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44

        38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입학사정관 전형(기회균형선발 특별전형I)으로 입학한 신입생을 위한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 뒤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전형으 로 입학한 재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학업적 특성과 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심층면담을 수행하 였고,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일대일 학습코칭을 결합 한 형태의 학습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참여 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 검 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참여 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고, 특히 자아존중감은 상승하여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보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 측면에서도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본 프로그 램을 통하여 학생들은 같은 전형으로서의 동질감을 느끼게 되어 안정감을 얻었으며, 그룹 활동을 통해 함께 학습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6,000원
        382.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이버대학과 일반 오프라인 대학은 수업운영 방식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특성에서도 많은 차이점이 있다. 즉, 사이버대학의 수업은 콘텐츠 기반의 온라인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습자들은 연령층과 직업분 야, 입학동기 등이 다양하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역량이 요구되며, 대학 차원에서 는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수-학습지원을 해야 한다. 특히 사이버대학은 학습자들의 상황적 요인에 의한 중도탈락율이 일반대학에 비해 높은 편으로 입학에서 졸업까지의 지속적인 학습지 도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요구분석에 기초한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를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B 사이버대학 재학생으로 학습실태 조사를 기반으로 한 요구조사 분석을 토대로 1) 디지털 리터러시 강 화, 2)상호작용 강화, 3) 대학생활 안정화, 4) 실무능력 강화, 그리고 5) 학습자 맞춤형 콘텐츠 개발과 운영 등 다섯 가지 영역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서 는 사이버대학의 특성과 학습자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학습동기와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사 이버대학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교수-학습지원이 이루 어져한다.
        4,500원
        383.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민등록 인구가 현저히 감소되고 있음에도 지역여건을 고려하지 않는 운영보조금의 배정 및 획일적 프로그램 운영 등에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현재 청소년들이 처한 환경은 입시 위주의 성적 제일주의로 학교 부적응과 학교중단 사유 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가족구조가 변화하고 있어 조손, 다 문화, 소년소녀 가장 등이 늘고 있고 청소년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이들에게 상담과 치유를 동반하는 청 소년수련관은 건전한 육성과 균형 있는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터전이고 수련 거리를 갖춘 시설로서의 목 적 수행과 청소년수련관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해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다양한 체험활 동과 청소년의 건전한 육성 발전과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해 청소년수련관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재정이 열악하고 전문 청소년지도사의 인력 부족 및 고용의 불안정, 청소년의 욕구에 부합 한 프로그램의 미흡하며, 청소년 이용 시 불편과 인지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소년수련 관 이용자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로,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욕구조사와 이를 토대로 창의적 이고 혁신적인 지역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고, 둘째로, 청소년 지도사 들의 직업적 전문적 안정을 위해서는 신분보장과 더불어 급여체계를 복시시설 종사자와 동일하게 하되 호봉체계를 3호 봉~15호봉으로 조정하여 현실화가 필요하다. 이는 직업의 안정과 고용불안을 줄여 생동감 있는 직장으 로 변화되어야 만 한다. 셋째로, 재정운영에 관한 사항으로 법인 전입금의 철저한 지도감독과 수련관 수탁 운영 시 운영계획 안을 실행 여부를 준수할 수 있도록 정기적 지도감독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자립형과 지원형 의 목적 사업 비율을 철저하게 준용함과 동시 평가에서도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보조금 차등 지 급 등으로 경쟁력을 제고 할 필요가 있다.
        5,400원
        39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ssure monitoring is expected to be expanded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according to accelerated development of smart water network management technologies caused by appearances of affordable digital infrastructures like computing, storage and bandwidth. However, the placement of pressure sensors has been determined by engineer’s technical decisions since there is no well-defined criteria for deciding a suitable location of pressure sensor. This study presents a placement method of pressure sensor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allowable error in calibrating water network analysis modeling. The proposed method is to find a minimum set of pressure sensors for achieving a reliable management of water transmissions main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ir real-time operation. In the case study in Y area’s transmission main, the proposed method shows equally distributed pressure sensors in terms of hydraulic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manage transmission mains stably and construct a robust real-time network analysis system as a minimal criteria.
        4,000원
        392.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선원안전(재)교육과정의 교육대상, 교육내용, 교육예상인원 및 외국 교육기관의 교육운영방법을 분석하여 국내 선원안전(재)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향후 우리나라 전체 선원 37,000여명이 5년마다 주기적으로 선원안전(재)교육을 수료하여야 하므로 선원의 편의를 위하여 STCW 협약에서 인정하는 선상에서의 교육을 활성화하고 선상교육프로그램을 표준화하여 육상교육을 축소할 뿐만 아니라 선원 안전교육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교육 분야 투자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국내 선원안전(재)교육과정과 STCW협약과의 차이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선원이 안전(재)교육을 적시에 이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하여 안전교육시설 및 가상현실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4,000원
        39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각시설을 규모별, 유형별로 평가하기 위하여 이행지표를 설정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 수는 2012년 기준 전국 184개 중 약 15%인 28개를 선정하였다. 규모별로 대규모 (≥100 t/d), 중규모(50~<100 t/d), 소규모(<50 t/d)로 나누고, 유형별로는 스토커, 열분해, 유동층으로 분류하였다. 이행지표는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으로 대별한 후 각각 6개, 10개, 30개의 세부항목을 설정 하고 5등급으로 나누어 점수를 부과하였다. 평가결과 소각시설 규모별로는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 평가 에서 모두 대규모 시설이 소규모 시설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종합점수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 내어 소각시설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더 높은 평가 점수를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각시설 유형별로 는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을 종합 평가한 결과에서 스토커식(65.3점)이 유동상(59.0점) 및 열분해(58.3 점) 보다 우수한 평가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소각시설 평가시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 중 경제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600원
        394.
        201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9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nalyzed economic feasibility of aquacultural construction which of large-scale. The results of the economic analysis, cage cultural and water recycling cultural by post-water treatment were analyzed that NPV is 2,083,685 thousand won and -14,105,896 thousand won and B/C ratio is 0.590 and 0.855, respectively. These were shown economic infeasibility. But, running water culture by pre-water treatment(small scale) and running water culture by pre-water treatment(large scale) were analyzed that the one is 5,555,747 thousand won and 15,048,589 thousand won and the other is 1,154 and 1,1221, respectively. these were shown economic feasibility. In addition, measurement of B/C ratio through a sensitivity analysis on running water cultural by prewater treatment(small scale) and running water cultural by pre-water treatment(large scale) is economic feasibility in all cases. However, these were analyzed when the selling price was falling to 20 percent, it has shown economic infeasibility and when the selling price rises to 20 percent, water recycling culture by post-water treatment has economic feasibilit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alyzed a sensibility as well as economic feasibility by methods and scales. It is expected that used as basic materials when constructing and operating of land aquaculture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5,200원
        396.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 차이는 교육방법을 어렵게 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 다. 본 연구는 집중몰입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전문대학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방 법: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여름방학동안 합 숙을 통한 집중몰입교육을 실시하여 매년 12월에 치른 국가고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만족도는 on-line으로 설문하였다. 결 과: 집중몰입교육을 개발·운영한 결과,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3학년 학생들의 국가고시 합 격률이 전국 안경광학과 국가고시 평균 합격률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결 론: 집중몰입교육은 학업 성취 향상을 보였으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경사 면허 증 취득을 위한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기에 다른 전공의 경우 전공 교과목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4,500원
        397.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provides a review of research published since 1990 on the beneficial effects of healing therapy programs with farm animals. Although animal-assisted intervention for humans with mental disorders has been well documented with companion animals like as cats and dogs, there is a complete lack of controlled studies of farm animals as therapeutic agents for patients with several disorders. Previous studie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with companion animals have documented that human-animal interaction may decrease stress levels, and is shown to improve self-confidence, social competence and quality of life. As it is shown that different types of animals may have different impact on people's health, it is therefore worth investigating to what extent contact and work with farm animals will contribute to self-efficacy, cop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psychiatric patients. Future research employing more rigorous designs and systematically building upon a clearly defined line of inquiry is needed to advance our knowledge on the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of the healing therapy programs trough animal-assisted intervention with farm animals.
        4,500원
        398.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고속도로 가속차로에서는 차량이 충분한 가속 후 본선에 합류할 수 있도록 시선유도봉 등의 시설 물을 활용하여 진입차량의 합류를 물리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충분한 가속 후 본선에 진입할 경우 속도 차에 의한 충격파 발생도 억제할 수 있으며 합류구간이 짧은 만큼 상충이 발생하는 구간이 짧아지기 때문 에 가속, 합류구간의 설정은 연결로 운영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운영방안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현 재 적정 합류, 가속구간 길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시선유도봉 설치 시 규정에 의한 설치가 이 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시적 시뮬레이션(VISSIM)을 활용하여 가속차로를 가속구간 과 합류구간으로 분리하는 운영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각각의 길이에 따라 연결로 접속부의 소통상태 최적 점을 도출하고자 하였고, 시선유도봉 설치 시 본선과 연결로의 교통수준에 따른 교통특성 변화를 파악하 여 효율적인 고속도로 연결로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구간인 매송IC~안IC 구간은 총 17.5km로 매송IC~비봉IC 구간은 4차로 비봉IC~발안IC 구간 은 3차로로 운영 중이다. 비봉IC 목포방향 연결로 접속부는 본선 3개 차로와 가속차로 1개 차로로 구성되 어 있다. 가속길이가 증가하고 합류길이가 감소함에 따라 본선의 평균통행속도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냈 다. 그러나, 연결로의 경우 합류길이가 감소할 때 150m까지는 통행속도가 증가하였으나, 합류길이가 50m일 때에는 연결로의 통행속도가 46.4km/h까지 급격히 감소하였다. 분석된 시뮬레이션 시공도를 토 대로 각 시나리오별 시간대별 정체길이를 분석한 결과, 정체 시간은 시나리오 3∼5까지 본선이 1시간으로 감소하였으며 시나리오 6에서는 본선의 정체는 해소되나 연결로의 정체시간이 2시간으로 증가하였다. 즉, 본선과 연결로의 소통상태를 고려할 경우, 적정한 가속구간과 합류구간을 구분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 로 나타났다.
        399.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연구에서는 메조스코픽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인 DTALite와 대기오염 배출량 산정 모형인 MOVES Lite-K를 활용하여 교통운영 전략 수행시의 이동성 변화와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 변화를 평가하는 연구 를 수행하였다. 수원시를 대상으로 DTALite으로 교통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첨두율 완화, 차량 교체, 재 차인원 증가 전략을 시행하는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을 각각 수행하여 미시행 시나리오인 Baseline 시나 리오와 비교분석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 지표인 속도와 오염물질 배출량에 대하여 비교 평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평균 통행 속도는 22.4 mph에서 첨두 집중율 완화, 재차인원 증 가의 시나리오에서는 평균 통행 속도가 각각 약 5 mph, 1.9 mph 증가하였다. 차량 교체 시나리오의 경 우는 교통수요가 동일하기 때문에 시행전과 유사한 평균 속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에는 Baseline 시나리오 대비 대기오염 배출량의 변화율이 정리되어 있으며 시나리오별로 다음과 같은 감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 첨두율 완화 시나리오 : 교통혼잡을 완화시킴으로 인해 오염물질 배출량이 약 6~9% 감소 ‧ 차량 교체 시나리오 : 18%의 CO2 감소, 28%의 CO 감소. 교체된 차종인 휘발유 소형 승용차가 기존 차종인 휘발유 중, 대형 승용차 보다 CO2, NOx, CO, PM 배출율은 낮지만 HC 배출율이 높기 때문에 다 른 오염물질은 감소하였으나 총 HC 배출량은 증가하였음 ‧ 재차 인원 증가 시나리오 : 10%의 재차 인원 증가율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차량 수요가 약 9% 감소하였고 오염물질 배출량도 수요 감소와 유사한 수준의 7~10% 감소를 보임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교통정책 대안별 네트워크 평균 속도 및 오염물질 배출량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론이 교통운영전략, 교통정책, 교통사업 평가 시 활용된다면 이동성 과 환경적 측면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주요 판단 지표를 의사 결정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00.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평면교차로 설계지침에서“평면교차로란 도로와 도로가 서로 교차 또는 접속되는 공간 및 그 내 부의 교통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 교차로의 기하구조, 운영방법 등에 따라 운전자가 통행노선을 선정하는 의사결정 지점이 된다.”로 정의하였다. 교차로의 운영에 따라 파급효과는 연계 노선 전체의 도로에 중요 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차로 설계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현 지침에서는 각 교통운영 방안 별 도로・교통조건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았고“교통량 증가에 따라 순차적으로 시행”한다는 정성적 조 건만 제시하였다. 또한 경찰청의 ʻ국내 교통신호기 설치・관리 매뉴얼(2011)ʼ에서도 국내 도로・교통 여건에 대한 적정성 검토없이 미국 MUTCD(2009)의 기준 1(최소 차량 교통량)과 동일한 기준을 준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국 기준도 이론적 배경 부족 및 주관적 판단에 결정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문제점 지적 및 개정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지적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관련 기준에서 제시한 최소 교통 신 호등 설치 기준(차로수, 주도로/부도로 교통량)에 대해 시뮬레이션(VISSIM, Synchro) 및 현 운영중인 교 차로를 대상으로 적정성 분석 및 최소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차로 수 및 주도로/부도로 교통량 조건이 외에 다른 도로・교통조건(교차로 형태(3지교차로, 4지교차로), 교통량 분포 비율, 좌회전 교통량 비율)을 고려하여 교차로 운영효과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통 신호등 설치 기준에 대한 재 정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국내에서 제시한 교통 신호등 설치 기준 값은 과다하게 설정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조기에 교통 신호등 설치됨으로써 불필요한 지체 발생 혹은 불필요한 유지관리 비용 발생 등 비경제적으로 교차로가 운영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 기준에서 반영하지 못한 교차로 형태(3지교차로와 4지교차로), 방향별 교통량 분포 비율, 좌회전 교통량 비율도 교 차로 운영 방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