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1

        222.
        2013.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양 정박지 주변해역의 해수 및 해저 퇴적물의 화학적 환경특성을 파악하기위하여 2012년 7월, 11월 및 2013년 02월에 걸쳐 20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해 정박지 주변해역의 해수 수온은 전 조사기간을 통하여 6.5~29.54°C의 변동 범위를 보였고 pH는 8.0~8.45, 염분은 29.81~34.86 psu 를 보였다. 해수중 용존산소는 5.24~10.68mg/l 를 보였으며..
        4,000원
        223.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영흥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에 위치한 면적 23.46㎢의 섬이다. 영흥면 외 일 일원에 소재한 영흥화력발전소는 2004년 1호기 건설을 시작하여 2009년에 3, 4 호기의 건설이 완료되었으며 2014년에 추가로 5, 6호기의 발전소가 증설될 예정이 다. 본 연구는 영흥도와 인근 지역인 선재도와 대부도의 육상곤충상을 조사하여 발 전소 인근지역의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조사를 수 행하였다. 계절별로 실시한 2차례 조사는 2012년 5월, 7월에 수행하였으며 조사지점은 영 흥도의 6지점, 선재도의 1지점과 대부도의 1지점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육상곤충 류의 조사는 주로 포충망을 이용한 쓸어잡기(Sweeping), 채어잡기(Brandishing), 털어잡기(Beating), Scooping 등의 방법으로 채집하였다. 총 2차례 조사수행결과 동정된 육상곤충 12목 80과 251종을 조사되었으며, 2011년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출현구성종의 미약한 변화와 함께 출현 종수에 있어서는 14종 감소한 것으로 나타 났다. 구성종 대부분은 전국 내륙지방에서 일반적으로 흔히 관찰되는 평지초원성 곤충류가 대부분이었으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 또는 문화재청지정 천연 기념물 등 법적보호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조사된 분류군들의 군집구조를 살펴보 면, 나비목이 67종으로 구성비가 가장 높았고, 그 외 노린재목 37종, 파리목 36종, 딱정벌레목 32종, 벌목 30종, 메뚜기목 22종, 잠자리목 10종이 출현하였으며 기타, 사마귀목, 바퀴목, 집게벌레목, 매미목, 풀잠자리목 등은 소수종만이 출현하였다.
        224.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집중되는 행정기관, 기업, 편의시설 등에 기인한 인구 증 가로 서울은 1㎢당 1만 6천여명의 인구가 밀집하여 살고 있다. 늘어나는 인구수용을 위해 단일면적당 층수가 높은 건물의 건설, 토지피복재료의 변화 등으로 서울도심의 열환 경은 변화해 왔으며 변화된 열환경으로 인해 발생되는 도시 열섬현상, 열대야, 대기순환 정체 등에 서울시민들은 금전 적,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받고 있다. 특히, 더워지는 여름 철 도시기후에 의해 에어콘 사용으로 지속적인 인공열이 방출되고, 그에 따른 온도 상승에 의한 악순환이 발생하였 다. 악화되는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공간 및 공원을 조성해 영향을 상쇄시키고자 하고있다. 이에 본 연구는 면 적 녹지로 인한 주변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범위를 파악 하여, 도심 열환경 균형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향후 도시개발시 녹지의 필요량을 정량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연구대상지인 선정릉은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하며, 유네 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곳으로 토지이용 밀도가 높 은 도시지역에서 냉섬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역이었다. 선 정릉 인근 지역은 유사한 토지이용으로 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적어 면적 녹지에 의한 주변 열환경 조사․분 석의 조건이 양호하였다. 선정릉의 면적은 24.06ha이었으 며, 내부의 현존식생은 잔존산림의 소나무림(27.3%), 잣나 무림(2.6%)과 참나무류림(33.9%), 계곡부 오리나무림 (4.9%), 왕릉을 중심으로 한 잔디식재지(14.0%)와 조경수 목식재지(13.8%), 시설지(1.0%) 등 이었다. 선정릉이 주변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거리를 산정하기 위 하여 기존 논문을 고찰한 결과, 면적이 18.53ha인 공원이 최대 370m의 주변 기온 완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반영하여, 면적이 24.06ha인 선정릉의 영향범위를 최대 500m에 이를 것으로 가설설정을 하였다. 측정기간은 3∼7 월간 매월 하순 중 날씨가 맑은 날에 실시하였고, 측정시간 은 12:00∼22:00까지 1시간씩 구분하여 5회 측정하였다. 측정지점은 선정릉을 중심으로 4개의 방향을 나누었으며, 각 방향은 선정릉과 연접한 지역에서부터 50m마다 휴대용 열선식 온도 측정기(TES-1341)를 사용하여 8∼10곳(0∼ 500m)의 기온을 측정하였다. 각 지역별 기온 측정시 대조 구로서 노선의 진행방향에서 반대방향인 선정릉쪽으로 50m 내부로 들어가 기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조사구 가 지역은 선정릉의 북측으로 총 11개소의 측점 을 선정하여 기온을 측정하였다. 1∼5번 지점은 평지이며, 그 중 3번과 4번 조사구 사이는 봉은사로가 위치하였다. 6∼8번 지점은 평지에 가까운 사면지역으로 특히 8번 지점 은 경사가 높은 사면 아래이었으며, 9∼10번은 경사가 급한 사면에 위치하였다. 조사구 나 지역은 선정릉의 동측으로 총 10개소의 측점이며 모두 평지지형이었고, 조사구 4번과 5번 사이에 삼성로가 위치하였다. 조사구 다 지역은 선정릉 의 남동측 방향으로 총 11개의 측점을 선정하여 기온을 측 정하였다. 1∼4번은 평지이며 3번과 4번 사이는 테헤란로 가 있으며, 5번 지점은 경사가 급한 사면이며, 6번과 7번은 인근 지형에서 가장 높은 지역이었고, 8∼10번은 사면 아래 평지였다. 조사구 라 지역은 총 11개의 측점으로 1∼3번, 5∼7번 지점은 사면이며, 4번 지점은 인근 지형에서 최고점 이었으며, 8∼10번 지점은 평지지형이었다. 조사구는 선정릉의 내부 열환경 변화와 주변 열환경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계곡부 4개소, 사면부 6개소, 능선부 7 개소로 구분하였으며, 계곡부에 AWS(Automatic Whether System)를 설치하여 선정릉 내부의 미기상(기온, 습도, 풍 향, 풍속)을 측정하였다.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정릉으로부터의 거리 와 기온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매월 조사지역별 측정 자 료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6월 라 지역에서 0.05 수준의 양의 상관관계가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6월 다 지역과, 7월 가, 나, 라 지역이 0.01 수준의 양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그 외 지역은 거리에 따른 기온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통 계적 수치를 얻어내지 못 하였지만, 각각의 거리에 따른 기 온변화 그래프를 비교한 결과, 각 조사지역의 영향범위를 추정할 수 있었다. 가 지역은 최대 350m까지 영향을 미쳤으 며, 평균 250m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나 지역은 최대 250m, 평균 200m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 지역은 최대 400m, 평균 250m로 가장 영향권이 넓었다. 라 지역은 최대 350m, 평균 250m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선정릉 내부지역의 지형별 기온분포를 살펴본 결과, 2가 지의 유의미한 결과가 분석되었다. 계곡부의 기온 측정이 경사가 낮은 지역으로 갈수록 기온이 더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능선-사면-계곡-사면-능선 지점의 측정 기온은 해가 떠 있을 시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일몰 후인 20시경의 측정 기온을 살펴보면, 凹형의 기온분포를 보여 주고 있어, 찬공기 생성시 사면방향을 기준으로 찬공기가 내려와 도심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추정하였다. 선정릉 내 부측정을 토대로 다 지역의 기온저감 효과가 가장 멀리까지 영향이 있었던 것은 내부에서 생성된 찬공기가 지형을 타고 다 지역으로 이동한 것에 기인한다고 분석하였다. 도시지역에서 면적 24.06ha의 면적녹지의 온도저감 효과 는 평균 200∼250m이며, 평지지형의 녹지보다는 산림지형 에서 찬공기가 생성되고 사면방향으로 내려와 도심으로 유입되기 용이하였다. 이를 통해 녹지지역과 인접한 도시지 역에 층고가 높은 건물의 조성을 지양하는 것이 도시 열환 경 문제완화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하였다.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 열환경의 균형을 위해서는 녹지를 통한 완화에 앞서 현재 발생하는 열에너지의 원천적인 감소 를 지향하여야 하며, 찬공기를 생성하는 면적 24.06ha 면적 녹지의 배치는 200∼250m거리를 유지하며 조성하고, 지형 의 높낮이를 형성하고 있는 도시내부의 잔존산림과 같은 면적녹지는 보전하는 것이 인근 도시지역의 온도 저감과 에너지사용량 감소를 통해 도시민의 쾌적성 향상과 경제적 인 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22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서귀포시 문섬 (새끼섬)에서 2009년 4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총 5차례에 걸쳐 어류를 수중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스킨스쿠버에 의해 뜰채와 소형그물을 이용하여 채집하였고, 채집이 불가능한 어류는 수중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 확인된 어류는 모두 11목 39과 73속 91종이었다. 이 가운데 농어목 어류가 54종으로 전체 출현 종 수의 59%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쏨벵이목 어류가 19종으로 20.8%이었다. 이 가운데 망둑어과의 Amblyeleotris속 어류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확인된 어종이다. 유영어류와 저서어류의 비율은 45 : 55로 저서어류가 많았고, 저서어류는 유영어류에 비해 단독으로 생활하는 어류의 비율이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어류보다 훨씬 높았다.
        4,000원
        226.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ntal implants were used for reconstruction of oromaxillofacial defects and they were widely used in dental and medical fields. The implant materials are various , including titanium and ceramics such as zirconium. The property of implant materials have biocompati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Titanium has direct bone anchorage without any other tissues between implant's interface. many researcher's had studied for raising the osseointegration success rate through various method. It was reported over 95% success ratio. many researcher's study the enhancing the speed of bone remodelling and osseointegration. Low Level Laser Therapy is one of the method to accelerlate the speed of bone remodelling and osseointegration. Thus it raise initial st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ode laser irradiation for ossoeintegration in implant interface and between the implants threads. 24 New Zealand white rabbits which were about 3Kg, used for experiment. 2 implant's were implanted every rabbit's tibia. 2 weeks, 4 weeks, 8 weeks after implantation, tissue sample were removed from sacrificed rabbit's tibia. 8 rabbit's were sacrificed every 2, 4, 8 weeks and undecalcified sample were got from tissue sample. The undecalcified samples were investigated by optical microscope. 2 weeks, 4 weeks, 8 weeks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irradiated low level laser therapy showed rapid bone remodelling than control groups. it showed many difference especially in initial stage. Low level laser irradiation increase the volume of new bone formation in implant interface .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ere many influence in bone remodelling in early stage, because these were many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Low level laser irradiation were helpful for immediate loading implant
        4,000원
        22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진안군의 산림과 마을숲 주변 경관의 서식지 변화 과정을 경관지수와 서식지 형태 분석으로 밝히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FRAGSTATS과 GUIDOS 서식지 분석 프로그램에서 1989년과 2006년의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진안군 산림과 34개 대표적인 마을숲 주변 경관의 서식지 구성과 짜임을 분석하였다. 진안군 핵심과 통로 서식지의 면적, 서식지 연결성은 1989년보다 2006년에 낮았다. 또한, 마을숲 주변 서식지의 파편화 정도와 서식지의 구조적, 기능적 연결성은 1989년보다 2006년에 낮았다. 서식지 파편화를 감소시키고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마을숲과 주변 생태통로를 보전하면서 새로운 생태통로를 조성해주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경관지수와 서식지 형태 분석은 급격하게 변하는 경관에서 서식지 기능과 짜임을 분석하는 데 효과적인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4,200원
        22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도 소재 동해항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환경비용편익을 산출하는 것이다. 항구 인근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는 매우 높은 편이며, 지점에 따라 국가 기준인 100μg/m3 이상으로 관측되는 곳도 있다. 시험대상 항구는 주로 석회석과 석탄을 취급함으로써 미세입자상 물질이 하역시 다량 발생한다. 연구결과 PM10을 기준으로 년간 12톤의 미세먼지가 하역작업 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덧붙여서 원료물질을 비롯한 다양한 화물을 운송하는 대형차량 및 중장비는 디젤 검댕이를 발생하고, 도로먼지의 비산을 유발한다. 지방정부는 해마다 20억원 이상의 비용을 투자하여 대기중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있다. 편익대비 비용을 산출한 결과 그 효과는 최소 240%에서 최대 720%까지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2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어류군집을 이용하여 회야강 수계와 인근 하천의 건강도를 분석하고 해당하천을 효과적으로 관리 하기 위하여 29지점에 대한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2007 년 실시된 조사에서 총 12과 33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전체 조사지점에서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RA: 24.8%), 아우점종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RA: 16.2%)로 나타났다. 또한 8종의 한국고유종과 4 종의 외래종, 그리고 타 수계로부터 도입된 2종의 이입종 (끄리,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치리, Hemiculter eigenmanni)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하천별 건강성 평가를 위해 어류군집을 이용하여 생물보전지수 (IBI)를 구한 결과 2지점이 B 등급인 것을 제외한 대부분 C~D 등급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점 인근의 토지이용이 하천 의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물보전지수 와 토지이용과의 Pearson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한 결 과 개발지가 증가할수록 생물보전지수가 감소하였다 (r=-0.425, p=0.022). 반대로 생물보전지수와 숲과 초지 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r=0.556, p=0.002), 경작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r=-0.231, p= 0.333).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회야강 수계 및 인근하천 의 어류군집구조, 하천의 건강도, 인근 토지이용과의 상 관관계는 유역 토지의 개발로 인한 인근 하천의 영향 예 측 및 해당하천의 관리 및 복원사업에 있어 유용하게 이 용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23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spersion of air pollution in complex situations such as the cases of the filled road is a significant problem for the public safety and living quality. Application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helps to build the model calculation in order to estimate the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In order to assess its accuracy, this study used the Realizable k-ε model, the RNG k-ε model, and the Shear-Stress Transport k-ω turbulence model in FLUENT CFD code.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wind tunnel experiments. The Realizable k-ε turbulence model provided the best prediction for the surface concentration and concentration profiles of selected downwind positions of the filled road. It was found that a noise barrier, which positioned on the filled road, increases the vertical air pollution impact distance larger 1.75~1.92 times and decrease the horizontal impact distance lower 0.46~0.54 times than those of no barrier case. It was also found that two or three noise barriers increase 1.63~1.79 times the vertical air pollution impact distance. It contributes the decrease of horizontal air pollution impact distance 0.49~0.63 times compare with no barrier case.
        4,000원
        23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는 안개를 채취하여 화학적 조성을 분석하고 금후 산성안개의 대책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안개수의 pH는 2010년도가 4.3이었고, 2011년은 4.0으로서 강한 산성이었고, 전기전도도는 평균 477.2와 562.7 ㎲이었다. 안개수의 음이온 중 봄철과 여름철 NO3- 농도가 각각 267.1, 279.1 mg/L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O42- 농도가 각각 177.2, 198.6 mg/L이었다. 가을과 겨울철 NO3- 농도가 각각 217.7, 237.9 mg/L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O42-농도가 각각 164.2, 190.1 mg/L이었다(p<0.05). 양이온은 봄철과 여름철 Ca2+농도가 각각 221.3, 233.7 mg/L로서 가장 높았고, Na+ 농도가 각각 125.1, 131.7 mg/L이었다. 가을과 겨울철에 Ca2+농도가 각각 196.8, 198.8 mg/L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Na+ 농도가 각각 97.1, 117.2 mg/L이었다(p<0.05). 산성안개를 일으키는 안개수의 pH와 EC(r=-0.9861**), NO3-(r=-0.9677**), SO42- (r=-0.9510**), Ca2+는 1% 수준에서 상관이 있었다. 산성안개수의 생성에 영향을 하는 인자의 회귀 방정식을 나타내면 Y(pH)= 6.4627 + 0.9723X2(EC) + 0.9364X4(NO3-) + 0.9044X5(SO42- )+ 0.8049X10(Ca2+) + 0.6709X8(K+) (r2=0.8787)로 추정되었다.
        4,000원
        23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대한민국 주변도의 제작에 가장 적절한 투영법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과제를 설정한다. 첫째, 기제작된 지도와 투영법 선정의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몇 개의 후보 투영법을 선정한다. 둘째, 왜곡도 분석 기법에 대한 상세한 리뷰를 통해 투영 왜곡 분석을 위한 기본 방향을 설정한다. 셋째, GIS-기반 투영 왜곡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의 투영법을 선정한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람베르트 정형원추도법, 알베르스 정적원추도법, 람베르트 정적방위도법, 그리고 정거방위도법이 일차적인 후보 투영법으로 선정되었다. 둘째, 극소 스케일의 국지적 왜곡도 지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며, 국지적 왜곡도의 값이 실질적으로 산출되어 공간적 분포의 시각화나 통계량 계산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이 인식되었다. 셋째, 투영 왜곡 분석을 위한 플랫폼으로 PDAT(Projection Distortion Analysis Tool)가 선정되었는데, 이것은 국지적 왜곡도 지수에 기반하고 있으며, GIS 상에서 투영 왜곡 분석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PDAT를 통해 투영 왜곡 분석이 실시되었고, 그 결과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 결과 람베르트 정적방위도법이 최종적인 투영법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전도에 대한 적절한 투영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4,900원
        233.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남 바다목장의 해수 유동모델과 저차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저차생태계의 환경요인의 시공간적으로 변화를 파악하였다. 전남 바다목장 주변해역에서 4대 분조(M₂, S₂, K₁, O₁)의 조류, 취송류, 밀도류를 POM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조석잔차류의 분포는 개도 서쪽해역에서 강하게 남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대·소 조기의 흐름은 돌산도 -개도 -금오도 사이에 위치한 섬 주변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3,000원
        235.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주변 대륙붕해역에 분포하는 퇴적물의 기원지를 해석하기 위해 표층퇴적물의 희토류원소(REE), 주성분 및 미량원소, Sr-Nd 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퇴적물의 화학원소에 근거한 변질지수(CIA)는 44.2-68.9(av.59.4)의 범위를 보이며 황하강퇴적물과 유사하였다. 연구지역 퇴적물을 콘드라이트로 표준화한 REE 패턴에서 대부분 LREE가 부화된(La(N)/Sm(N) 〉3) 작은 Eu 부(-) 이상을 가지는 전형적인 셰일의 희토류원소의 패턴을 나타낸다. UCC로 표준화한 REE 패턴에서 연구지역 남서쪽 외해지역의 퇴적물 시료들은 황하나 금강기원 퇴적물보다 양자강퇴적물과 유사한 높은 희토류원소함량과 위로 볼록한 REE 패턴을 보여 양자강기원 부유물질이 제주도 서쪽해역까지 운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87Sr/86Sr 동위원소비와 εNd(0)의 구분지수는 연구지역 퇴적물의 기원지를 밝히는데 지시자로 제시할 수 있었다. 연구지역의 서쪽과 북서쪽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퇴적물은 황하강 퇴적물 주위에 밀집 분포하는 특징을 보이고, 양자강 하구역과 가까운 남서쪽지역의 퇴적물들은 양자강 수중삼각주 퇴적물과 유사성을 보였다. 반면 제주도 북동쪽지역의 퇴적물은 중국의 강기원 퇴적물과는 다른 지역에 위치하는 특징을 보여, 따라서 제주도 주변해역은 복합기원 퇴적물이 집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4,900원
        238.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impact of odors from industrial areas using the FIDOL concept. The studied region was the Seobu industrial complex in Korea. The USEPA dispersion model, AERMOD, was used to calculate odor concentr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size of the impact areas of lower regulation compliance frequency is smaller than that of the areas of higher regulation compliance frequency.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odor unit (OU) decreased the size of the impact area and the maximum impact distance. Calculated odor impact area, using Massachusetts (USA) regulations, had the smallest impact area among selected locations such as Massachusetts (USA), New Zealand, Denmark, and the Netherlands. Denmark’s regulations had the largest impact area.
        4,000원
        23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ise barriers along the road do not only block the traffic noise but also prevent traversing the car exhausts. These barriers may affect air pollution dispersion, leading to increase vertical mixing due to the upwind deflection of air flow caused by the noise barri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ir pollution dispersion around multi-noise barriers using commercial software FLUENT. Investigated cases were 8 cases which had from zero to three noise barriers and two emission sources. Simulated results show noise barriers increase the vertical air pollution impact distance larger 1.7~2.1 times than that of no barrier case. It was also found that noise barriers decrease the horizontal air pollution impact distance lower 0.6~0.8 times than that of no barrier case.
        4,000원
        240.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in the southeastern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6. During the study period, 32 larvae species belonging to 20 famili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Engraulis japonicius, Hexagrammos agrammus, Sillago japonicus, Acropoma japonicum, Apogon lineatus, and Konosirus punctatus. These six species accounted for 87.0%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fluctuated by season. The peak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occurred in July and May, respectively.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monthly variations i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could act as an indicators of seasonal variations in the larval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abundance of the dominant species; in particular, the abundance of S. japonicus, A. japonicum, and A. lineatus were significantly corrected with the water temperatur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