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엘리트 골프 선수와 초보자들의 퍼팅 동작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을 비교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대학 엘리트 골프 선수 23명과 초보자 19명이 참여하였으며, 퍼팅 시 운동학적 변인을 수집하기 위해 SAM Putt을 이용하였다. 산출된 자료는 Two-way Mixed ANOVA를 통해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stu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퍼터 헤드의 회전 각도 결과 follow-through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간과 거리간의 주효과를 보였다. Impact, backswing, 그리고 loft angle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간의 주효과를 보였다. 백스윙 리듬 및 임팩트 타이밍 결과,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간의 주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초보자들은 퍼팅 스트로크 시 손목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고, 퍼팅 스트로크 리듬과 타이밍을 일정 하게 유지하는 것이 퍼팅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랭크 운동 시 세라밴드 적용 유·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건강한 20대 남성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1.75±0.57 세; 신장, 173.33±1.34cm; 체중, 65.92±1.64kg; 신체질량지수, 21.93±0.46kg/m2), 풀 플랭크, 엘보우 플랭크, 사이드 플랭크, 및 리버스 플랭크 운동은 4가지의 세라밴드(사용 안함(WT), 빨간색(RT), 파란색 (BT), 은색(ST))를 적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 부착 부위는 척추기립근(ES), 삼각근(DA), 외복사근 (EO), 복직근(RA), 대퇴직근(RF), 광배근(LD), 대흉근(PM), 및 대퇴이두근(BF)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풀 플랭크 동작 시 ES, DA의 근활성도는 W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5), EO, RA, RF, PM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5). 엘보우 플랭크 동작 시 ES, DA의 근활성도는 W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5), RF, PM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5). 사이드 플랭크 동작 시 ES, EO, RA, RF, LD, PM, BF,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 났다(p<.05). 그리고 리버스 플랭크 동작 시 DA, EO, RA, RF, LD, PM, BF,의 근활성도는 ST적용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플랭크 운동 적용 시 효과적인 신체근육을 강화시 키기 위한 훈련프로그램의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a seismic design, a structural demand by an earthquake load is determined by design response spectra. The ground motion is a three-dimensional movement; therefore, the design response spectra in each direction need to be assigned. However, in most design codes, an identical design response spectrum is used in two horizontal directions. Unlike these design criteria, a realistic seismic input motion should be applied for a seismic evaluation of structures.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horizontal spectral acceleration representing the two-horizontal spectral acceleration is reviewed. Based on these methodologies, the horizontal responses of observed ground motions are calculated.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are recorded accelerograms at the stations near the epicenters of recent earthquakes which are the 2007 Odeasan earthquake, 2016 Gyeongju earthquake, and 2017 Pohang earthquake. Geometric mean-based horizontal response spectra and maximum directional response spectrum are evaluated and their differences are compared over the period range. Statistical represent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geometric mean and maximum directional spectral acceleration for horizontal direction and spectral acceleration for vertical direction are also evaluated. Finally, discussions and suggestions to consider these different two horizontal directional spectral accelerations in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re presented.
Heart rate is a relatively simple and non-invasive method that is used as an important physiological indicator in many studies and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heart structure and functi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sudden cardiac death. In general, appropriately low heart rate during resting means effective heart function and cardiovascular fitness; heart rate at recovery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health and disease condition. We found a beagle dog (Dog_1) with a high heart rate in the previous preliminary experiment.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eart rate response of the Dog_1 with the control group during 12 weeks of interval exercise, to evaluate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bnormalities of the heart an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exercise program. Heart rate was checked during 12 weeks of interval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was over, imaging examination and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stry were performed. As a result, Dog_1 (165.6 ± 1.5)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eart rate in low intensity session of interval exercise than control group (133.3 ± 0.5, p < 0.01). In addition, Dog_1 (181.2 ± 1.4)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eart rate than control group (155.1 ± 0.9) in high intensity session (p < 0.01). The heart rate (30 sec, 60 sec) during recovery state was higher in Dog_1 (30 sec: 156.8 ± 4.0, 60 sec: 166.8 ± 5.8) than in the control group (30 sec: 111.2 ± 2.5, 60 sec: 104.0 ± 5.1, p < 0.01). The results of the imaging examination of Dog_1 with high heart rate confirmed that the heart had no functional and structural abnormalities. All beagles with the interval exercise program did not show maladjustment, and in the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stry results, all the parameter were within the reference range. If the interval exercise program of this study is us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basic data to achieve the purpose of health, welfare, and physical fitness improvement of dogs.
휴전국인 우리나라는 의무복무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취업 및 진학을 한 20대 초반의 사회 초년생은 군 입대 문제로 많은 고민과 큰 걱정을 하고 있다. 이에 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군 생활 적응은 사회가 같이 풀어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방송사 등 문제 해결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역부족이다. 실제 군 입대 후 스트레스 및 불안정 심리상태의 장병 비중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군 생활에서 일상적인 방법을 통해 스트레스,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집중력을 향상 시키고자 실행하였다. 주의 집중력 증가 및 스트레스, 불안감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SMR파 대역의 주파수를 직접 노출시킨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대한 대응표본 t-검정 결과는 신뢰수준 95%에서 t=2.487, p=0.042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즉, 가상사격영상에서 특정 주파수를 제시한 실험군의 피실험자들이 스트레스 및 불안정 심리의 완화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활용하면 젊은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심전도와 뇌파의 상관관계의 확인이 필요하다.
Background: Individuals with mechanical neck pain show biomechanical and neurophysiological changes, including cervical spine muscle weakness. As a result of deep muscle weakness, it causes stability disability and reduced upper thoracic spine mobility, which finally leads to functional movement restriction such as limited range of motion and dysfunction.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oracic spine manipulation and mobilization could reduce symptoms of mechanical neck pain in patient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oracic mobility exercise on cervicothoracic function, posture feature, and pain intensity in individuals with mechanical neck pain.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26 person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with thoracic mobility exercise) and control groups (without thoracic mobility exercise), with 13 subjects in each group. The cervicothoracic function (neck functional disability level and cervicothoracic range of motion), posture feature, and pain rating (using a quadrupled visual analogue scale [QVAS]) were measured before, after 3 weeks, and after 6 week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by-time interactions were found with repeated analyses of variance for the Korean neck disability index (KNDI), all cervical range of motion (CROM), all thoracic range of motion (TROM), cranial rotation angle, sagittal shoulder posture (SSP), and QVAS (p<.05).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from all times in all the evaluated methods. The KNDI, CROM, TROM of left rotation, and SSP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3 weeks, and the TROM of the right rotation and QVA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6 week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oracic mobility exercise during 6 weeks might be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the functional level, posture feature, and QVAS pain rating for managing individuals with mechanical neck pain.
Background: Limitations in hip flexion caused by tight hamstrings lead to excessive lumbar flexion and low back pain. Accordingly, many studies have examined how to stretch the hamstring muscle. However, no study has focused on the effect of hamstring eccentric exercise for tight hamstrings on trunk forward bending.
Objects: We compared the short-term effect of hamstring eccentric exercise (HEE) and hamstring static stretching (HSS) on trunk forward bending in individuals with tight hamstrings. Methods: Thirty individuals with tight hamstring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a HEE or HSS group. To determine whether the hamstrings were tight, the active knee extension (AKE) test was performed, and the degree of hip flexion was measured. To assess trunk forward bending, subjects performed the fingertip to floor (FTF) and modified modified Schober tests, and the degree of trunk forward bending was measured using an inclinometer. We used paired t-tests to compare the values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each group and independent t-tests to compare the two groups on various measures
Results: The FTF test result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exercise in both groups, and AKE for both legs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p angles, mmS test results, or degree of trunk forward bending between groups after the exercise. No test result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at baseline or after the exercise. Both groups increased hamstring flexibility and trunk forward bending.
Conclusion: HSS and the HEE groups increased hamstring flexibility and trunk forward bending. However, HEE has additional benefits, such as injury prevention and muscle strengthening.
Background: Sling exercises are frequently used for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patients with shoulder joint injuries, but research on the significant frequency intensity and appropriate treatment duration for sling exercises with local vibration stimulation is lacking.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with vibration on shoulder range of motion (ROM), muscle strength, pain, and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 medical diagnosis of shoulder joint injury.
Methods: Twenty-two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Six sling exercises with and without 50 ㎐ vibrations were applied i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Each exercise consisted of 3 sets of 5 repetitions performed for 6 weeks. The assessment tools used included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pain level, and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for functional disability. We conducted re-evaluations before and 3 and 6 weeks after intervention. The changes in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ROM of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joint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measurement point (F=3.652, p<.05). In both groups, we found a significant increase in external rotation angle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s (p<.05). The flexor strength of the shoulder joint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measurement point (F=4.247, p<.05). Both the experiment (p<.01) and control groups (p<.05)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houlder flexor strength at the measurement points. After 6 weeks of the interventions, both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VAS (p<.01), SPADI (p<.01), and orthopedic tests (p<.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and the measurement point in terms of the clinical outcomes observed.
Conclusion: The sling exercise with local vibration of 50 ㎐ affected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and improved shoulder flexor strength in the patients with shoulder injuries. Therefore, we propose the use of the sling exercise intervention with vibration in the exercis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houlder joint injuries.
이 글의 목적은 3‧15의거가 4‧19혁명을 가져왔으며, 10‧18항쟁이 박 정희 정권 타도의 도화선을 제공해 10·26사건을 가져왔다는 점에 착안 하여 마산의 민주화운동을 비교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왜냐하면 마산 은 독재자 타도와 불의를 참지 못하는 시민들의 투쟁정신을 상징하는 도시로 각인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3‧15의거와 10‧18항쟁에 대한 민주 화운동으로서 비교분석의 연구가 미흡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마산 의 3‧15의거와 10‧18항쟁을 상호 비교분석에 있어 생각할 점은 마산이 민주화의 성지임을 강조해왔을 뿐, 민주화 정신의 메카로서의 정체성이 정립되어 오지 못했다는 것이다. 마산에서 반독재운동이 발생하면 독재 자가 타도되는 결정적 단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마산은 민주정신의 상 징성을 지닌다. 연구방법으로는 ‘권력의 부메랑 효과’를 사용하고자 한 다. 이 부메랑 효과는 권력자가 영구집권을 위해서 일삼은 부정선거, 반체제운동의 탄압이 오히려 권력자의 파멸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 서 학생들이 교내시위나 학생과 일부 재야세력이 주도한 기존의 민주 화운동과는 다른 방법론적 함의를 의미한다. 3·15의거와 10·18항쟁이 미완의 민주화운동이지만 4·19혁명과 10·26이란 거대한 정치적 변혁을 이뤄낸 데 기폭제 역할을 해낼 수 있었던 것도 결국은 독재자의 오만 한 체제유지가 부메랑으로 돌아와 대통령이 하야하거나 피살되어 대통 령직을 잃게 된 것이다. 이런 민주화운동이 직접적인 정권타도에는 이 르지 못했으나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을 붕괴시킬 수 있었던 견인 차 역할론은 한국현대사의 쾌거라 아니할 수 없다. 의식 있는 학생과 민중들이 적극적인 참여로 전개된 민주화운동이 권위주의 정권에 영향 을 미쳐 독재자가 자승자박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놓은 것이었다. 따 라서 독재자들이 정권 붕괴를 자초하게끔 스스로 권력의 부메랑 효과 라는 덫을 놓고 집요하게 부정선거 획책이나 민중항쟁에 대한 강경론 을 펼치며 스스로 정권을 옭아맨 어리석음이 정권의 붕괴를 자초했다 고 볼 수 있다.
Winged scapular (WS) causes muscle imbalance with abnormal patterns when moving the arm. In particular, the over-activation of the upper trapezius (UT) and decrease in activity of the lower trapezius (LT) and serratus anterior (SA) produce abnormal scapulohumeral rhythm. Therefore, the SA requires special attention in all shoulder rehabilitation programs. In fact,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devoted to the SA muscle strength training needed for WS correction.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ulder girdle muscle and ratio according to the angle of shoulder abduction and external weight in supine position. Methods: Twenty three WS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y performed scapular protraction exercise in supine position with the weights of 0 ㎏, 1 ㎏, 1.5 ㎏, and 2 ㎏ at shoulder abduction angles of 0˚, 30˚, 60˚, and 90˚. The angle and weight applications were randomized.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was used to collect the EMG data of the SA, pectoralis major (PM), and UT during the exercise. The ratio of PM/SA and UT/SA was confirmed. Two-way repeated analyses of variance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A, PM, and UT and the ratios of PM/SA and UT/SA.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 according to angle (p<.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identified depending on the angle and weight (p<.05). The angle of abduction at 0˚, 30˚ and weight of 2 ㎏ showed the highest SA activ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M and UT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M/SA and UT/SA in ratio of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angle (p<.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t PM/SA angles of 30˚, 60˚ and 90˚ (p<.05). For UT/S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nly observed at 90˚ (p<.0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strengthen the SA, it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to use 1 and 1.5 ㎏ weights with abduction angles of 0˚ and 30˚ at shoulder protraction in supine position.
목적 : 영상의 특성이 안구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안구움직임을 측정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성인남녀 64명(24.44±3.68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재생시간이 30분인 4개의 영상물을 시청하도록 하고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눈깜박임 횟수, 동공직경, 주시 횟수 및 홱보기 횟수를 측정하였다. 피사체 움직임의 정도가 서로 다른 2개의 영상물(액션 및 토론)을 고화질 및 표준화질로 각각 제작하여 상대적 움직임 및 화질의 차이를 구분하였다.
결과 : 액션 영상을 시청할 때 토론 영상의 시청과 비교하여, 동공직경이 더 컸고(p<0.050), 눈깜박임 횟수는 더 적었고(p<0.050), 주시 횟수는 더 많았고(p<0.050), 홱보기 횟수는 더 많았다(p<0.050). 그러나 화질에 따른 안구 움직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영상의 종류에 따라서 눈깜박임, 동공직경, 주시 횟수 및 홱보기 횟수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영상의 특성이 안구운동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authors has predicted the maneuvering characteristics of a fishing vessel in deep water using Kijima's empirical formula in a previous study. Since the Kijima’s empirical formula was developed by a regression analysis of merchant vessels which have dimensions ( , , etc.)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fishing vessels, it was possible to make a prediction approximately even with inaccurate estim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s estimated the turning-motion characteristics of a model ship of fisheries training ship in shallow water based on the results of its previous study. The turning-motion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ship in shallow water was found out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to ship draft ratio . In conclusion, the turning-motion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ship had significant changes immediately after an , and this result will be helpful for sailing in shallow water.
The Industrial Innovation Movement, based on win-win cooperation with SMEs, is a structure that enables suppliers who have struggled with corporate growth through productivity innovation due to poor manufacturing environment and lack of innovation. To this end, consultants and technical experts will support production innovation activities to improve production methods and improve productivity through process and management consul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riving factors of the industrial innovation movement to improve the corporate ecosystem 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SMEs using modified IP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vitalize the Industrial Innovation Movement, the CEO-related elements of the participating companies should b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The motivation, education support, innovation organizational culture, the establishment of an innovation promotion system requires centralization of efforts for improvement. Second, in order to revitalize the Industrial Innovation Movement, the consultant's ability to analyze problems and suggest alternatives should be continuously strengthened. Third, in terms of the Central Promotion Headquarters, it was found that the Industrial Innovation Movement would be successful if the public information, industrial inspection for benchmarking, and provision of various information to support innovation activities were urgently improved.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골프 참여자의 건강신념과 환경관심도 및 운동지속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모형을 설정한 뒤 구조방적식모형(SEM)을 통하여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과 연구모형 검증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참여자들의 건강 신념은 환경관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 참여자들의 환경관심도는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의 건강신념은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 참여자의 건강신념과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환경관심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참여자들이 골프를 통해 신체적, 심리적 건강효과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골프 기술습득 이나 기량향상 등의 성취감을 만들어 환경관심도가 높아진다면,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the second result concerned with control of driving wheelchairs and elevating seats. The standing and lifting seat elevation of wheelchairs with general wheel are controlled by motor speeds of rear wheels. The third wheelchair with mecanum wheels can make the translational motions and is controlled by different method which is designed and applied by the appropriate electrical logic circuits. Two general moving type wheelchairs and translational moving type wheelchair using mecanum wheel can drive with joy stick. All three wheelchiars' seat can be elevated by extra switches attached in chair. Finally, this research paper proposes the practical control method and electrical circuits of power wheelchairs.
본 연구는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복합운동이 치매관련인자, 우울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76-83세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운동군 14명, 통제군 14명으로 분류하여 회당 90분씩 주 3회 탄력밴드 운동과 아쿠아로빅스를 16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운동강도는 운동자각도를 설정하여 1-4주는 RPE 10-11, 5-16주는 RPE 11-14를 유지하였다. 복합운동 실시 전·후 측정한 자료의 그룹 내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 상호작용 검증을 위해 이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운동군에서 ß-amyloid(p<.01) 농도와 우울감(p<.001)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DHEAs(p<.01) 농도와 인지기능 (p<.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통제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복합운동은 고령여성의 치매관련인자, 우울감 및 인지기능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양발 착지 시 성별에 따른 상해 경험이 무릎과 엉덩관절의 움직임 및 수직 지면반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20대 남성 20명(상해 경험 8명, 비상해 경험 12명), 여성 20명(상해 경험 11명, 비상해 경험 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높이 45cm 박스에서 양발 착지를 통해 얻어진 운동역학적 변인을 Two-way mixed ANOVA를 실시하였으며, bonferroni adjustmen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 하였다(p<.05). 본 연구결과 상해를 경험한 여성 그룹은 무릎 관절의 외반 및 내측회전 그리고 엉덩관절의 굴곡 및 외측회전 운동을 증가시켜 최대 수직 지면반발력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상해를 경험하지 않은 여성 그룹의 경우 최대 무릎 굴곡각도가 가장 작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엉덩관절의 굴곡과 외측회전 각도에서 가장 적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최대 수직 지면반발력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상해를 경험하지 않은 여성 INE 그룹의 경우 IE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릎과 엉덩관절을 활용하지 못함으로서 높은 수직 지면반발력을 나타내었고, 이는 상대적으로 상해 위험성에 많이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별에 따른 상해 경험이 무릎과 엉덩관절의 운동과 최대 수직 지면반발력의 크기에 요인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개발된 Nurida-ball 공차기 운동기구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일회성 운동에 의한 운동 강도 측정과 장기간 운동에 의한 건강 관련 지표들을 확인하는 데 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Nurida-ball의 운동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8명의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30분 간 Nurida-ball 운동을 실시하고 이를 트레드밀 운동부하검사에서(graded treadmill exercise test: GXT) 측정된 최대치와 상대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12명의 중년 남성을 Nurida-ball 운동 그룹(NB, n=6)과 대조군 그룹(CON, n=6)으로 구분하고 NB 그룹은 8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30min/day, 3 days/week). 이후 운동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체구성, 심폐기능, 혈액 지질 성분 및 근 손상 지표를 확인하였다. 먼저 일회성 Nurida-ball 운동 시 나타난 운동 강도는 GXT-HRpeak (55~85%)과 GXT-VO2peak(23~61%)으로 각각 나타났다. 8주간 장기간 운동을 실시한 연구에서는 CON 그룹과 비교하여 NB 그룹에서 체중, 체지방, 체지방율, 체질량지수의 변화량이(사후-사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B 집단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TC와 LDL는 감소되고 BMC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XT의 최대 환기당량과 수행시간의 변화량이(사후-사전) CON 그룹과 비교하여 NB 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XT의 운동수행시간은 NB 집단에서만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보면 Nurida-ball 운동기구는 신체구성과 심폐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운동 기구로써 중년 남성 들에게 나타나는 대사성 질환들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독교에서 평신도란 사제나 목사가 아닌 사람을 말한다. 천주교에서 는 교황, 주교, 사제, 부제로 이어지는 성직계급과 평신도로 구분되어있으며, 개신교에서는 목사, 전도사와 평신도로 구분된 상태를 유지되고 있다. 천주교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평신도에 대한 시각이 달라져 평신도가 성직자의 하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현대 개신교 에서도 교회에서 평신도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입장에 있다. 그러나 이처럼 달라진 시각에도 불구하고 아직 한국의 기독교 사회에서 성직자와 평신도의 관계는 적어도 교회 안에서는 평등한 위치에 있지는 않다. 본 논문에서 거론할 평신도 운동은 성직자가 주축이 된 운동이 아니라 평신도가 주축이 된 운동을 말하려고 한다. 평신도 운동의 기존 연구 성과들을 살펴보면 평신도 운동의 역사적 전개나 현재의 활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보다는 천주교와 개신교 모두 평신도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와 그것에 맞추어 어떻게 평신도를 교육시키고 활용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경향은 일 반 연구논문은 물론이고 학위논문에서도 거의 예외가 아니었다. 이 글은 평신도 운동들 가운데 주요한 것들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평신도 운동에서의 특징과 그 전망을 고찰해보는 방향으로 전개할 것이다. 결국 이 글은 앞으로 관련 연구를 위한, 그리고 평신도 운동과 사회변동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기본적인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기독교에서 인식하는 평신도 운동의 목적은 천주교나 개신교 모두 선교의 중요성이다. 종교로서 선교가 중요한 것은 사실이나, 가장 시급한 것은 내적 개혁이라고 본다. 이러한 입장을 외면한다면 교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운동이 빛을 잃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평신도 운동의 본 질은 자기반성 운동이고 기독교 본연의 모습을 찾아보는 운동이다.
본 논문은 일본에서 일어난 근현대 재가불교운동의 특징을 살펴보고 재가 불교 교단이 나아갈 방향을 알아본 논문이다. 특히 한국에서도 교단이 형성 되어 포교활동을 하고 있는 법화천태계열 교단과 진언종 계열 교단의 교단 형성과 발전, 교학과 수행체계의 특징을 알아보고 현대사회에서 재가불교 교단의 발전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일본의 재가불교운동은 일본의 근대화와 더불어 일어났다. 급격한 근대화로 인한 개인의 사회적 소외와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성종단에서 할 수 없는 일을 재가자가 중심이 되어 교단을 형성하며 재가불교운동이 발생한 것이다. 일본에서 재가불교 교단은 크게 법화천태 계열과 진언계로 나눌 수 있는 데, 법화천태계 교단은 혼몬부츠류슈(本門佛立宗), 코쿠츄카이(國柱會), 레이유카이(靈友會), 리쇼고세카이(立正佼成會), 소카각카이(創價學會)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모두 니치렌슈(日蓮宗) 계열의 재가교단으로서 근대화에 따른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교육과 경제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소카각카이는 현실정치에 직접 참여했다는 특징이 있다. 신뇨엔(眞如 苑)은 진언계 교단으로 봉사와 실천을 바탕으로 사회문제와 환경문제, 문화적인 측면에서 많은 사회활동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본의 근현대 재가불교 교단의 활동을 참고하여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종교적 방법론이자 재가자들의 실천수행방법론으로 필자는 인권분야 사회운동에의 참여, 경제공동체 및 환경보호단체의 확충, 사회봉사 및 사회사업의 체계화, 전반적인 문화활동에 대한 투자, 정 치참여에의 독려의 5가지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방안은 재가자들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사회문제의 해결방법으로서 미래세대와 현재세대를 연결할 수 있는 고리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재가자들의 안녕과 발전을 위해서도 사회운동을 전개하는 재가불자와 교단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