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 among people in agricultural villages shown in the course of conducting a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and to suggest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olution of the conflict. various theories on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and conflict, and relevant sociopsychological theories were perused to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and 5 actual cases of conflicts in agricultural experience villages were analyzed in the light of the grounded theory which is one of suitable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And comparative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conflicts of different farm villages was done.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of conflict among residents on agricultural experience village, this paper suggests some ways for solution of the conflict.
본 논문에서는 먼저 MMORPG 플레이어의 행동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각 행동 유형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를 MMO의 관점과 RPG의 관점에서 재조명해 보았다. 그리고 MMORPG 게임에서 활용될 수 있는 디자인 요소가 재미라는 플로우 경험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다양한 게임에 관한 연구 결과와 플로우 이론을 바탕으로 MMORPG 게임을 어떻게 디자인해야 할 것인지에 관련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남북 공유하천의 바람직한 관리 비전과 목표를 수립하기 위해서 북한강의 임남댐 사례를 통해 합리적인 관리 전략을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론적으로는, 게임이론의 접근 방법을 통해 남북한 공유하천 문제의 해법을 찾아보았다. 기존의 논의가 주로 남북 간의 비협조적인 상황 하에서의 대응전략을 주요한 관심으로 한 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보상을 연계시킨 협조게임의 접근방법으로 남북 간의 협력의 가능성을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또 남북이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운동참여자의 내기행동의 관계를 Ajzen(1991)의 계획행동 이론을 적용하여 내기태도 및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내기 의도 및 행동으로 이동해 가는지를 변수 간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지역에 산재해 있는 골프장 및 골프연습장 13개소에서 내기골프경험이 있는 참여자로부터 600부의 표본을 표집하였으며, 이중 불충실한 73부를 제외한 527부의 자료가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회수된 자료는 SPSS 12.0과 AMOS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내기태도는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내기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내기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내기의도는 내기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내기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내기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저수분석(low flow analysis)은 수자원공학에서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이며, 특히 저수량 빈도분석(low flow frequency analysis)의 결과는 저수(貯水)용량의 설계, 물 수급계획, 오염원의 배치 및 관개와 생태계의 보존을 위한 수량과 수질의 관리에 중요하게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저수량 빈도분석을 위한 점 빈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빈도분석에 있어서의 불확실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Bayesian 방법을 적용하고 그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chieve a better theoretical comprehension of the 16th century music. The "modal theory" is a problematic term of Renaissance discourse about music. The 16th-century modal theory drew upon and was synthesized with diverse theoretical traditions. The aspects of modal theory that are most directly concerned with a tonal structure are discussions of modes and counterpoint. In this vein, a mode is not only a music-theoretical construct, an inherited category in a fixed set of categories, but also a tonal type in 16th century music that forms a music-analytical construct. Many changes in modal thought resulted in tensions that are reflected in 16th century theoretical writing, musical composition, and editorial practice. A general trend in 16th-century printed collections was from less tonal ordering to more, and the organization of cyclic sets became more and more common according to modal schemes as the century went on. It is important that major composers of the second half of the century adopted the old system of 8 modes. It centers round the compositions and theoretical writings of Gioseffo Zarlino (1517-90), the most famous theorist of the 16th century. Zarlino adopted Glarean`s nomenclature, including the aeolian and ionian modes. Thus, motet, "Ego veni in hortum meum"-which Zarlino had composed a representation of mode 5 in Canticum Canticorum (1540), labeled as ionian in his 1549 motet print, and mode 11 in the 1558 edition of Le istitutioni harmoniche, and mode 1 in the Dimonstrationi harmoniche (1571). This is a fair representation of multi-faceted situation that held away from the 1570s well into the 17th century. A particular 16th century tonal type has evolved into a particular 17th- century and 18th-century tonality.
The pro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 theory on the research of mountain village region in korea of globalization age. The theory of this study is over-depopulation region study,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theory and resident organization, localities and new regional studies The case of over-depopulation region study, which population and land use of mountain village region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re changed by external factors. However, the case of some region is changed by internal factors of community residents. The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theory and have approached by investment policy of authorities of the mountain village region development and resident organization. The development of mountain village region have to described simultaneously both behavior strategy of community residents and investment policy of the authorities. According to localities and new regional studies, which agricultural products of mountain village region is extended to big-scale city by the progress transportation-communication and globalzation So, the research of mountain village region have to explained together intra with inter region. In the future, the research of mountain village region has to described all of case of over-depopulation region study,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theory, localities and new regional studies.
장대레일에 발생되는 축력은 좌굴 혹은 파단 등과 같은 사고의 예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많은 철도 기술자들은 장대레일에 발생되는 축력 산정에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대레일에 발생되는 축력을 추정하기 위한 보-기둥 이론의 적용성을 고찰하였으며 축력을 추정하는 방정식과 모델의 개발 과정을 제안하였다
조직은 어떤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두 사람 이상이 모여 상호작용을 하는 사회체제이다. 한 조직의 리더는 그 조직의 통일을 유지하며 행동의 방향을 제시하여 주는 역할을 하고, 한편으로는 다른 집단의 리더와도 상호작용을 주고받으며 맡은바 임무를 수행해 나간다(김우식, 2002; 박정선, 전예화, 1998). 이와 같은 과정을 리더십이라고 하며, 하나의 조직체가 효율적으로 운영되어 그 조직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느냐 못하느냐 하는 것은 그 조직체의 리더가 어떠한 유형의 리더십을 발휘하느냐에 따라 큰 영향을 받게 된다(김명남, 1999).
가족을 독특한 특성과 요구를 지닌 하나의 사회체제로 보는 가족체제이론에 따르면, 한 가족을 구성하는 개인 각자는 서로 연관되어 모든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즉, 개인의 발달은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가족체계와 환경적 맥락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Linda, 1999). 따라서 가족은 구성원을 하나만 독립적으로 떼어서 생각할 수 없으며, 가족 내의 상호관계와 생태학적 맥락이 고려되어야만 한다(Beckman, Robinson, Rosenberg, & Filer, 1994; Bronfenbrenner, 1979). 그렇다면, 21세기 급변하는 사회와 문화 속에서 개별 가족단위를 하나의 사회체제라 생각할 때 가족 모두를 올바른 방향으로 올바르게 이끌기 위해서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가정을 운영해 나가는 어머니에 대한 리더십 의미는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연구 과제임을 이해할 수 있다(신완선, 2001).
가정이라는 조직에서의 리더십이란 부모의 고유권한이며, 부모는 고유권한으로서 리더십 발휘를 통하여 인적․물적 자원을 재배치한다. 이제 과거의 ‘따라다니며 뒤치다꺼리 해주는 엄마’ 시대는 끝났다(강헌구, 2007). 비전을 제시하고 변화와 도전의 시기를 이끌어가는 새로운 개념의 리더십을 발휘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대안의 한 유형이 변혁적 리더십이다. 이 리더십은 보다 큰 목표를 위하여 리더와 추종자 모두 공동 노력하는 내재적 동기에 관계한다(권인탁, 1994).
이렇듯 부모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는 리더십을 위해 매우 유용한 모델로 수용할 수 있는 변혁적 리더십은 ‘가정 내의 자녀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 하는 모든 문제와 위기를 극복하고 자녀교육의 질적 경쟁력을 높이는데 매우 적합한 리더십의 한 유형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변혁적 리더십을 지향하는 리더는 때로 추종자의 리더적 역량구비, 과업수행 성과의 향상, 조직변화의 주도 등에 관심을 두고 조직을 운영한다(정영숙, 2005).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제 부모교육도 바뀌어야 한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부모의 협조와 지원을 유아교육에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과거의 교육 및 수동적 훈련의 대상인 부모가 자녀의 삶 속에서 리더가 될 수 있고 가정, 학교, 지역사회, 더 나아가 사회에서 주창자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부모리더십, 즉 변혁적 부모 리더십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는 일은 유아교육 발전을 위하여 매우 의의 있는 일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유아기 부모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앞으로 유아기 부모의 변혁적 리더십을 함양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HCI 이론을 적용하여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개발한다. 사람들이 편리하고 즐겁게 사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원리나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인 HCI 이론은 다양한 영역의 프로그램 개발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그리고 학습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데도 널리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HCI 이론을 적용한 게임형 코스웨어 평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게임형 코스웨어 평가 연구에서도 HCI 이론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HCI의 구성요소인 유용성(Usefulness), 사용성(Usability), 감성(Affect)의 관점에서 평가 준거를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준거는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온라인 게임 산업의 급격한 성장은 새로운 규제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아이템 거래에 대한 규제 여부의 문제이다. 그런데 온라인 게임 아이템 거래 규제는 규제의 일환으로서 규제적 접근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논리는 법 이론적 근거와 현실적 이유를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규제 이론적인 접근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 아이템 거래 규제 논의에 대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독과점성, 외부성, 공공재성, 불확실성의 시장실패 여부 측면에서 아이템 거래 규제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아이템거래는 시장의 독과점적 구조와 연관성이 없고 소비자 후생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이템은 완전한 경합성과 배제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게임산업 발전이라는 외부경제가 존재하였다. 아이템거래는 사이버범죄의 외부불경제와 연관이 있었으나, 이러한 부작용은 아이템거래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게임 회사가 아이템 거래를 적극적으로 금지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였다. 따라서 시장실패의 틀에서 볼 때, 아이템 거래를 금지하지 않고 오히려 양성화하는 것이 현재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al study for making intelligent robots with human-like mind. For the development of a cognitive mental model, we developed three algorithms based on the cognitive process for human psychoanalysis. Specifically, the concept of id, ego and superego from the theory of Sigmund Freud was adopted and the procedural algorithm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음성군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병설유치원 2학급의 만 5세 유아 28명으로 실험집단 15명(남: 9명, 여: 6명), 통제집단 13명(남: 7명, 여: 6명)이었다. 연구 대상 유아의 연령 분포는 5년 4개월에서 5년 6개월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년 5개월이었다. 연구 도구는 문제해결력 검사와 과학 관련 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문제해결력 검사는 Tegano, Sawyer와 Moran(1989)의 유아 문제해결력 검사에 기초하여 문은자(2000)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과학 관련 태도 검사는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가 개발한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에 기초하여 채정연(2003)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은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문제의 발견 및 진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과 문제해결에 대한 결론짓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은 유아의 과학 관련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과학관련 태도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식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구조 재료와 시공기술의 발달로 구조물은 높고 길게 설계할 수 있게 되었으나, 그에 따른 진동문제와 사용성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구조물의 과다한 변위는 구조물에 심각한 손상을 발생시켰다. 이러한 구조물의 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의 상태벡터와 제어력만으로 구성된 훈련패턴을 기본으로 하여 인공신경망이론과 확률신경망이론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진동을 능동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구조물의 제어를 위해 LQR 제어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상태벡터와 제어력을 구한 후, 상태벡터를 입력으로 제어력을 출력으로 하는 인공신경망과 확률신경망의 훈련패턴을 구성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Northridge 지진하중을 받는 3층 빌딩구조물을 제어하였고, 제안된 인공신경망과 확률신경망의 제어 결과를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