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4

        1001.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북부지방산림청 관내 숲유치원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자연중심의 녹색교육 전문화를 위한 숲유치원 활성화를 위해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초 자료의 제공과 앞으로의 숲유치원 적합모델 개발 방향성을 제시 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방법은 우리나라 국민 1/2 이상의 생활권역인 수도권과 강원 영서지역에 운영 중인 북부지방산림청 관내 7개 기관의 숲유치원 14개 원을 대상으로 숲유치원의 운영현황, 프로그램, 시설물, 참여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거의 모든 유치원이 체험형 숲유치원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모두 사전 협약을 체결하였고 주말 운영을 하였다. 둘째, 감각, 신체, 창의성, 자연지식, 영성・감성, 기타 교육 유형으로 구분하여 숲유치원 대상지의 시설물 및 환경에 맞춰진 지도교안에 따라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가장 많이 조성된 시설물은 식물교육장 및 야외교육 시설이었고 대피소의 구실을 하는 시설물 마련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장 높은 참여도를 보인 곳은 접근성이 양호하고 숲해설 코스가 잘 발달하여 있는 수락산 숲유치원이었고 두번째는 강원 영서지역의 숲체원 숲유치원이었다. 이곳은 휴양 기능을 겸비한 국내 유일의 숲문화 체험 교육전문 시설로 숲 속 골든벨등 독특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1002.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적응 Quality Protein Maize (QPM) 옥수수 교잡종을 육성하려면 효율적인 선발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중인 QPM1 등 4 교잡계 종실의 일반성분, 지방산 조성 및 아미노산 함량을 대비품종인 일반 옥수수 장다옥과 비교 검토하여 QPM 옥수수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QPM 교잡계들의 단백질함량은 10.0〜11.40%로 장다옥의 8.1%보다 모두 많았다. QPM 교잡계들의 지방함량은 3.8〜4.0%이었으며 QPM1을 제외한 QPM 교잡계들은 장다옥과 차이가 없었다. QPM2 교잡계를 제외한 QPM 교잡계들의 회분함량은 장다옥보다 많았다. QPM 교잡계들과 장다옥 모두 linoleic acid의 조성비가 가장 높고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nic acid의 순으로 지방산 조성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QPM 교잡계들의 포화지방산 함량은 17.2〜18.4%로 장다옥과 비슷하였다. QPM 교잡계들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81.6〜82.8%로 장다옥과 비슷하였다. QPM 교잡계들과 장다옥간 필수아미노산 중 isoleucine, valine, threonine, 황을 함유한 methionine, cystine 등의 함량 차이는 없었으나, lysine함량은 QPM 교잡계들이 장다옥(3.84g/100g)보다 4.05〜4.69g/100g로 많았으며 그중 QPM1 교잡계가 4.69g/100g으로 가장 많았다. QPM 교잡계들과 장다옥간 산성아미노산인 MMA(monoamino monocarboxylic acid), DMA(diamino monocarboxylic acid), 방향족 아미노산인 AAA(aromatic amino acid) 등의 함량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육성된 국내 적응 QPM1 교잡계는 옥수수의 경우 필수아미노산 중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lysine 함량이 보통 옥수수보다 개선되어 식용 및 사료용 옥수수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1003.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일의 산화적 안전성을 높이고 저장기간을 늘리기 위하여 수소를 첨가하여 액체 상태의 오일을 고체상태로 만드는 hydrogenation이란 방법을 마가린이나 쇼트닝을 만드는데 사용해 왔으나 이 과정중에 trans fat 이 생성되는 단점이 있다. 콩의 기름은 약 10% palmitic acid, 4% stearic acid, 17% oleic acid, 55% linoleic acid 와10% linolenic acid으로 구성된다. hydrogenation과정을 회피하여 콩 기름을 마가린 제조에 사용하기 위하여 mangosteen의 steroyl-ACP-thioesterase를 과발현 시킴과 동시에 콩의 palmitoyl-ACP thioesterase 와 delta 12 desaturase의 발현을 억제 함으로서 약 10-20%의 stearic acid 와 70-80%의 oleic acid를 갖는 콩을 생산 했으며. 이러한 지방산 조성은 또한 기후가 온난한 지역에서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사용되어 질수 있다. 어류의 소비는 급속히 증가 되고 있는 반면 재고량은 계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양식이 어류의 공급을 증대시킬 대체수단으로 여겨져 왔으나 야생 잡어를 양식 어류의 사료로 사용함으로써 먹이사슬 하부에 존재하는 어류의 감소를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야생 어류의 재고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양식사료를 대체할 새로운 사료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우리는 콩을 이용하여 기존의 양식사료를 대체하려는 연구를 수행중에 있다. 콩이 양식어류의 사료로 사용되기 위한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는 콩의 지방산 조성 및 함량으로 어류에 존재하는 지방산과 비슷한 조성 및 함량을 갖아야한다. 4개의 long chain omega 3 fatty acid 합성 관련 유전자와 3개의 astaxanthin 합성 관련 유전자를 집적함으로서 DHA (Docosahexaenoic acid)의 전구물질인 EPA (Eicosapentaenoic acid)를 5% 함유하며 연어의 양식에 사용되는 carotenoid의 일종인 astaxanthin을 종자 1g당 25ug 수준으로 생산하는 콩을 개발 했으며 이는 기존의 어류양식에 사용되는 사료를 대체하는데 사용되어 질수있다.
        1004.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on fatty acid profile of egg in laying hens during 9 weeks. Two hundred hens, 70-wk-old, Hy-line Brown, were used in this study and fed basal diets. 100 hens, randomly collected from facility, were transferred to cage rearing system and 100 remaining hens were moved to backyard raising system. For overall period, higher unsaturated fatty acid percentages in two different rearing systems than did saturated fatty acid (SFA) were observed. In 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s, both rearing system showed a higher mono unsaturated fatty acid (MUFA) contents than poly unsaturated fatty acid (PUFA) contents. Egg quality traits of laying hens reared in backyard system had considerably lower contents of SFA and higher contents of MUFA compared with eggs from cage rearing system (P<0.05). In addition, eggs from cage rearing system resulted in a significantly lower n-3 contents and higher n-6:n-3 ratios and CLA contents in comparison with backyard raising system (P<0.05).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s of two different rearing systems on PUFA, PUFA:SFA ratio, and n-6 contents were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egg production as functional foods.
        1008.
        2013.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inal epidural lipomatosis (SEL) is a rare condition of adipose tissue accumulation in the epidural space. A total of 2,309 subjects from March 2011 to April 2012 were studied. We found different morphologic “variants” of dural sac compression in grade III. The trifid type, resembling the letter “Y", was the most common form. The round type and the localized mass in lateral recess were seen in other cases. Surgical decompression was performed regardless of morphologic variants in SEL grade III with neurologic symptoms. All patients recovered from neurologic symptoms. In subjects who received adequate conservative treatment, decompressive surgery could be helpful in treatment of SEL grade III with neurologic symptoms.
        1009.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t medium dose levels on commercial starches (corn starch/CS, sweet potatostarch/SS, and potato starch/P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its color and lipid oxidation. The CS, SS, and PS samples were irradiated at 0, 1.5, 3, 4.5 and 6 kGy by a Co-60 gamma irradiator and used for measuring Hunter's colors and TBA value. Irradiation doses applied did not cause apparent changes in Hunter color parameters between the control and irradiated groups. But, the decrease in lightness (L value) for CS and the increase in both redness (a value) for SS and yellowness (b value) for PS were observed, respectively, thereby resulting in slight increase in overall color difference (ΔE) upon irradiation. Browning intensity observed with the naked eye for gelatinized starches by irradiation doses was also gradually increased along with irradiation dose, which was more remarkable in SS. The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s of samples showed a dose-dependant increase with ≥ 0.9964 of R2 (p<0.05).
        101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해지방해양경찰청 본청과 소속 5개 해양경찰서(부산해양경찰서, 통영해양경찰서, 여수해양경찰서, 제주해양경찰서, 서귀포해양경찰서)에 근무하고 있는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적정 인력배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경찰서별 및 근무부서별 합리적인 인력배분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남해청 소속 근무자들은 조직진단의 필요성에 대하여 56.7%가 찬성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향후 해양경찰서별 인력 재배치를 해야 한다면 업무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부산해양경찰서, 통영해양경찰서, 제주해양경찰서 등의 순으로 인력을 배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부서별 인력 재배치를 해야 한다면 업무량이 증가하고 있는 해상안전과, 경비과, 수사과 등의 순으로 인력 재배치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11.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파종시기 및 생육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생육반응, 수량성 및 isoflavone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밭작물의 안정생산을 위한 재배기술개발에 활용하고자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월파종구는 6월파종구에 비해 콩 식물체의 생육이 왕성하고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개화후 약 40일까지 비교적 높은 상태가 유지되지만, 6월파종구는 개화 후 등숙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개화후 30일부터 급격히 감소되었다. 2. 6월 파종구는 5월 파종구에 비해 100립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고, 생육온도가 높으면 100립중이 증대되었으나 control + 5℃ 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어 파종시기 및 생육온도별 등숙 반응이 달랐다. 3. Isoflavone 함량은 5월파종구의 평균이 1201.8ug/g 이었으나 6월파종구는 1479.8ug/g 으로 5월파종구 대비 약 278ug/g 함량이 높았다. 생육온도에 따라서는 5월파종구 Mc + 3℃ 및 Mc + 4℃ 처리구는 isoflavone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Mc + 5℃ 의 isoflavone 함량은 오히려 낮았고, 6월파종구는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isoflavone 함량이 감소하여 파종시기별 온도처리 효과가 달랐다. 4.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oleic acid의 조성이 증가되고 linoleic 및 linolenic acid가 감소되었으나 palmitic 및 stearic acid의 조성도 생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5. 주경절수는 isoflavone 함량 및 불포화지방산 조성에 모두 관여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주경절수와 isoflavone 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 부의 상관관계(r = -0.661)가 있었고, 불포화지방산과는 정의 상관관계(r = 0.775)를 보여 주경절수가 증가되면 isoflavone 함량이 낮아지고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율의 증가에 관여하는 형질로 판단되었다.
        101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2011 to 2012 in order to analyze the cultivation technology system by six organic rice cultivation types in the southern provinces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organic rice farming guidelines. This surveys were conducted by site visit on 8 counties and 115 farms in southern area. Cultivation technology system by six organic rice cultivation types were cultivated by the principle of minimum input or non-input. cropping systems, a mixture of barley and rice, or rice green manure crops were grown. Cultivars were mixture of the local cultivars and Japanese varieties. Soil were managed by a self-manufactured compost, indigenous microorganisms and barley straw without any fertilization. Pest control was mainly practied by purchased eco-friendly organic materials or herbal medication residue and indigenous microbial self-manufactured. Weed was controled by snails and barley straw.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estore of a longtail pitching shrimp and grasshoppers, the function of environmental ecology of six organic rice cultivation type proved to be excellent all. Meanwhile, the productivity of the organic farming per 10a were the order of Life and environment > Natural circulation > Stevia > Ji jang > Art and nature > Taepyoung of Farming Methods, but the farmers received prices showed the opposite tendency. Simple profitability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But, the productivity of all type of the organic farming were lower then the conventional farming. Finally, If we want to conduct safety and easy farming, we can suggest stevia farming, Natural circulation farming and life and environmental farming out of 6 organic rice cultivation types.
        1013.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요 구성지방산이 Oleic acid인 유채유, 동백유, 올리브유와 Palmitic acid가 주요 구성 지방산인 팜유를 기준으로 중량비로 혼합하여 지방산 조성 및 물성변화를 관찰 하였다.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50:50(w/w)비율에서는 Oleic acid은 유채유와 대두유의 혼합 시 42.8%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유채유의 혼합비율에서 72.1%로 가장 높았다. 75:25(w/w)유채유와 대두유 혼합비율에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올리브유의 혼합비에서 가장 높았다. 팜유를 기준으로 식물성 유지를 혼합하였을 시에는 다른 유지와 혼합 후 총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혼합 후 지방산 조절을 통한 산화안정성 및 저온에서의 유동성 개선이 기대 된다. 혼합 후 동백유 〉 올리브유 〉 유채유 순으로 산가 안전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Oleic acid 함량에 따라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혼합을 통한 산화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색도는 비율 및 유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바이오디젤 생산 정제공정에 있어서 혼합비율 조절에 따른 정제비용 절감이 기대 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지간 혼합에 의한 특성변화를 확인하고, 혼합유의 원료 다양성 확보 및 품질개선을 위한 정보를 얻어 향후 연구수행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1014.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체중조건에 따라 신체활동량, 동기적 행동규제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신체활동에 대한 체지방량 및 동기적 행동규제의 영향을 확인하고, 체지방량이 신체활동과 동기적 행동규제 간의 관련성을 효과적으로 중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시 N구에 소재한C중학교 학생 487명이 자신의 체지방량에 따라 정상체중집단(255명), 과체중집단(141명), 비만집단(91명)으로 분류되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신체활동량과 동기적 행동규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체활동질문지와 신체활동 행동규제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의 신체활동량은 정상체중,과체중, 비만청소년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활동에 대한 동기적 행동규제또한 세 집단 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신체활동, 체지방량, 동기적 행동규제 변인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량, 외적규제, 확인규제, 내적규제는 신체활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작용하였으나, 체지방량은 신체활동과 행동규제 간의 관련성을 중재하는데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체중 및 비만청소년들의 신체활동의 시작과 지속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동기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1015.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은 대표적인 유지 작물로 팜유 다음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는 식용유의 원료이다. 최근 콩 기름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방산 조성을 개선하려는 연구에서 oleic acid 함량을 일반콩의 평균함량인 23%에서 80%까지 올린 콩 계통이 개발되었다. Oleic acid는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낮추고 혈압을 낮추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콩나물은 콩을 암실에서 발아시켜 5일 정도 생육시켜 식용하는 채소로 콩이 가지고 있지 않은 많은 성분들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능성 콩나물 콩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고 oleic acid 콩의 발아일수별 지방산 함량의 변이를 검정하였다. 두 개의 고 oleic acid 함량(약 80%) 콩 계통, M23 (44-50% oleic acid) 및 정상 oleic acid 함유 콩 품종인 풍산나물콩을 이용하여 발아일수별 각각 지방산 함량의 변이결과는 다음과 같다. Pla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발아일수별 함량의 변이가 거의 없었으나, oleic acid는 발아 후 4일까지는 함량의 변이가 거의 없었지만 5일 이후에는 조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는 콩나물의 경우는 주로 5일 전후로 재배하여 출하를 하고 있는데, 고 oleic acid 계통의 경우 발아 5일째에는 종자에 비해 oleic acid 함량의 변이가 미비하였다.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발아 4일 이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고 oleic acid 콩을 이용하여 나물콩을 육성한다면 oleic acid 함량의 변이가 거의 없어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혈압을 낮추는 기능성 나물콩 품종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1016.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changes in fatty acid profile of breast and thigh muscle of old laying hens as transferred from cage to backyard raising system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using old laying hens to producer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s. Overall, percentages of unsaturated fatty acid obtained from breast and thigh muscle with cage and backyard raising system are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saturated fatty acid. For breast muscle,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between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in saturated fatty acid (SFA) and mono unsaturated fatty acid (MUFA). Poly unsaturated fatty acid (PUFA) and PUFA:SFA ratio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ackyard raising systems in comparison with cage rearing systems (P<0.05). No differences (P>0.05) were detected between both rearing systems for MUFA, PUFA, and PUFA:SFA ratios with thigh muscles. SFA in thigh muscl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age rearing systems compared with backyard raising systems. In conclusion, using breast and thigh muscle meats from old laying hens as functional foods or investigating impact assessment on the improvement of farm management system may serve as a good management practice to encourage producers.
        101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rticle 215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does not limit explicitly the time limit that public prosecutor should request a warrant to seize, search or inspect evidence. But after the public prosecutor filed the charges, he cannot request a warrant by article 215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fter the indictment, the court may seize any articles which, it believes, may be used as evidence, or liable to confiscation, by article 106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court may, if necessary, search the defendant, effects, or dwelling or any other place of the defendant, by article 109(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court may search the person, effects, dwelling or any other place of a person other than the defendant, only when there are circumstances which warrant the belief that there are articles liable to seize therein. If the public prosecutor collected the evidence by a search warrant issued from a district court judge other than the court in charge of the case, those evidence are not admissible in principle, because those collection of evidence does not follow legal procedures, which are prepared for human rights. Supreme Court decided it April 28, 2011, on 2009Do10412 case.
        1018.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besity, a strong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hronic diseases,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size of adipocytes differentiated from precursor cells, preadipocytes.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3T3-L1 adipocyte facilita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fat accumula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reduced ROS production by Sargassum micracanthum extract (SME) could protect the development of obesity through inhibition of adipogenesis. 3T3-L1 preadipocytes were treated SME for up to 8 days following standard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The extent of differentiation reflected by amount of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and nitroblue tetrazolium (NBT) assay. Treatment of SME significantly inhibited ROS production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that is depend on down regulation of NADPH oxidase 4 (NOX4), a major ROS generator,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α), a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ME can inhibit adipogenesis through a reduced ROS level that involves down-regulation of NOX4 expression or via modulat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1019.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NADPH oxidase 4 (NOX4)-mediated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proposed to accelerate adipogenesis of 3T3-L1 cell.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via downregulation of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gene expression.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molecular mechanism(s) of NOX4, G6PDH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nd antioxidant enzymes i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3T3-L1 adipocytes. Our results indicate that Cheonnyuncho extracts markedly inhibits ROS production during adipogenesis in 3T3-L1 cells. Cheonnyuncho extracts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 of the pro-oxidant enzyme such as NOX4 and theNADPH-producing G6PDH enzyme. In addition, treatment with Cheonnyuncho extract was found to upregulate mRNA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Mn-SOD (manganese-superoxide dismutase), Cu/Zn-SOD (copper/zinc-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 reductase (GR), and catalase, all of which are important for endogenous antioxidant responses. These data suggest that Cheonnyuncho extract may b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rise of oxidative stress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mechanism(s) that involves direct down regulation of NOX4 and G6PDH gene expression or via upregulation of endogenous antioxidant responses.
        102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lim813은 2-사이클로펜텐-1-온 옥심 유도체로서 다양한 염증성 자극원에 대한 TNF 생성을 억제하는 항 자극 및 UV에 의한 MMP1 억제를 통한 항 노화 효능을 갖는 물질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와 같은 효능 외에도 완전히 분화된 지방 세포에서 cAMP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생성 촉진을 통한 HSL (hormone sensitive lipase) 활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지방분해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Slim813을 사람의 팔과 허벅지 부위에 2주간 도포하였을 때 지방의 두께 감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내 피하 지방을 분해하는 효능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