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족(民族)의 희노애락(喜怒哀樂)과 함께 흘러온 민속주(民俗酒)는 우리의 문화(文化)와 더불어 발전(發展)되어 왔었다. 그러나 일본(日本)의 지배(支配)를 받게된 이후(以後)에는 대부분의 민속주(民俗酒)는 밀주(密酒)로 규정(規定)되어 주조(酒造)가 금지되어 왔으며 해방후(解放後)에도 한국정부(韓國政府)의 양곡정책(糧穀政策)으로 인하여 특히 1961년(年) 이후(以後)에는 쌀을 사용하는 민속주(民俗酒)는 강력(强力)하게 금지(禁止)되었고 민속주(民俗酒)에 관(關)한 문화(文化)는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어 왔었다. 그런데 다행(多幸)히도 1985년(年)에 문공부(文公部)에서 민속주(民俗酒)의 주조(酒造) 기술(技術)을 가진 많은 기능인(機能人)을 문화재보호(文化財保護)의 차원(次元)에서 발굴(發掘)하였고 그 기능(機能)을 보존(保存) 계승(繼承)하도록 노력하였다. 따라서 정부(政府)에서는 1988년(年) 9월(月) 전통(傳統)과 기술(技術)이 인정(認定)되는 24종(種)이 민속주(民俗酒)를 민간인(民間人)에게 주조(酒造)할 수 있도록 예비(豫備) 가능(可能)한 바 있었다. 그 24종(種)의 민속주(民俗酒) 중(中)에서 한산(韓山) 소곡주(素穀酒), 경주(慶州) 법주(法酒), 천(川) 박시주(朴?酒), 안동(安東) 소주(燒酒), 이리 이강주(梨薑酒)에 관(關)하여 그 유래(由來), 특징(特徵), 전승(傳承)의 근원, 제조현황(製造現況) 그리고 전래(傳來)된 일화(逸話) 등을 조사(調査) 수록(收錄)하였다.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have been diversely developed to enhance taste and flavor while preserving them on a long term basis. For those furthur utilization and development, more efforts to commercialize these products focusing to the consumer's needs should be proceded. In that sence, the fermented foods might be classified into the bioproduct (biofood) and the sterilized. The former defines the non-sterilized such as Kimchi, Jeotkal (fermented fishes), and Jang (fermented soybean products) so as to include various kinds of microorganisms, enzymes and the unknown bioproducts, while the latter defines the sterilized such as soysauce and vinegars proper to the commercialization. In this paper, present R & D status has been reviewed laying stress on Kimchi, Jeotkal and Jang and the mixed fermentation system by the microflora was suggested as a Korean style model for the future R & D direction in these fiel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ccess the effects of sensory and physical properties of Beandaeduk on 7 different combination methods (three were combined with mung bean and different proportions of water; four were combined with mung bean and various cereals with constant water), and 3 storage periods (0, 1 and 3 weeks at -18℃). This experiment was consisted of sensory evaluation I (appearance, texture,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II (color, moisture, volume, hardness, elasticity, viscosity and ratio materials, off-flavor and oder) and physical analysis of each sample, and questionaire survey of Beandaeduk. In sensory evaluation I except flavor,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found among different combination methods of sampl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found in sample for storage periods, except appearance. In sensory evaluation II, only moisture and oder of samp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for storage period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samples among different combination methods, except elasicity. Stepwise regression for storage periods in sensory I showed that texture and taste were important factors in overall preference of sample. In the questionaire survey, preference and adding materials of Beandaeduk were different according to province. Half of respondents preferred to get instant Beandaeduk and instant mung bean powder.
본 연구는 국산 전통차 개발에 관한 실험으로써 산수유, 구기자 및 그 혼합물이 생체에 미치는 효능을 구명하고자 이들의 추출물을 미생물(Saccharomyces cerevisiae)과 실험동물(spraque-dawely(male)200g)에 투여하여 생리조사를 실시하였다. 미생물에 있어서는 산수유와 구기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체생육이 증가했으나, 그중 산수유보다 구기자가 더 현저한 증가를 보였고, 특히 그 혼합구에서는 상승효과가 인정되었다. 흰쥐의 경우에는 산수유, 구기자 및 그 추출물이 CCl4로 야기된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했다. GOT, GPT 활성도는 CCl4 중독에 의해서 대조군(S1)이 정상군(S0)에 비해 현저히 증가했으나 구기자군(S3)과 혼합군(S4)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p〈0.01). 그 혈액중의 creatinine, BUN, glucose 함량은 시험구 모두 정상치에 접근했으나, 그중 구기자군(S3)이 좀 더 안정된 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CCl4의 저해에 대한 흰쥐의 간장보호 효과는 구기자, 그 혼합물, 산수유 순이고 이들 혼합물은 단일사용보다 상승효과가 인정되었다.
It is aimed to survey the housewive'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n the Korean traditional dishes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and the significance of those dishes in the Korean traditional folk ceremon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nd answered by 667 housewives ranging from the the mother of kindergarden children to the mother of seniors in the university. Some of the significant findings and specul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data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bout 90% of subjects have taken the knowledge on cooking the traditional dishes from their mothers and their grandmothers. And they have had many opportunities to known about traditional dishes through the home life education. 2. The kinds of the Korean traditional dishes which are used often at the folk ceremony are Tto k(Korean rice cake), Shikhae (fermented rice fruits punch), Sujong Kwa (persimmon fruits punch), Whachae(flower, fruits punch) etc. 3. About two thirds of the subjects have a little knowledge about Korean traditional special menu for the Korean folk ceremony, however, most of them observe New York's Day, Chusuk (The Korean Tranks giving Day), Dongji (The winter solstice), and Deborum (The 15th of the January on lunar Calender). 4. About 74% of the subjects use Korean traditional foods when they have Korean traditional folk ceremony. But there is a tendency to use nontraditional dishes among young housewives. 5. More than 73% of the housewives agree to the idea that Korean traditional dishes have to be succeeded and developed. 6. Most of the housewives think the Korean traditional folk ceremony is important and they are willing to make Korean traditional foods on the occasions, but they also think the ceremony must be rather simplified.
김호직(1944)의 7첩반상 구성예와 방신영(1957)의 식단 참고예를 근거로 하여 전통표준식단의 영양가를 산출하고 이들을 최근의 영양권장량과 비교 평가하였다. 이들 분석된 전통표준식단의 영양가는 일일 2000-2500kcal의 열량과 80-90g의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었다. 열량 구성비는 탄수화물 73-77%, 단백질 15-18%, 지방 10-12% 범위였으며 총 단백질중의 동물성 단백질 비율은 20-30% 수준이었다. 이들 전통표준식단은 열량 섭취량이 2000kcal를 넘으면 다른 필수영양소(단백질, 무기물, 비타민)도 성인남자의 기준에서 충분한 양이 공급되는 균형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ferences of foreign athletes staying in the Athletic Village for '86 Asian Olympic Games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as served in the restaurant. A survey was conducted to 762 foreign athletes that selected Korean traditional foods in Athletic Village restaurants, from September 16 to 24, 1986. Most people preferred Korean traditional foods for its taste. Yachae Bokkum (Sauted Vegetable), Jonbok Juk (Rice Porridge of Abalone), Kimchi, Usol Chim (Tongue Stew), Dak Juk (Rice Porridge of Chicken) were preferred by most foreign athletes. Chongpo Muk (Mung Bean Starch Jelly), Toran Guk (Taro Soup) were not preferred. They proposed improvement of salty, hot and strong spicy taste in Korean traditional foods.
In the life style of the neolithic age, cooking and sleeping space was in one room dugout without differentiation of spaces, so to say one room system. Ro(a kind of primitive fire place) was used for both cooking and heating. However, in the early part of the Iron Age, the uses of Ro were separated into two major uses of cooking and heating. Especially, L-shaped Kudle(an unique under floor heating structure of Korea) was invented for the new system of heating, extending to Koguryo Period. The life style of Koguryo Dynasty could be seen through the mural paintings of tombs. For these mural paintings contain of cooking space(Kitchen), meat storage, and mill house drawing, we can recognize that houses were specialized many quaters according to their function. Also a kitchen fuel hole for preparing food was built without relation to L-shaped Kudle. But during Koryo Period, Kudle could be set up all over the room, the so-called Ondol(the unique Korean panel heating system) settled down. From this development of heating system, room could be adjacent to kitchen, and kitchen fuel hole and heating fuel hole be onething. This system was developed with variety, extending to Chosun Dynasty.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a kitchen was made close to an Anbang(Woman's living room), and Anbangs Ondol was heated by the warmth of a cooking fireplace. Therefore Handae Puok, outer kitchen was used in summer. As for its storage space, it was seen that there were a pantry near the kitchen and a store house constructed as an independant building. In the latter, it was devided into a firewood storage, a Kimchi storage, and a rice storage, etc. Especially it is a unique feature that 'Handae-Duyju', an outer rice chest which keeps rice, was constructed as an isolated small building.
전통 황색 광물안료 석황이 적용된 채색문화재에서 석황부위의 색상변질이 빈번히 발생된다. 채색문화 재에서 변색되는 원인을 밝히고자 석황과 석황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몇가지 안료를 분말과 채색상태로 제작하여 연구하였다. 석황에 연백, 연단, 주사를 비율에 따라 혼합한 후 아교에 넣어 한지와 견에 채색하였다. 명반으로 발 생할 수 있는 변색을 고려하기 위해서 채색시편에 대해 명반처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편들의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외선시험기로 내광성시험을 3단계, 총 96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시험을 거친 시편에 대하여 색도계를 사 용하여 색변화를 측정하였으며, XRD와 Raman 스펙트로메터로 광물과 구조변이, SEM/EDS로 화학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내광성시험에 따른 순수 석황 분말의 색변화는 적었던 반면, 채색시편에서는 약간 어두워졌다. 견바 탕에 채색한 것의 색변화가 컸으며, 명반이 처리된 시편의 색변화가 컸다. 석황분말에서는 자외선시험 후 orpiment 가 변질된 백색의 arsenolite가 생성되었다. 석황-연백 혼합분말에서는 석황과 연백의 구성광물만이 검출되었고, 변 질물질은 생성되지 않은 반면, 자외선시험 후에는 orpiment와 orpiment의 변질물인 arsenolite, 그리고 연백의 구성 광물이 검출되였다. 두 안료의 분말상태의 혼합에서는 자외선시험에 의해서도 암흑화현상이 발생되지 않았다. 그 러나 혼합분말로 채색된 시편은 자외선시험에 의해 암흑화되었다. 채색시편에서 혼합된 안료와 바탕재에 따라 석 황의 색상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며, 명반처리한 경우는 안한 경우보다 큰 색변화를 보여 명반도 석황의 색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통과 개인의 재능」에서 엘리엇은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촉매에 현 대 시인의 역할을 비유함으로써, 문학 작품은 시인의 개인적인 경험이 나 재능 또는 당대의 정치적이며 경제적이며 사회적인 상황과는 아무런 상관없이 객관적이거나 공평무사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문학관을 제시했다. 이러한 비평관은 「완벽한 비평가」나 「문학 서평에 대한 생각」 에서도 반복되었다. 그의 주장에 따라, 많은 비평가들은 그의 작품을 엘 리엇의 개인적인 경험이나 당대의 정치와 경제 상황과는 상관없는 것으 로 읽어 왔다. 그렇지만 본 논문은 문학 작품을 시인 개인과는 무관한 것으로 읽어야 한다는 생각을 담은 그의 에세이들이 쓰인 기간이 그가 로이즈 은행에서 일했던 기간과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자 한 다. 그는 로이즈 은행에서 일하면서, 영국과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중요 한 경제와 정치의 변동과 사건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서 당대 경제와 정치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정립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이 이해한 정치 경제적인 관점을 자신의 시에 반영했다. 이러한 점에 입각 하여, 본 논문은 「요리용 달걀」과 「황무지」를 당대의 정치와 경제 상황 과 연계하여 다시 읽어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change of Inuit traditional culture. Inuit has their specific culture due to the Arctic’s harsh environment. But recently, because of the climate change and newcomers, traditional culture has changed. Hunting, the base of Inuit’s traditional culture decreased and was getting hard. And shelter and transportation for hunting has been modifi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hunting, food and adoption culture also changed. Inuit is in a situation to consume junk food and processed food instead of fresh food. Those food induce many problems to Inuit including health. And Inuit trade the food, not share. It means the community spirit weakened. Reduction of the importance of IQ (Inuit Qaujimajatuqangit) and the role of the senior also contributes to the weakening of community spirit. Inuit adopt non-Inuit child and adopt the child according to the law. It makes Inuit difficult to adopt child. As a result, climate change and newcomers makes today’s Inuit culture. Therefore, we have to know climate change and newcomer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Arctic and residents.
중국 전통문화의 산물인 태극권은 각 파별의 전통문화가 그 주체에 미치는 영향이 있고 각 태극권이 각 파별의 전통문화에 대한 주도적 참고도 있다. 양씨태극권은 태극권의 한 유파로 중국 무술계에 등장하여 인류가 몸을 튼튼히 만들고 질병을 치료하며 연년익수하고(延年益壽) 품성을 연마하기를 다루는데 탁월한 공헌을 한다. 태극권은 대대로 비밀하게 물려받기부터 공개적으로 폭넓게 가르치고 전 세계에서 유행할 때까지 인류사회의 공통된 재산과 사회문명 진보의 상징으로 된다. 본 논문은 주로 문헌자료 분석 방법을 통해 태극권에 포함되는 중국 전통 문화 사상을 연구하고 양씨 태극권의 기원과 양씨 태극권과 유가, 도가, 중의, 병가와 중화전통 미학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태극권 심층 문화 사상에 대한 인식과 문 화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중국 사람의 가치관, 사고방식, 도덕관, 심미적 가치관 그리고 및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와 역할을 하게 되고자 한다.
영남(岭南) 고전 원림의 건축, 첩산(叠山), 이수(理水)와 식물 배치는 해당 스타일 특징의 4가지 구체적인 표현 형식이다. 본 논문은 중국 청나라 시대에 건설된 영남(岭南) ‘4대명원’(四大名园)을 체계적으 로 연구하였고, 주로 공간 레이아웃, 관상 노선 등의 측면에 대한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영남 (岭南) 전통 정원의 건축, 연못, 산석, 화목(花木) 처리의 특징에 대해 자세히 고찰하였다. 중국 청나라는 영남(岭南) 정원 발전의 전성기이며, 고고학적 발굴에 의해 2천 년 전 남월국(南越国) 의 궁궐 유적에서 ‘어화원’(御花园)을 발견되었다. 서기 1995-1997년 사이에 발견된 서한 남월국(南越 国) 궁서(宫署) 어원(御苑) 유적은 현재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궁중 화원이다. 역사 자료의 기록 에 따르면 남한 시대(南汉时代) 광저우에 ‘선호’(仙湖) 어화원(御花园)이 존재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는 일부 유적의 흔적만이 남아 있다. 현재 광저우 남방희원(南方戏院)은 바로 ‘선호’(南方戏院)의 주요 경관인 약주(药州) 구요원(九曜园) 수석경(水石景)의 유적으로 천 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처럼 오랜 시간을 통해 영남(岭南)의 정원은 지속해서 발견되어 중국 원림 건축 예술의 3대 체계에서 중요한 일부를 형성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소중한 건축 유산으로 전해지고 있다. 다만, 영남(岭南) 정원에 대한 청나라 이전 문헌의 기록과 전해지는 실물은 매우 적으며, 현존하는 실물은 모두 청나라 중기 혹은 청나라 말기에 건축된 것으로 비교적 유명한 4개의 정원으로 순덕청휘원 (顺德清晖园), 번옹여음산방(番禺余荫山房), 동완가원(东莞可园)과 불산(佛山)에 위치한 양원군성초당(梁 园群星草堂) 등이 있다.
중국 전통 민가는 인간의 지혜의 결정체이며, 인류 문화의 살아있는 화석으로, 그 중에서도 전통 민가는 오랜 세월 자연환경과의 융접을 통해 풍부하고 질박한 생태건축 사상을 담아 현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귀중한 경험을 많이 쌓았다.그 속에는 생태와 에너지 절약의 이념이 담겨 있다. 기남지역전통민가는자연환경,기후조건,생산방식,생활방식등의영향으로 입지, 공간배치, 용재, 조성기예 등에서 독특한 건축양식을 형성하고 있으며, 입지적응, 환경적응, 배치유연성, 에너지절약, 친환경 등의 전형적인 생태 이념을 보여주고 있다. 이 이념은 기남전통민가의 발전과 지속에 도움이 되며, 전통민가를 녹색생태건축으로 유도한다. 기남전통민가건축의 특색 및 생태이념에 관한 연구는, 현대 신농촌과 도시화 건설에서 새로운 민가의 발전과 조성에 중요한 귀감이 된다.본논문은기남섭현경락진(冀南涉縣更樂鎮大窪村)) 의 대와(大窪) 전통 정원을 예로 들며 영조 사상 및 건조 기예의 생태적 특징을 발굴하였다.전통민가건 축에 대한 생태이념의 전승 및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시대적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문화의 변화로 인하여 점점 쇠퇴해져가는 고창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고자 고창의 지역고유의 자원(관광, 문화, 예술, 특산품)을 연계한 전통시장의 차별화된 스토리텔링 개발하여 문화관광형시장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무형 및 유형의 지역문화자원 콘텐츠를 접목한 전략적 스토리텔링 발굴을 통해 문화·관광·소비가 공존하는 테마형 문화 복합전통시장을 조성하여 고창지역을 찾는 관광객을 유인하고 지역인의 참여를 도모하여 지역문화·경제 중심지로의 위상을 확립하고자 한다. 고창전통시장의 문화관광형시장사업을 위한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여 향후 공간설계, ICT융합, 홍보, 이벤트 등의 사업진행에 있어 시장 활성화의 축으로 활용함으로서 각 사업의 연계적 추진 및 일원화된 브랜드가치를 구축 하고자 하며 고창전통시장의 차별화된 스토리텔링을 제시하여 대외적으로는 고창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대내적으로는 문화·예술·경제·편의시설 등의 구축 및 활성화를 통해 고창 지역민들의 애향심과 유대감 형성을 도모한다. 고창지역의 지속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 제안하고 지역민의 참여를 통한 지역문화 허브로서의 교육 및 홍보프로그램 및 관광객 유입 및 참여를 위한 문화·예술·기행의 융·복합형 프로그램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