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17

        1301.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spect of stable housing support policy for the rural returning voluntary which is increasing rapidly, it is necessary to plan the suitable rural hous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suitable rural housing type and the directions of rural house planning. The 4-typical life style is summarized through the 531 cases-life style investigation of existing rural resident and the rural returning voluntary in the whole rural area. Based on the typical life style analysis, the suitable rural housing type and planning directions are proposed. I hope this paper will be a useful guide to make the suitable rural house have planning for our generation.
        1304.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MORPG에서의 NPC(Non Player Character)는 게임 서사에서 갈등을 유발하고 극적 사건을 형성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MMORPG <World of Warcraft>를 중심으로 NPC의 유형과 그에 따른 서사적 기능을 분석했다. NPC는 플레이어 캐릭터와의 관계축, 행동의 태도축에 따라서 크게 소극적 조력자, 적극적 조력자, 소극적 적대자, 적극적 적대자로 분류된다. NPC는 유형에 따라서 변별적인 서사적 기능을 수행한다. 가령 소극적 조력자는 공간이동과 서사 연쇄의 구심점으로 기능하며, 적극적 적대자는 공간 투시를 유도하고 극적 효과를 창출한다. 이처럼 MMORPG에서 NPC는 게임 서사 진행에 있어서 주요한 서사적 기능을 수행한다. 표면적으로 NPC는 게임 서사에 있어서 평면적 제한적 기능을 수행하지만, 이면적으로는 플레이어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입체적 확장적 기능을 수행하면서 다선형적인 게임 서사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305.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라인 게임을 필두로 가상 세계는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리고 그 가상 세계에 있는 가상 자산과 그 자산이 유통되는 가상 경제가 현실 경제와 맞물려, 주고받는 영향력 또한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에 가상 세계나 경제 혹은 자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의 법적 환경적 조건과 기업의 정책에 따라서 가상 경제의 양상이 매우 다양해질 수 있다는 점은 간과되고 있다. 그 까닭에 실천적인 관점에서 가상 경제의 영향력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세계를 6개의 주체와 5종류의 거래를 가진 시스템으로 보고, 거래 조합의 경우가 24가지로 도출될 수 있음을 보이며, 그 중 4가지 대표 유형을 뽑아 그 특성을 정리했다. 이와 같은 유형 분류는 특징을 더 잘 이해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함의들을 통하여 향후 가상세계의 관리 및 개선 노력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1306.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체조선수들을 대상으로 성별, 소속, 운동경력, 입상경력별로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과 자신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조사대상은 제89회 전국체육대회에 참가한 체조선수 220명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리더십유형은 스포츠 리더십척도 질문지, 자신감은 한국형스포츠자신감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체조선수들이 인식하는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과 자신감은 성별, 소속, 운동경력, 입상경력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변량분석 결과 체조선수들은 체조코치의 리더십 유형의 5개 영역에 의해 자신감 요인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 5개 하위요인 모두가 자신감 요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체조코치의 리더십 유형이 선수들의 자신감 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체조선수는 최상의 연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자신감을 체조코치의 리더십유형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으며, 체조종목 뿐만 아니라 다른 운동종목에서도 경기 중 자신감 향상을 위한 지도자의 리더십유형 방안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07.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demand for residential settlements in rural societies. A significant aspect of the demand analysis was to consider depopulation classifica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with a view to its role as an essential dividing factor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areas of concern. The data collection for analysis was divided according to types of depopulation into the three categories of less developed, stagnated, and developed areas. For the cause and effect analysis between the residential demand and factors of settlement, the ordered probit model was applied. Significant determinants of settlement demand unfolded according to depopulation types. In the case of less developed areas, residential demand wa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factors of daily life convenience and public facilities. Key settlement demand determinants of stagnated regions included the aspects of basic natural environment, daily life convenience and education. Meanwhile, key settlement demand determinants for developed areas included education and agriculture economic aspects.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as also applied to a set of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rural communities to figure out the settlement factors requiring urgent endeavor to improve.
        1308.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시각에서 바라본 체육수업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체육수업의 정상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894명을 대상으로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의 성별에 따라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체육수업의 문제점에서 ‘수업방법’은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정상화’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게 인식되었다. 그러나 ‘수업운영’, ‘교사’, ‘수업내용’, ‘수업평가’ 문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유형(담임, 전담)에 따라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체육수업 문제점에서는 ‘수업방법’, ‘수업운영’, ‘교사’, ‘수업내용’, ‘수업정상화’, 그리고 ‘수업평가’ 문제 모두에서 담임교사가 전담교사보다 높게 인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장에서의 교사들은 스스로를 반성하는 기회를 갖는 한편 수업개선을 위한 방안을 찾는데 힘써야 하며, 더 나아가 체육수업의 정상화를 위해 연구하고 노력하는 자세로 현장에 임해야 하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1309.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에 근거하여 원예치료활동이 이루어진 장소, 시간, 집단의 크기 및 구성, 한계와 규칙, 구조성, 개방성과 같은 현재 원예치료 연구들에 나타나 있는 집단운영의 유형과 그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활동 장소는 실내와 실외 활동을 겸하여 수행한 실험이 가장 많았으나 실내 활동만으로 이루어진 실험과 큰 차이가 없었다. 활동시간은 주1회, 총12회기가 가장 많았고 1회당 활동시간은 60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크기는 10명이 가장 많았고 집단의 구성은 남녀혼성, 성인으로 구성된 그룹이 가장 많았다. 집단의 한계와 규칙을 제시한 실험은 거의 없었고, 대부분 Liebmann(1986)이 제시한 ‘A' 'B' 'C' 'D'의 집단 구조가 혼재되어 있었다. 또한 집단의 개방성에 대해서도 명확히 제시된 논문이 거의 없었고 일부 논문에서 개방집단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집단원예치료 운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활동장소와 회기당시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역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기당시간도 집단의 연령 구성과 유의미한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주회기와 총회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이외의 요인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행된 활동이 집단원예치료라면 개별원예치료와 일반적인 원예활동과는 차별되게 집단원예치료의 효과를 최대화하고 효율적으로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집단원예치료의 운영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이에 대한 연구와 제시가 극히 부족한 상황에서 이러한 집단원예치료의 운영에 대한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문헌고찰을 통하여 제시한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의 수정, 보완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어 질 것이며, 또한 향후 집단원예치료의 요소와 집단원예치료에서 수행된 원예활동들의 분석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실제 원예치료 상황을 고려한 집단원예치료 모델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310.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에서는 MMORPG의 게임 재화 현금거래의 유형과 한계점 연구를 위해 먼저 완전경쟁시장 체제인 MMORPG의 레벨링시스템과 게임경제의 폐쇄구조가 어떻게 현금 거래를 발생시키는가를 살펴보았다. 완전 경쟁시장체제인 MMORPG의 레벨링시스템으로 인한 과잉 생산은 게임의 폐쇄적 경제구조로 인해 통화량의 증가로 이어지고 게임 내에서 머드플레이션이 발생하며 현금거래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유저에 의한 자생적인 질서를 통해 게임 경제를 안정시켜 개선하는 방법이 있으며 인위적이 질서에 비해 국지적이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MMORPG의 경쟁이란 속성에 위배된다는 한계를 지닌다. 둘째는 정부의 법제도에 의한 규제를 통한 개선이 있으며 서비스나 정보의 생산을 비물질노동으로 인정하지 않음으로서 새로운 유형의 게임이 계속 나타나는 게임 산업의 발전 속도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게임 디자이너에 의한 개선은 아이템의 세부적인 조정과 귀속시스템, 아이템 공급량 조절등의 게임디자인을 통해 이루어지며 게임 디자이너에게 강제할 수 없으며 현금거래가 발생하는 원인인 통화량의 증가를 조절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1311.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특수상대성이론의 기초가 되는 동시성의 상대성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 개념의 개입 유형 및 확신 유형을 조사하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개념의 개입 유형은 크게 ‘경험습득개념개입형’과 ‘교과학습개념개입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경험습득개념형은, ‘동대상 동현상’ 개념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교과학습개념형은 특수상대성이론과 관련된 ‘광속불변의 원리’, ‘상대속도’ 등의 여러 개념들이 제시되었는데,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학생 개념의 확신 유형을 조사하기 위해서 상황분석틀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확신 유형은 크게, ‘고갈등-고신뢰형’, ‘고갈등-저신뢰형’, ‘저갈등-고신뢰형’, ‘저갈등-저신뢰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1312.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가의 벼 키다리병 방제를 위한 약제는 정부 보급종 분양농가에서는 prochloraz 처리가 54%였으며, 자가 채취농가에서는 prochloraz+fludioxonil 처리가 60%로 높았다. 벼 키다리병 발생은 정부 보급종 분양농가에서는 33%, 자가채취 농가에서는 55%가 발생되었으며, 생육시기별 조사에서는 정부 보급종 분양농가가 못자리에서 23% 발생된 반면, 자가채취 농가에서는 35%가 발생되었다. Prochloraz+fludioxonil 처리에서 벼 키다리병 발생은 못자리에서는 정부 보급종 분양농가와 자가채취 농가 모두 키다리병의 발생이 없었으나, 본답에서는 정부 보급종 분양농가에서 10%, 자가채취 농가에서 30%가 발생되었으며, prochloraz 처리하였을 때 못자리에서 벼 키다리병이 발생된 포장에서는 본답에서 100% 발생되었다. 약제소독방법별 벼 키다리병 발생비율은 prochloraz+fludioxonil 처리에서는 발생이 없거나 1% 미만이 96%인 반면, prochloraz 처리에서는 70%이었다. 품종별 벼 키다리병 발생비율은 밀양 165호 계통인 주남벼와 호품벼에서 76%였고, 평안벼, 다미벼가 각각 9.5%씩, 일미벼가 5%이었으며, 종자소독을 위한 방법으로 최아기를 이용하는 농가는 54%로 정부 보급종 농가에서 43%, 자가 채취농가에서 70%이었으며, 종자소독시간은 48시간이 84%로 높은 경향이었다. 농가의 살충제별 소독약제는 fenitrothion 처리가 52%로 가장 사용이 많았고 fenthion 약제는 26% 사용되고 있었다.
        1313.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총체용 유연 보리의 종실 및 건물 수량에 대한 제초제 처리효과를 구명하고자 2007년 10월 10일 충남대학교 전작 포장에 줄뿌림하고2일 후에 제초제 유제를 1,000배액으로 희석하여 살포하였다. 1차 제초효과는 무처리에서 냉이의 경우 총 37개체, 마세트(유) 6.7, 알라(유) 5.3이었으나, 2차 조사시에는 무처리 28점, 마세트(유) 2.0개, 알라(유) 2, 3개로 1차시보다 전체적으로 개체수가 적게 나타났다. 이들 각각에 대한 생체중은 1차 조사시 무처리 17.9g, 마세트 3.9g, 알라 1.3g인 반면에 건물중은 무처리 3.23g, 마세트 0.71g, 알라 0.24g으로 이들 중 알라(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2차인 경우 무처리의 건물중은 10.8g, 마세트 2.3g, 알라 1.7g으로1차 조사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이외 밭뚝외풀 역시 같은 경향이었으나 둑세풀은 무처리를 제외한 처리구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각 처리에 대한 작물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분얼수의 경우 1, 2차 모두 처리구에서 4.6개로 동일하였으나 무처리는 1차 보다 2차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생체중 및 건물중은 1차보다 2차에서 크게 증가 하였다. 10a당 종실수량은 무처리보다 처리구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처리간에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131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전 유묘 육성을 도모하고 효과적인 상토의 수분 공급을 위해 계면활성제의 농도별로 단독 및 복합처리된 상토를 밑면의 직경이 5.8㎝, 윗면 7.5㎝, 높이 6.5㎝인 용기에 상토를 충진하고 용기 밑면에 3.8㎜의 구멍을 내어 각 처리간에 물의 흡수시간, 보유수분함량 시간 및 용탈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공시종으로 일품벼와 추청벼를 최아시킨 균일한 벼 종자를 각 처리별 상토에 정식하여 어린묘 소질을 측정하였다. 관수 후 정식한 상태의 초장은 추청벼가 일품벼보다 컷으며, 그 중에서 바로커 원예상토가 제일 좋았으며, 부농경량, 부농 수도용상토, 대조구(일반 논토양)순으로 낮았다. 반면 근장은 두 품종 모두 대조구에서 우수했고 바로커, 부농경량, 부농 수도용 순으로 낮았으며 지상부 건물중은 두 품종 모두 부농 경량이 제일 높았으나 그 이외 처리구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지하부는 바로커, 부농상토 순으로 높았다. 상토별 계면활성제 농도별 처리결과 수분 흡수 경과시간은 각 처리구 모두 일반 대조구와 부농 수도용상토는 처리간에 큰 차이 없이 3~5분 사이에 흡수가 되었으나 경량 및 바로커는 무처리와 100ppm에서 500분 이상이 소요되었으나 300 및 500ppm에서 각각 370분과 470분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경량 상토의 300ppm 처리가 효과적이었다.
        1316.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hilly pasture grazing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organic Korean black goats, an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organic goats. A total of 40 goats with similar age and BW were equally allocat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Dietary treatments included grazing types of four different hilly pastures; T1: forages types, T2: organic forages types, T3: native plants types, and T4: browse types, respectively. The trial lasted for 174 days from 15th of May to 5th of November, 2007 in Livestock Genetic Resources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s. At the end of trial, all animals were slaughtered to analyz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Average daily gai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for T1 treatments than for others. Dressing percentag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for T1 and T2 than for T3 and T4 treatments. Meat percentage of T1 treatment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For meat properties, crude fat content was highest in T3 treatments. Linoleate (18:2n6) and linolenate (18:3n3) contents tended to be higher in T1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while arachidonate (20:4n6) content tended to be higher in T3 and T4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Shear force was lower (p<0.05) for T3 than other treatments. For sensory results, juiciness and tenderness tended to be greater (p<0.05) in T2 and T3, and flavour tended to be greater (p<0.05) in T3 and T4.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azing in hilly pastures for organic Korean black goats was somewhat less in their performanc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but not behind in the meat qualit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egimen. Therefore, it would be expected that goats grazing in hilly pastures made it possible to produce organic animal products with a high safety and also might lead to increase of breeders income and consumers satisfaction.
        1317.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중성 및 공공성이 확보된 작품 제작을 위하여 사람들이 어느 정도 화훼장식물을 좋아하고 느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에 환경 관련 디자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환경 심리학적 접근 방법에 의한 시각적 선호성 및 이미지 특성 파악을 위해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미지 특성 분석 에서는 화훼장식물의 전체에 대한 이미지 통계 결과 ‘자연적’, ‘질서 있는’, ‘통일감’, 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깨끗한’, ‘아름다운’ 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인공적인 도시에서의 화훼장식물이 도시 미관에 자연미와 통일감을 부여하는 경관요소로 조화롭게 연출 되어져 이미지가 높게 평가 되었고, ‘깨끗한’, ‘아름다운’의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화훼장식물이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도시 미관을 떨어뜨리는 이미지로 인식된 결과로 보인다. 2. 화훼장식물이 지닌 이미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된 인자분석 결과, 화훼장식물의 이미지 인자는 총 4개의 인자로 추출되었으며, 인자 1은 ‘미관성’으로, 인자 2는 ‘정연감’으로, 인자 3은 ‘중량감’ 으로 설정하였으며, 인자 4는 화훼장식물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이미지, 안정성, 친밀감 등과 관계되는 ‘친숙감’으로 설정하였다. 3, 4개의 인자들의 인자점수(Factor Score)를 이용한 유형별 산술평균 결과, 미관성 인자와 정연감 인자에서는 모두 유형 Ⅲ이 가장 높게 나타나 입체조형물이 시각적인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입체조형물에 연출된 화훼장식물의 질서와 통일감으로 인한 시각적인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중량감 인자와 친숙감 인자에서는 공히 유형 I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화단에 식재된 화훼장식물로서 장방형의 형태에서 오는 안정감에 기인한 것이며, 한편으로는 예전부터 우리 주변에 있어온 형태의 친숙감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외부공간에 연출된 화훼장식물의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친환경성, 「스토리텔링 기법」등의 공감대를 형성이 중요한 것으로 보이며 화훼장식물이 외부공간에서의 역할을 주변경관과의 어울림의 고려가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5. 시각적 선호도와 화훼장식물의 이미지와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 I과 유형 Ⅱ에서도 미관성 인자가 높게 나온 반면 유형 Ⅲ에서는 정연감 인자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전반적으로 화훼장식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의, 미관성 인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화훼장식물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화훼장식물의 조형미를 높일 수 있는 디자인적 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6. 외부공간과의 시각적 조화성을 분석한 결과, 시각적 조화도를 보인 작품들 대부분이 유형 Ⅲ의 입체 조형물에 연출된 화훼장식물로서, 선정된 작품들 또한 색채, 재료, 크기, 형태, 위치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볼 때, 화훼장식물을 연출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려면 고른 조화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7. 화훼장식물 전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 I에서는 색채의 조화가 , 유형 Ⅱ와 유형 Ⅲ는 각각 위치의 조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컨테이너에 식재된 화훼장식물은, 이동이 가능한 가변성이 있는 작품으로 주변 환경과 컨테이너에 식재된 화훼장식물과의 조화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가 가장 잘 이루어져 완성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외 화훼장식물의 유형을 3가지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한 바 감상자들이 원하는 화훼장식물의 형태는 목적 공간에 맞는 적극적인 연출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듯이, 이제 화훼 장식물의 역할은 단순히 지표의 역할을 하는 기능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공공예술로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결과에 부합하기 위하여 향후 개선해야 할점도 적지 않음을 알수 있다. 시대적 트랜드에 맞는 형태의 디자인 개발과 화훼류의 선택및 이용방안 연구 또한 필연적 과제임을 인식하게 된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아름다운 도시 경관에서의 녹(綠)과 화(花)의 제2의 창출과 화훼예술의 대중적 기여를 목표로 한 외부 화훼장식을 위한 디자인 기획과 연출시, 이용자 선호도 반영및 주변 경관과의조화성 기준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더 나아가서 아름다운 도시를 창조하는데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1318.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운동선수들의 언어‧ 물리적 체벌과 기분상태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서울 및 수도권 속해 있는 고등학교 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연구 대상은 총 463명이며 남자선수는 252명 여자선수는 211명이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남 여 운동선수들에게 체벌을 가하는 가해자는 각각 선배, 지도자, 부모 순으로 나타났고, 체벌의 형태는 언어적․물리적 체벌, 언어적 체벌, 물리적 체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 여 운동선수들의 체벌에 따른 기분상태는 혼란, 활력, 분노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에 비해 긍정적 기분상태는 높고 부정적 기분상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언어적 물리적 체벌은 주로 선수와 관계된 선배, 코치‧ 감독, 부모님 등에 의해서 받고, 남자운동선수들은 언어‧물리적 체벌을 받고서도 비교적 긍정적 기분상태를 유지하나 여자 운동선수들은 언어‧ 물리적 체벌을 받으면 대체로 부정적 기분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19.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선수의 경기력에 많은 영향을 주는 지도자의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에 대해 접근하여 개인과 상황별 상호작용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선수들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만족도를 더해 줌으로써 훌륭한 지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아마추어 골프 선수들이 인지하는 지도자의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골프지도방안에 관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인 지역에 소재한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 지도자에게 강습을 받으면서 아마추어 대회에 참가하고 있는 골프 선수 270명에게 지도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마추어 골프 선수의 배경변인인 핸디캡, 강습비용, 지도자의 자격 요인은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골프 지도자의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핸디캡, 강습비용, 지도자의 자격 요인을 공변인으로 적용시켜 분석한 결과, 지도효율성의 기능향상과 지도만족에는 훈련 및 지시행동과 사회적 지지행동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마추어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훈련 및 지시행동과 사회적 지지행동이 강한 지도자를 선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20.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화와 같은 다른 문화콘텐츠의 장르 구분을 수용하면서 애매하고 모호하게 지속되고 있는 게임 장르의 구분에 대한 새로운 시도이다. 게임 그 자체만을 대상으로 장르 구분을 할 경우 먼저 고려하게 되는 것은 게이머의 행위에 기반한 장르구분과 텍스트에 기반한 장르구분이 있을 수 있다. 연구 결과 게이머의 행위에 기반한 장르구분은 행위의 의미의 중복성과 이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기준의 부재에 따라 그 한계를 드러낸다. 이에 반해서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게임 텍스트에 기반한 장르 구분은 3단계를 거쳐서 7개의 유형인 물리적 장애물 게임, 물리-인지적 장애물 게임, 인지적 장애물 게임, 인지-물리적 장애물 게임, 운용 게임, 대전 게임, 순위 게임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각 유형의 게임들은 고유의 관습과 성격을 공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