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1

        8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1930년대 경성의 조선인과 일본인의 주거지와 공업활동을 분석한다. 1930년대는 한반도의 공업화가 집중적으로 진행되는 시기로 경성은 당시 공업화의 핵심공간이었다. 이 연구는 경성공업의 공간적 분포를 조선인과 일본인의 두 민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특히 기존의 근대 한국의 인문·사회적 공간현상에 대한 연구가 정성적 접근에 제한된 바, 이 연구에서는 근대 데이터를 정량화하여 공간통계적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경성은 민족에 따른 주거지 분화가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주거지 분화는 주요 민족 별 공업 분포에도 반영되었다. 하지만 공업의 공간적 분포는 민족 별 주거지 분화 뿐만 아니라 지가 등 다른 많은 요소들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근대 역사 자료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한 것으로 학문적인 의미가 있다.
        4,000원
        8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형산강유역의 문화적 양상과 특징을 해석하기 위해 토기와 주거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주거지에서 출토된 토기의 구연부에 시문된 문양분류와, AMS연대측정치를 통한 상대편년과 시간적 단계를 설정하고, 주거지의 형식분류를 통해 입지와 지구(地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양상을 통해 각 시기별ㆍ지역적 변화양상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세ㆍ장방형→방형, 규모는 대ㆍ중형→소형으로의 변화가 확인되며 각 시기별 변화와 시기별로 선호되는 주거지 특정형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기별로는 조기ㆍ전기 전반은 돌대문토기, 석상위석식노지를 설치한 방형의 대형주거지(Ⅰ3식)가 평지 형 입지에 조성되는 특징을 보였다. 전기 후반은 이중구연계 복합문, 구순각목문과 공렬문이 시문된 토기 가 공존하는 단계로, 수혈식노지에 장방형의 중형 주거지(Ⅱ3식)가 주로 나타나며 세장방형 주거지도 함께 조성된다. 형산강유역 내 상류지역과 대천유역을 중심으로 산지형입지를 선호함을 확인하였다. 중기 전반은 홑구연의 흔암리식 토기가 중심이 되며, 수혈식노지를 갖춘 장방형의 소형 주거지(Ⅱ1식)가 주로 나타난다. 입지에서 전기와 큰 차이점은 없으나 평지형입지(가1, 가2)에 유적이 조성되는 비율이 다소 높아진다. 중기 후반은 검단리식 토기가 중심이 되며, 수혈식노지를 갖춘 방형의 소형 주거지(Ⅰ1식)가 급증한다. 주거지는 전기~중기 전반에 비해 평지형 입지에서 대규모 취락이 조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주거지 의 형태 및 내부구조는 흔암리식의 전통을 유지하며, 단일 주거의 규모는 소형화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형산강유역의 문화변동양상은 전기 중서부지역과 동해안지역에서의 영향을 받는 등 관련성을 가진다. 중기 이후 한반도 남부지역에 송국리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이들 문화와 대응하며, 전통성을 유지한 발전을 이룬 검단리 유형이 확산이 확인되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8,700원
        8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ago Galić (1907-1992) has been acknowledged as one of most important modern Croatia architects of the 20th century and noted for his controversial apartment buildings at 35-35a and 43-43a blocks on Vukovar Street in Zagreb, Croatia. Although the two housings were highly regarded as the best examples of the post-war housing design in Croatia, a plagiarism controversy arose due to its similar exterior looks to Le Corbusier’s Unité d'Habitation in Marseille in 1952. This research intends to comparatively analyze architectural features implemented on the works of apartment of Drago Galić and Le Corbusier's Unité d'Habitation. The analysis focuses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categorized in three parts: unit plan, community space, and unit combinations. The site survey was carried out to yield more useful information for the analysis. During this process, written and photographic documentations are collected for the further interpretation. In addition, scale drawings are reconstructed for the in-depth analysis of the project.
        4,600원
        8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dor arising from the Cheong-ju industrial complex area for odor materials confirmation, and to predict the impact of the odor in the residential area using the CALPUFF Model. Among the odor causing substances in the area with a rising number of collective complaints due to odor, methyl sulfide,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n-buthylaldehyde, n-valeraldehyde and styrene were detected. Odor causing substances detected in the area surrounding the industrial complex include ammonia, hydrogen sulfide, n-buthylaldehyde, toluene, xylene, benzene and styrene. Using the CALPUFF Model, it was predicted that 1hr average was 3.981~7.553 OU/m3 and 24hr average was 1.753~2.359 OU/m3. In terms of odor intensity, the predicted 1hr average was 0.6~0.9 and the 24hr average was 0.2~0.4.
        4,000원
        8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earches on the pit dwellings in the Joseon Dynasty era have been constantly conducted in the archeology fiel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s. Most of the related researches in the past have been on the classification and chronological record of dwelling types in archeology, but architectural researches on the dwelling history that is connected from the prehistoric age to the Joseon Dynasty era are insufficient.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between the excavated pit dwellings of the Joseon Dynasty era and those of the prehistoric age, so pit dwellings were considered to have been used as dwellings for common people until the Joseon dynasty era. This fact is confirmed by the frequency and density of pit dwellings. In this research, what space composition of the pit dwellings that are equipped with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is shown according to the plan types was examined and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process from pit dwellings to Folk houses were analyzed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Folk houses of the Joseon Dynasty era were examined. The Folk house form did not start with the form of the house on the ground but originate from the introduction of Ondol,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to pit dwellings. As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is used, the room and kitchen space are composed in the pit dwelling, and the kitchen is expanded to the one that separates the fireplace for cooking to avoid heating that is unnecessary for the summer season. As the size of the dwelling was getting bigger, the division of the space is made by the pillars that support the interior space. Also, the dwelling is expanded into a single row house and a double row house according to the progress direction of Ondol. In other words, the pit dwellings in the Joseon Dynasty era develops with making up diverse floors through the combination and expansion of Ondol and kitchen according to the dweller’s convenience and life styl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helps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our traditional Folk houses and fills the gap between the pit dwellings,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adequately, and traditional Folk houses in the Korean dwelling history.
        4,600원
        86.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ts residential spaces through the analysis of exterior space and interior space at Wu-lin Village(烏林屯) in Jiao-he, China.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documentation, interview, residents, make a survey of these villages about immigration history, surroundings, topographical keynotes, administration system, residential number, residential style, site composition, etc. The residents moved from Yen-bien and Jiao-he in China etc. The ancestor moved from North of Gyeong-Sang Province in South of Korea, North of Ham-Gyeong Province in North of Korea etc. The main road divides the village into two parts: the north quarter, Wu-lin Village, typified by the Chinese house, and the south quarter, You-Yi Village(友誼村), typified by the Korean-Chinese house. The houses is compose of main building and an accessory building. The main building looking south. The vegetable garden is around main buildings. The main building is compose of an On-dol room(a hot-floored room) and a kitchen, a corridor etc.
        4,000원
        87.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고고학에서 점토대토기문화에 대한 연구는 기원과 편년, 그리고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진행되 어 왔으며, 여기에 사회성격에 대한 논의가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연구경향을 발 전적으로 계승하면서 중국 요령지역에서 남한지역으로 유입된 외래계 점토대토기문화가 재지문화와 어떠한 접촉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지, 그리고 이에 수반하여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주 거문화에 초점을 맞춰서 검토하였다. 먼저, 주거구조에서 볼 때 벽부노뿐만 아니라,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장축노도 외래계 주거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또한 평양 남경 3호 주거의 토기 를 점토대토기로 인정하는 쪽과 비판적으로 보는 입장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주거구조를 검토하여 전 자의 견해가 타당하다는 것을 밝혔다. 점토대토기 출토 유적을 취락의 측면에서 보면, 영동지역에서 는 외래계 주거 및 유물이 주체적인 유적이 주로 확인되고 있는 반면에, 영서지역의 경우는 재지문화 가 중심을 이루는 취락에서 외래문화가 일부 수용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양 지역 모두 재지문화와 외 래문화가 상호작용하면서 상대방의 문화를 받아들였는데, 이는 혼인과 같은 인적교류가 활발히 이루 어진 것과 연동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외래계 취락과 재지계 취락의 교류 과정에서 나 타난 모방(절충)토기의 존재를 주목하였다. 한편 유적마다 타문화 주거지의 구성 비율 및 유물 출토 양상에서 차이가 있는 점에서 볼 때, 집단마다 공동체의 성향에 따라 외부 문화의 수용 양태가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6,900원
        88.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인주거복지시설 종사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한 조직구성원의 조직 몰입과 직무만족에 중요성에 주목하였고, 검증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심리적 임파워먼트은 직무만족에 대해 각각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주거복지시설 종사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아지면 조직몰입 과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심리적 임파원먼트의 의미성은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 한 자기권한에서도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검증결과 제시한 4개의 가설들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무몰입, 심리적 임파워먼트, 그리고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로써 직무몰입과 직무만족 이론적 발전에 기여를 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들 수 있겠다.
        5,400원
        90.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rban-Hanok emerged as a result of urbanization of Hanok in the modern period. In particular, Urban-Hanok has been mass-produced from the early 1920s, when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cities, until the middle. Large-scale development by the professional developer has been developed in large-scale land rather than individual client because housing shortage was serious problem. 11 Gahoe-dong was made in 1935-36 is representative Urban-hanok area of Bukchon. It was formed through division of large-scale Land in 1930’s. In the 1930’s, the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of Urban-Hanok was triggered by the two events. One is Land Investigation Project perform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capitalization of property, another is the pro-japanese bought the large scale-land in Gahoe-dong at bargain price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Each lot has still a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and-dividing quality, the way of development, characteristic quality of urban-tissue. 11 Gahoe-dong, Urban-hanok area was developed two ways. First, development have been adapted to the topography. The lots have reflected topographical conditions such as land cutting area, a retaining wall, land-diving was maintaining the original topography almost. Second, it was street oriented development. The lots have developed sequentially along the street. So, the lots's shape and size is different each. For this reason, this area distribute various type of Hanok.
        4,600원
        91.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주거시설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정신장애인 주거시설 서비스 이용여부에 따른 가족의 보호부담과 가족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 주거시설에 대한 양적 확대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요구된다. 주거시설이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을 감소시키고 정신장애인가족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면 가족과 정신장애인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주거시설이 전국에 고르게 분포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주거시설의 필요성은 주거시설 이용여부와 관계없이 정신장애인 가족에게 높게 인식되고 있으므로 모든 지역의 정신장애인 가족이 주거시설서비스를 받을 권리를 보장하여야 한다. 현재, 주거시설 분포 지역격차가 심한 편이므로 주거시설서비스 제공에 대한 지역적 편차를 줄일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주거시설 서비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주거시설 입소기간 최장 3년이라는 규정사항을 보완하여 정신장애인의 기능과 여건에 맞도록 퇴소기한을 차별화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정신장애인의 욕구와 목표를 개별화하여 생활훈련과 더불어 체계적인 독립준비를 할 수 있도록 단계적인 주거시설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를 제공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주거시설입소비용에 대한 개선과 함께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정신장애인의 독립주택을 지원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의 가족을 위한 가족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주거시설을 회원의 월별 기록 등을 가족에게 보내거나 외박 시 가족과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여 가족이 회원의 재활과 독립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도록 개입을 하여야 할 것이다.
        5,800원
        92.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lo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hanok tissues that were formed in the downtown since 1920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s and lots, the developing process and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Through dividing the large and medium lots of the aristocratic families and on the hilly area near the Seoul City Wall, various shapes of urban hanok tissue were evolved. The urban hanok tissues developed before 1936 locate on the downtown sites, while those developed after 1936 locate on the hilly sites. The location of the tissues were identified in the upper area of Jong-no street. The former is composed of small size lots divided into average area 104.4㎡ with the narrow alleys of about 2.0m width, while the latter is composed of medium size lots divided into average area 131.54㎡ with the alleys of about 4.0m width. Moreover the structures of the tissues were evolved based on the developing period and the site condition. Moreover the structures of the tissues were evolved based on the developing period and the site condition.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defined as the four patterns categorized with the bilateral concepts of alley’s form and of alley’s spacial feature.
        4,900원
        93.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성산성은 남성과 북성 2개의 성으로 이루어진 백제 한성기 토축산성이다. 이성산성에 대한 4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하여 출토된 토기류는 원삼국기~백제 한성기에 해당하는 토기들로 미호천유역 원삼국기 이래의 재지적 요소를 갖고 있는 토기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중심시기는 4세기 대에 해당하고 있다. 이성산성의 축조는 백제가 미호천유역의 정치세력을 병합한 직후인 4세기 중~후엽경에 백제 중앙의 주도하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 시기는 토기양상을 통해 볼 때, 남성(南城)이 북성(北城)보다 다소 이른 4세기 중엽, 그리고 북성이 4세기 후엽경에 축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성산성 토기류에는 재지계 및 한성백제 토기외에 가야(김해)지역, 충남 서해안 및 영산강유역의 토기기종으로 판단되는 외래기종 토기류가 출토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들 외래기종 토기류는 대체로 4세기 후엽의 시기에 집중되고 있는데, 가야와 영산강유역권과의 교류상을 엿볼 수 있는 유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성산성은 백제 한성기 가야(김해) 및 영산강유역으로 연결되는 교류루트상의 중간지역에 위치한 지방 거점성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6,000원
        94.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 of this paper is investigate noise source at metal material product manufacturing plant and create noise map for predict noise. The plant is located close to a residential area, and residents noise exposure damage expected. Through this research 68 points noise sources were measured. And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30 percent of noise sources are measured above 90dB(A). Based on this measurement results were create a noise map, and comparison between the predicted noise and the background noise. The noise maps were calculated by noise prediction software using measurement data, GIS data, ESRI SHP files and actual survey data. As a analysis result, metal material products manufacturing plants are will have an effect by noise on the nearby residential area.
        4,000원
        9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주택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최적의 주택 가격 결정 모형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두 가지 접근 방법으로 서울시 아파트 가격을 분석한다. 첫째, 선형회귀모형, 공간회귀모형, 그리고 다층모형 등 기존의 방법론을 기초로 주택가격 결정요인을 설명하고, 둘째,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다층모형을 새롭게 적용하여 분석 결과를 비교했다. 구체적으로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아파트의 물리적 특성, 해당 지역의 주변환경, 교육환경, 지역속성을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다층모형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기존의 부동산 관련 연구들이 공간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제약을 극복하고 가격 결정 요인 분석 결과를 통해 경제 정책 수립을 위한 주택시장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지리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4,900원
        96.
        2013.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이 독립적으로 쉽고 안전하게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거환경을 수정하고, 노인 스스로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지각수준의 변화를 클라이언트의 특정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에 대한 독립성, 어려움과 안전성에 대해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그 변화 및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고산리에서 실시한 가정환경수정 대상 10가구였다. 연구 기간은 2012년 9월부터 동년 12월까지 3개월간 이었다. 평가도구는 주거 환경 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수준(독립성, 어려움,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Assessment of Home Based Activities를 사용하였다. 평가는 가정환경수정 전과 후 2차례 이루어졌다. 결과 : 독립성에 대한 평과 결과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독립성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반하여(p>0.05), 어려움에 대한 평가 결과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어려움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p<0.01). 또한, 안전성에 대한 평가 결과에서는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안전성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p<0.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가정환경수정이 농촌지역 거주 노인에게 있어 거주지 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 제거와 함께 일상생활활동 증진에 의의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4,000원
        97.
        2013.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enerally, the traffic noise occurring on road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harm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ecause of the noise, residents living near roads have been causing civil complai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valuate road traffic noise during the whole procedures of building an apartment, ranging from design to construction. And if an evaluated noise exceeds regulation standards, some measures to prevent the noise, such as installation of soundproof walls, and other kinds of plans should be prepared. In this point, this work measured road traffic noise in a site of housing land development, investigated its characteristics, and used a simulation program to predict outdoor noise on the basis of the data about traffic effect evaluation, design drawing, and the data about site measurement. Based on the prediction, it also predicted indoor noise. It is judged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n important material to establish soundproof measures on the basis of prediction of traffic noise in building an apartment.
        4,300원
        9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후주거지의 총체적 재생을 위한 주민주체의 마스터플랜 수립에 있어 계획과정, 계획내 , 실행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기존연구의 고찰, 마스터플랜 수립과정별 참여주체, 참여방법,계획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워크샵, 설문조사, 공람·공청회가 병행되었다.노후주거지의 총체적 재생을 위한 주민주체의 마스터플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계획의 수립주체는 주민, 전문가,행정과 함께 중간지원조직으로 MP팀이 함께한다. 계획과정은 전체 주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워크샵을운영하고 주민대표그룹과 행정, MP팀이 협의를 통해 단계별 계획내용을 결정한다. 주요내용은 물리적 재생을 위한 사유공간과 공공공간의 환경개선, 경제적 재생을 위한 일자리 창출방안, 사회적 재생을 위한 주민역량강화, 공동체활성화, 문화·복지환경 개선방안으로 구성되며 계획내용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된다. 실행방법은 적극적인 주민참여를바탕으로 실현가능한 사업에서 출발하며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공모사업에 응모와 제안을 통해 예산확보방안을모색한다.
        4,300원
        9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 has been striv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in various aspects. It will also have to make an effort for its continued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 problems of low-income groups that occur in those processes cannot be simply ignored now. It is needed to provide an equal opportunity to low-income groups so that they can be part of the society. The cycle of economic problem should be disconnected through this process. Farm-Housing is one of the solutions to this problem. Its purposes are not only to provide residence in the complex, but to gain income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nd solve part of the economic problems of the people living in the Farm-Housing. To sell the products of Farm-Housing, the neighboring cities need to be designated as a hinterland. For this reason, Farm-Housing needs to be located in the suburban area of large cities. However, the current laws and policies make it difficult to construct Farm-Housing in suburban areas. Presenting plans to solve such problem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4,000원
        100.
        2013.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scientific data to support policy decision-making for the improved control of nitrogen dioxide(NO₂) and nitrous acid(HONO) in residence. The survey on concentration of NO₂and HONO in 20 houses in Seoul and Daegu was perform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13. Average NO₂concentrations in the kitchen, living room, and room were 25.7 ± 7.7 ppb, 24.3 ± 8.5 ppb, and 19.6 ± 5.6 ppb, respectively. Also, average HONO concentration were 3.6 ± 1.0 ppb, 3.1 ± 0.9 ppb, and 3.1 ± 0.9 ppb, respectively. NO₂and HONO concentration in kitch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in the living room and room(p<0.05). Concentration ratios of HONO/NO2 were ranged to 0.070 0.277 for indoor air and 0.004 0.161 for outdoor air. Indoor HONO/NO2 ratios were higher than the outdoor HONO/NO₂ratios.
        4,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