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94

        1081.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was developed to save energy in freeze dryer. The objective part in the freeze dryer was a shelf with an electrical heater and cooling compressor. The shelf was a fluid circulation heat exchanger.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shelf is generally a feedback control by present and set values of the shelf temperature only, whereas in new control algorithm the circulating fluid temperature and fluid circulating speed were included as well. The control algorithm was based on a concept of refraining the heater and cooler from being in operation if unnecessary. Actuators in use were mainly thyristor for heater, relay for cooling compressor, inverter for fluid circulating pump, etc. Type of Interfaces were RS232C, and digital-analog converter and digital-output converter. Program language was Visual Basic 6.0. Finally, control performance by the new algorithm could be improved in terms of energy saving and accuracy.
        4,000원
        1085.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총각김치의 pH는 20℃ 24시간 발효/-1℃ 저장조합의 경우 다른 조합에 비하여 발효 초기에 크게 낮아졌지만 첨가한 젓갈중의 단백질에 의한 완충작용에 의해 pH 변화는 크지 않았다. 산도도 발효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크게 증가하였고 초기 1주일 동안의 산도는 배추김치의 산도보다 낮았으나 그 이후에는 더 높은 산도를 보였는데 이는 총각김치에 첨가한 찹쌀풀에 의해 산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총각김치는 찹쌀풀을 많이 첨가할수록 총각김치의 발효 후기의 산도가 높아진다. 조직감에서 puncture force는 발효 8주 후까지 서서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무발효/-1℃ 저장 조합의 경우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관능평가의 경우 탄산미와 신맛은 20℃ 24시간 발효/-1℃ 저장 조합에서 가장 높았고 무발효/-1℃ 저장 조합에서는 풋내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풍미를 나타냈다. 경도는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5℃ 3일 또는 6일 발효/-1℃ 저장조합이 가장 적당한 경도를 나타냈다. 외관은 초기에 발효가 진행된 20℃ 24시간 발효/-1℃ 저장 조합이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무발효/-1℃ 저장 조합이 가장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총기호도는 발효온도가 낮을 경우 매운맛이 너무 강하게 느껴졌고 발효온도가 높을 경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매운맛도 감소하고 총기호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총균수는 20℃ 24시간 발효/-1℃ 저장 조합의 경우 7일 후에 1.15times109, 5℃ 6일 발효/-1℃ 저장 조합의 경우 6일 후에, 5℃ 3일 발효/-1℃ 저장 조합의 경우 7일 후에 각각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그 이후에는 거의 비슷한 경향으로 감소하였다. 젖산균 수는 20℃ 24시간 발효/-1℃ 저장 조합의 경우 Leuconostoc spp. 와 Lactobacillus spp. 는 7일 후에 각각 1.18×109와 5.62×109으로 최고치를 나타냈다. 효모수는 발효온도에 관계없이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배추김치에서 보다 훨씬 낮은 경향을 나타냈고 첨가된 찹쌀풀에 의해 당 함량이 높아져 미생물수가 배추김치에서 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다.
        4,200원
        1088.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conventional metallothermic reduction (MR) process for obtaining tantalum powder in batch-type operation. it is difficult to control morphology and location of deposits. On the other hand, a electronically mediated reaction (EMR) process is capable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has a merit of continuous process, but it has the defect that the reduction yield is poor. MR-EMR combination process is a method that is able to overcome demerits of MR and EMR process. In this study, a MR-EMR combination process has been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tantalum powder by sodium reduction of TaF. The total charge passed through external circuit and average particle size (FSS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reduction temperature. The proportion of fine particle (-325 mesh)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reduction temperature. The yield was improved from 65% to 74% with increasing reduction temperature. Considering the charge, impurities, morphology, particle size and yield, an reduction temperature of 1,123 K was found to be optimum temperature for MR-EMR combination process.s.
        4,200원
        1090.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수면 온도에 대한 구름복사 강제력의 지역 의존도가 조사되었다. 이 조사는 경년 변동과 계절 시간규모에 대해서 각각 조사되었다. 적도 동태평양에서 경년 변동의 경우 해수면 온도가 1˚C 증가할 때 순 구름복사 강제력은 약 3Wm-2가 증가하였으며, 계절변동이 포함된 경우 약 3.5Wm-2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열대 해양전체에서 경년 변동의 경우 해수면 온도가 1˚C 증가할 때 순 구름복사 강제력은 1.5Wm-2 감소하였으나, 계절변동이 포함된 경우 약 2.9Wm-2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해수면 온도에 대한 구름복사 강제력의 의존도는 적도 동태평양에서 열대 해양으로 넓어질수록 경년 변동에 의해 영향에서 계절변동에 의한 영향이 더 지배적으로 작용한다. 계절 변동이 포함된 경우 해역에 관계없이 해수면온도가 1˚C 증가할 때, 순 구름복사 강제력은 약 2∼3Wm-2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수면 온도의 경년 변동이 뚜렷한 적도 동태평양에서는 경년 변동에 의한 구름복사 강제력이 대기를 가열하는 반면, 열대 해양 전체에서는 계절변동에 의한 구름복사 강제력이 대기를 가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
        1100.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extrusion temperature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was studied in gas atomized TEX>Al81Si19 alloy powders and their extruded bars using SEM, tensile testing and wear testing. The Si particle size of He-gas atomized powder was about 200-800 nm. Each microstructure of the extruded bars with extrusion temperature (400, 450 and 50) showed a homogeneous distribution of primary Si and eutectic Si particles embedded in the Al matrix and the particle size varied from 0.1 to 5.5 . With increasing extrusion temperature from 40 to 50, the ultimate tensile strength (UTS) decreased from 282 to 236 ㎫ at 300 K and the specific wear increased at all sliding speeds due to the coarse microstructure. The fracture behavior of failure in tension testing and wear testing was also studied. The UTS of extrudate at 40 higher than that of 50 because more fine Si particles in Al matrix of extrudate at 40 prevented crack to propagat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