎말이나방科 Eucomini族에 속하며 전 세계에 약 1,600여 종이 분포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총 5종이 보고(Byun et al, 2009)되어 있 고, Byun(2011)이 북한産인 Zeiraphera lariciana Kawabe, 1980를 기록한 바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에 주요지역을 중심으로 채집조사를 실시함과 동시 에 국내의 주요 표본소장기관을 방문하여 연구표본을 검경하였다. 이외에도 북한 지역 분포 종은 헝가리자연사박물관의 표본을 참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종들의 조사 및 새롭게 기재되는 1신종 (Zeiraphera paravirinea sp. nov.)을 포함하여 총 7종의 분류학적 정리가 이루어졌 으며 이들의 생물학적 정보가 종합되어 관련분야에 활용될 정보로 제공코자 한다. Genus Zeiraphera Treitschke, 1829 1. Zeiraphera demutana (Walsingham, 1900) 2. Zeiraphera fulvomixtana Kawabe, 1974 3. Zeiraphera griseana (Hubner), 1799 4. Zeiraphera rufimitrana (Herrich-Schaffer, 1847) 5. Zeiraphera virinea Falkovitsh, 1965 6. Zeiraphera lariciana Kawabe, 1980 7. Zeiraphera paravirinea sp. nov.
        35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한국産 Caloptilia屬(가는나방科)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우리 나라에서의 분포를 밝히고, 이들의 계통학적 체계를 수립함과 동시에 생활사 및 생 태 특성 등 관련 응용분야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수립코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 국적인 채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종별 분류학적 특성의 조사와 생태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번 연구 수행과정에서 한국産 Caloptilia屬은 총 15종으로 정리되며 각 종들에 대한 검색표, 기재문 및 도해도 등이 작성되었다.
        356.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딱부리반날개속(Stenus Latreille)의 미기록 3종[Stenus (Stenus) latissimus latissimus Bernhauer, S. (S.) hammondi Puthz 및 S. (Hypostenus) dissimilis Sharp]을 보고한다. 성충 사진, 수컷의 생식기 및 9번째 복판 그림을 제시한다.
        4,000원
        35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미기록속인 짧은나래반날개속(Leptusa Kraatz) (신칭)에 속한 두 종-짧은나래반날개[L. (Drepanoleptusa) deplanata (Sawada)] (신칭)와 붉은짧은나래반날개[L. (Eospisalia) kitazawai kitazawai (Sawada)] (신칭)-를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한다. 두 종에 대한 검색표, 진단 형질 기재와 성충의 사진 및 주요 형질에 대한 그림을 함께 제시한다.
        3,000원
        358.
        2013.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f a missionary does not fully comprehend the concept of the mission of God, he can be said to live a second or third dimension of a missiological life. Thus, he always worries about what to eat, what to drink, or what to wear, and the mission of God cannot be fulfilled when he is tempted with these worries. The Will of God which constantly processes from the Genesis until present day surpasses the third dimension, meaning that it exceeds a line formed by connecting a dot and dot, the surface formed by these lines, and the space formed through those surfaces. In the midst of this, the Will of God should be comprehended under the universal concept that surpasses the time and space. The writer names this as the Holistic Missio Dei, or something that goes over, for “finite human mind cannot fully comprehend infinite and eternal God.” When the Will of God comprehended under the universal notion is applied to His creatures, the true mission of God can be accomplished. Through this, we can find out every element relating to mission, such as the principal agent, purpose, direction, strategy, and more. The first chapter of Genesis, which belongs to the introduction of the Old Testament, clearly demonstrates that God is the agent of mission. In the Holy Bible, New Korean Revised Version, the subject of every sentence is God. For 32 times, God is expressed in subjective or possessive. Considering that the first chapter of Genesis consists of 31 verses, every verse includes the word ‘God,’ and here, the word ‘God’ indicates Elohim. In this point of view, the Bible and church history clearly demonstrate us that God created the world and that in the midst of this, the Church was developed. The writer acknowledges that “Today’s Salvation,” which was discussed together with conservative mission perspective in the late 20th Century, should be established as the theme of mission. The conservative mission perspective always was ‘God ⟶ Church ⟶ World.’ Yet, as this proceeded to the modern mission perspectives, it was changed to ‘God ⟶ World ⟶ Church.’ In the conservative mission perspective, modern church was always a community of people with callings and an agent of dispatch. Nonetheless, in the mission of God, the agent of dispatch is God the Trinity, and Church is a community that gathers and scatters as Charles Van Engen asserts. The writer perceives that, by going one step further from the conservative mission perspective and by interpreting the mission in a declaration and participation perspective of the Gospel, the true mission can be erecting the church in the world—where Gospel is declared and God exists— and changing the world through Church. The chart based on the comparison of aforementioned mission of God and biblical foundation of the Old Testament with conservative mission perspective illustrates how missionaries should carry out the ministry work in 21st century mission field.Moreover, God’s work of salvation can not be restrained by a continent, cultural characteristic, or group. Thus, the incarnation of Christ or the declaration of Gospel should be accomplished in a place where includes all nations and races, from one person to the whole ethical group and the world. There, people who confess Jesus as Christ the Lord should have a relationship and love in the name of the Lord by establishing a community of faith such as ל 󰕗󰙌(Kahal) or ekv klhsia, and should live for the glory of God by rejoicing in the grace of Salvation. To understand the mission of God, the comprehension of the Gospel is required. The mission which Jesus Christ, who is the Gospel Himself, claims is the mission of God. Jesus Christ had a clear recognition of both the concept of God and the mission of God. Hence, that same God and the mission of God which Jesus comprehended should be appreciated. Jesus Christ perceived God as Elohim. Especially, based on Deuteronomy 6:4, He said, “Hear, O Israel: The LORD our God [is] one LORD”. From the beginning, Jesus Christ incarnated to accomplish the mission of God manifested in Elohim. Philippians 2:6-11 illustrates God the Father who did not consider equality with God something to be grasped and incarnated. Jews did not understand Christ who descended to the world with the heart of God the Father. They did not apprehend the heart of Elohim, but rather said, ‘Luke 23:21.’ Christ prayed at the cross, ‘Matthew 27:46.’ Jesus Christ did not pray to God Yahweh but to God the Father Elohim. With the heart of God and through the Will of God the Father, the mission of Christ can be comprehended. The ministry of accomplishing the Will of God the Father, who earnestly desired the salvation of the world even before the Old and New Testaments were determined as Scriptures, is indeed the mission of God.
        7,700원
        35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cooking method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and "Jusiksiui" over time. The Korean cook book, "Jusiksiui", published in the late 1800s, was mainly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Jusiksiui" contained more than 99 foods. In particular, there were 49 side dishes, including five types of porridge three types of noodles, and four types of dumplings. Most food recipes in "Jusiksieu" are the same as those in "Gyuhapchongseo".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Gyuhapchongseo" (1809) and "Jusiksiui" (late 1800's), Korea's significant archives of Korean recipes, showed that approximately 50 recipes out of 99 recipes were the same as those indicated by "Yeolgujatang" and "Seunggiactang" as hospitality foods and "Gochujang", "Jeupjang", and "Jeupjihi" as traditional paste foods. This indicates that recipes in "Gyuhapchongseo" were transcribed into those in "Jusiksiui". Thus, "Jusiksiui" is the archive that includes recip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a traditional family and transcribed archive of "Gyuhapchongseo", which was widely read by midwives in the late 1800's.
        4,300원
        36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famine was the main cause of climate ecological background, such as frequent floods and droughts, the Little Ice Age (小氷期), and epidemic. In addition, it influence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such as failure toprovide Yiangbeop (移秧法), breakout of war and revolt, loss of farming cattle, grain consumption due to brewing, the concentration of wealth, and tenacity of shamanism. "Limwongyungjeji" "Injeji" of the last part had been written about the famine; wild plants to raw, dried, or dried powder, or processed pharmaceutical goods. Grain couldbe replaced in more than 330 types of famine relief food and recipes; 170 species of vegetables, 34 species of vegetation, and 33 kinds of fruit - the botanic foods were mainstream. Edible parts of these plant foods are those of 14 kinds: 175 species of leaves, 113 species of sprouts, 99 kinds of buds, and other fruits, roots, stems, flowers, etc. The recipe (poaching, salting, and oil-marinated) was written 186 times or forsoup, raw, and boiled.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