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5

        10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 중등 과학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대해서 어떠한 지향을 하고 있으며, 그것이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중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미만의 과학 교사 6명이다. 자료 수집은 수업 관찰 및 녹화, 구조화된 심층 면담과 우선순위 면담, 수업 자료를 통해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면담 자료를 전사한 후, 분석틀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임 과학 교사들은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관해 '관리 중심 과학 수업'에서부터 '전통적 과학 수업'까지 지향하고 있었으며, '구성주의적 과학 수업'은 지향하지 못하였다. 지향하는 바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한명의 교사는 전문 단계의 실행 수준을 보여주었지만, 나머지 교사들은 초보 단계의 실행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 교사들에게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관한 구성주의적 과학 수업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103.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sales force management practices and performance within each of Miles & Snow (1978)'s strategy types and Walker & Ruekert (1987)'s strategy typ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ospectors seem to
        4,000원
        104.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정부는 안전관리체제의 구축과 정착을 위해 다각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이제는 기업에서 회사 실정에 맞게 안전관리체제가 잘 운영되고 있는 지를 자체 진단하고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겠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안전관리체제를 모니터링하고 운영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모형 개발과 안전관리체제를 운영할 수 있는 실행지원 모듈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주로 사용하게 될 경영과학 분야의 주요 의사결정 방법 하나인 AHP 기법을 검토했다.
        4,000원
        10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quality management(TQM) practices and operational performance perceived by employees who are in different functional organization types, R&D function and Non-R&D function organization in manufactur
        4,000원
        108.
        200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quality management(TQM) practices and operational performance perceived by employees who are in different organization types, R&D organization and Non-R&D organization in manufacturing companies. Operational performance is defined as the degree of operation efficiency in the perspective of quality, delivery, and cost. Our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TQM practice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 type. In case of R&D organization, the categories of customer focus and process management were the strongest significant predictors of oper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the optimal TQM practices for R&D organization can be obtained in consideration of customer focus and process management.
        3,000원
        109.
        200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sales force management practices and performance within each of Miles & Snowꡑs strategy types(1978) and Walker & Ruekertꡑ s strategy types(1987).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Prospectors seem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performance when they are utilizing a relationship selling strategy, internal sales force, moderate levels of supervision, outcome-based control system and incentive-oriented compensation system. Second, Analyzers seem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performance when they are utilizing a relationship selling strategy, internal sales force, outcome-based control system to deal with the instability in their strategic focus. Third, Low Cost Defender seem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performance when they are utilizing a relationship selling strategy, external sales force, low levels of supervision, outcome-based control system and salary-oriented compensation system. Fourth, Differentiated Defenders seem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performance when they are utilizing a relationship selling strategy, high levels of supervision, balanced(outcome+behavior) control system and salary-oriented compensation system.
        3,000원
        110.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tal Quality Management(TQM) is the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for the enterprise faced with the dynamic change of the environment as the customer satisfaction era, unlike the past marketing era. It can have an effect on the strategical choice of the enterprise and becomes a new spotlight of management strategy in business administration recently with various technique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such as business re-engineering, benchmarking and so on. The TQM which has an essential part of a Risk Response Process is recognized as strategic aspects in Risk Management. TQM means the total management system that realizes management philosophy of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continuous improvement and innovational thoughts on the basis of top-management's leadership and employees' involvement, policy of quality management, customer focus,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empowered work forces, and supplier relationships. The data investigating the business performance effect of active factors in TQM based on the shipping firms were collected from 250 shipping firms in Korea by the use of questionnaire method and personal interviews at the selected samples.
        5,100원
        112.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114.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115.
        1979.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116.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예술적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실행 정도는 어떠한지 탐구하는데 있다. 예술적 교육과정의 23개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정도에 대해 묻기 위해 총 46개의 선택형 문항이 Likert 5점 척도로 구안되었다. 설문지에는 교사의 예술적 교 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사례를 묻는 2개의 서술식 문항도 추가되었다. 설문지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4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연구대상은 26명의 교사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의 배경변인은 학교급, 교직경력, 학력,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으로 설정되었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평균차이 검증, 질적사례분석으로 혼합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결론이 도출되 었다. 첫째, 교사는 예술적 교육과정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자신의 예술적 교육과정 실행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급, 교직경력, 학력에 따른 예술적 교육과정 에 대한 인식과 실행의 통계량 비교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다른 배경변인과는 다르게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의 정도는 많은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는 예술적 교육과정과 관련한 교사 역량이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통해 신장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넷째, 교사들은 예술적 교육과정을 교육적 상상력, 현장 주도적 교육과정, 종합적 관점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모호하고 어렵기만 했던 예술적 교육과정을 좀 더 실제적이고 피부에 와닿는 개념으로 이론화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117.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육이론과 실행 간 격차는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론과 실행 간 관계속에서 이론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이론의 영역을 과학교사의 내용 지식(SMK: Subject Matter Knowledge)과 교수내용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한정하여, 이와 관련된 기본 개념을 재구조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연구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고, 가설적 제안과 가설 검증을 위해 필요한 실증적 연구도 함께 제안하였다. 첫째, 교과 내용 지식을 학생이 알아야 할 지식과 상위지식으로서 교사가 알아야 할 지식으로 나누고, 교사가 알아야 할 상위지식의 유형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상위지식이 교사의 수업 실행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상위지식도 학생지도를 위해 직, 간접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심리학의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이론에 기초하여, 교사의 지식이 상황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형되면서 즉각적으로 실행되려면 체화된 PCK (embodied PCK) 개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고, 체화된 PCK의 특징과 과학교사의 수업 실행에서 이것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PCK와 체화된 PCK를 포함하여 이론 과 실행 간 관계를 강조하는 새로운 PCK 모델을 제안하고, 그 특징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논의와 가설적 제안 및 실증적 연구의 제안은 이론과 실행 간 관계 속에서 이론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이론과 실행 간 조화를 위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118.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상향식 교육과정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협력적 실행 연구이다. 중앙 집중적인 교육과정 개발 체제를 따르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교사는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국가 교육과정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개선 의견을 제안할 수 있는 공식적인 기회를 갖기 어려운 형편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 연구는 단위 학교 에서 현행 국가 교육과정을 평가하고자 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연구자-참여자 간 협력을 통해 개발된 교육과정 평가 모형을 적용한 결과, 단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국가 교육과정 평가는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참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현장에 기반을 둔 유의미한 개선 의견을 도출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교육과정 제안자로서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주인-되기’의 역동을 형성하는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글은 상향식 교육과정 평가 모형이 지속・확산되기 위한 향후 개선 과제를 제안하였다.
        119.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코로나 상황(Covid-19)의 장기화로 인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던 많은 교육과정들이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한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필수 과정인 교육실습 역시 온라인 교육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초점은 비대면 교육시대의 온라인 교육실습을 위한 실습지도교사와 예비교사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2019년 충청권 교사연구회를 통해 드러난 실습지도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온라인 플랫폼에 요구되는 콘텐츠와 세부 기능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2020년 5개의 충청권 실습학교들이 실시한 온라인 교육실습의 내용을 살펴보아 현장의 요구가 어떻게 실천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2020년 온라인 교육실습을 경험한 각기 다른 대학교 소속 4명의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살펴 기억해야 할 가치와 교육실습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서, 실습지도교사는 실습의 전 과정의 흐름을 드러내는 콘텐츠의 중요성, 학생들은 실제실습의 과정에 초점이 맞춰진 콘텐츠들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실습지도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소통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교육실습의 가치를 드러냈다.
        120.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의 출판연도, 연구저자, 공인용, 키워드 현황을 분석하여 운동과 실 행기능에 관한 연구동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Web of Science에서 2003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발행된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련한 학술지 총 1577편을 대상으로 CiteSpace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계량서 지학적 분석, 데이터 시각화분석,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16년 동안 출판편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 였으며, 주로 미국에서 발표한 연구편수가 많았고, 연구의 영향력도 컸다. 둘째, Arthur F. Kramer와 Yukai Chang 을 중심으로 협력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피인용이 높은 연구는 주로 메타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무작위대조실 험으로 구성된 연구였다. 넷째, 키워드 현황으로는 연구방법, 관여질병, 관여방식, 연구내용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키워드 클러스터에 따르면 인지기능, 요가, 우주비행, 사건관련전위, 일회성 운동, 자기관리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운동과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는 학자 간 협력이 다수 존재하고 공인용 문헌은 ‘운동은 인지를 변화시킨다’ 와 ‘운동은 인지구조를 변화시킨다’ 두 가지로 나뉘었다. 또한 학자들은 이미 심리학, 인지신경과학 등 여러 분야 에서, 다양한 대상, 방법을 통해 운동과 실행기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