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ea breeze over Pusan district is investigated by performing the numerical simulations with orography on a two-dimensional mesoscale model. The model results show that the sea breeze strengthens and begins to move inland at 1000LST. The strongest sea breeze is occurred at 1500LST and begins to weak at 1700 LST. After 2400LST a weaker land breeze compared with the sea breeze develops. The observed datas and the simulated land-sea breeze is not coinsidented exactly at the event day(1983. 9. 19.). But simulated land-sea breeze is corresponded of synoptic characteristics that was studied previously.
이앙기를 달리 하였을때 어린모와 25일묘, 손이앙묘의 출수반응, 수량 및 쌀의 품위차를 알아보고자 금오벼와 팔공벼, 동진벼를 공시하여 4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15일 간격으로 7회 이앙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주지방에서 안전출수한계기(8월 27일)로 본 안전이앙한계기는 조생종인 금오벼는 어린모 : 6월 26일, 25일묘 : 7월 1일, 손이앙묘 : 7월 11일이었으며, 중생종인 팔공벼는 어린모 : 6월 21일, 25일묘 : 6월 30일, 손이앙묘 : 7월 10일이었고, 중만생종인 동진벼는 어린모 : 6월 10일, 25일묘 6월 24일, 손이앙묘 : 7월 5일이었다. 2. 육묘방법별 수량은 이앙기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금오벼는 어린모>25일묘>손이앙묘의 순이었으며 팔공벼는 25일묘(equation omitted)어린모(equation omitted)손이앙묘의 순이었고, 동진벼는 손이앙묘(equation omitted)25일묘(equation omitted)어린모의 순으로 증수되었다. 3. 수량생산기(출수전 10일부터 출수후 30일까지)에 있어서 적산온도를 보면 금오벼는 어린모에서 최대수량을 올린 6월 5일~6월 20일 이앙에서 1,003℃ 였고, 25일묘에서는 6월 5일~6월 20일 이앙에서 1,014℃ , 손이앙기는 5월 20일~6월 5일 이앙에서 1,027℃ 이었으며, 팔공벼에서는 어린모 : 1,018℃ , 25일묘 : 1,015℃ , 손이앙묘 : 1,086℃ 이었고, 동진벼에서는 어린모 : 998℃ , 25일묘 : 984℃ , 손이앙묘 : 949℃ 에서 최대수량을 보였다. 4. 육묘방법에 따른 이앙시기별 쌀의 품위는 금오벼는 어린모에서 조기이앙에 따라 동할미가 많았고 청미가 적었으며 7월 5일 이후의 이앙에서는 청미가 현저하게 많아지면서 동할미도 증가하였다. 팔공벼와 동진벼는 이앙시기간에 차리가 인정되지 않았고 다만 극만식인 7월 5일 이후의 이앙에서만 청미 비율이 높았다.
The changes of pectoral muscle size (as an index of protein reserves) and fat reserves (as an index of lipid) were measured in wintering Dunlin during 1988-1989 on two estuaries located in the south coast of Korea. The mean of lean mass of February population was greater(11.8%) than that of October population. SMI of October population was greater(4.5%) than that of February population and lipid index of October population also greater(1.6 %) than that of February population. This, show that the body condition of October population is better than February population. The mean of fat and protein reserves of 22% of Dunlin arriving on October for their wintering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s, this group seems to continue their migration to south further and 11 % of the wintering population seems to starve during winter.
이앙기를 달리 하였을 때 어린모와 기계이앙 25일묘, 손이앙 성묘의 묘소질과 본답 생육 차이을 구명하고자 금오벼와 팔공벼 및 동진벼를 공시하여 4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15일 간격으로 7회 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앙기별 육묘방법에 따른 묘의 엽수 변화는 손이앙묘>25일묘>어린모 순으로 많았고, 이앙기별로 보면 어린모는 이앙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25일묘는 4월 20일 이앙부터 6월 5일 이앙까지 증가 경향이었으며 그 이후는 근소한 차이를 보였고, 손이앙묘에서 동진벼는 6월 5일까지, 팔공벼와 금오벼는 6월 20일 이앙까지 엽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α -naphthylamine산화력에 의한 근활력과 신근발생량은 어린모>25일묘>손이앙묘 순으로 높았다. 3. 최고분얼기와 유수형성기의 관계는 어린모와 25일묘에서 금오벼는 4월 20일 이앙시 최고분얼기후에 유수가 형성되었으나, 5월 20일부터 7월 5일 이앙까지는 최고분얼기와 같은 시기에, 7월 20일 이앙에서는 최고분얼기 전에 유수가 형성되었다. 한편, 팔공벼는 5월 20일 이앙까지, 동진벼는 7월 5일 이앙까지 최고분얼기 후에 유수가 형성되었다. 4. 어린모와 25일묘의 이앙후 결주율은 이앙기 및 품종에 관계없이 5% 이내로 나타났다.
유채 국내육성품종, 재래종, 도입품종등을 공시하여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 및 glyceride 유질특성을 조사하여 유채 고품질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험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 개자 공시품종의 기름함량은 최저 21.8%에서 최고 47.4%까지 25.6%의 변이폭을 보였으며, 대부분 35-45% 범위에 분포되었고, 45% 이하 고함유 품종은 목포 71호 목포 90호, 단교 12호등 6품종이 선발되었다. 2. 기름함량은 원산지별로 국내육성 1대잡종 품종이 가장 높았고, 캐나다 품종이 가장 낮았으며, 숙기에 따라서는 만생종일수록 그 함량이 높았고, 1,000입중으로는 극대입종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3. Brassicathr 작물중의 기름함량은 B. napus가 가장 높고 B. hirta등 개자에서 21.8~28.9% 범위로 낮은 수준이었다. 4. 원산지별 지방산조성에서 palmitic, stearic 및 linolenic acid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oleic, linoleic, eicosenoic 및 erucic acid함량은 큰 차이를 보여 주었다. 5. 성분개량된 품종은 미개량 품종에 비하여 양질인 oleic acid 43.3% linoleic acid 7%가 각각 증가되었다 6. 기름함량과 palmitic, stearic, oleic acid와는 높은 정상관을, 기름함량과 eicosenoic, erucic acid와는 부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7. Oleic acid는 linoleic과 정상관, erucic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acid는 lino-lenic과 상관성을 erucic과는 부 상관을 보였고, eicosenoic acid는 erucic과 정의 상관을 보여 주었다. 8. 공시된 3품종의 triglyceride구성비율은 내한유채가 86.7%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mono, d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 는 13.3~17.4%로 나타났다.
들깨 유전자원 165품종을 공시하여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 glyceride 유질특성등을 분석조사하여 고함유 양질 다수성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들의 기름함량은 최저 34.8%에서 최고 54.1%의 범위에 분포되었다. 2. 기름함량은 숙기에 따라 중만숙종이 다소 높은 경향이며 종피색은 갈색종 품종이, 1,000 종은 소식종일수록 그 함량이 높았다. 3. 기존 기름함량 분석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soxtect법과 near infrared reflectance (NIR) 법간의 기름함량 calibration정밀도는 0.47% 였고, 기름함량 평균치를 검정한 결과 유의성이 없었고, 표준편차 차이는 0.79였으며, 분석방법간에 고도의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4. 지방산조성은 linolenic과 linoleic acid가 78.1%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은 숙기, 종피색, 1,000입중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5. 기름함량과 stearic 및 linolenic acid와는 유의적인 정상관이었으며, linoleic acid는 고도의 부상관을 보여 주었다. 6.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간에는 높은 유의적인 부상관이 인정되었다. 7. 엽실들깨등 4품종의 triglyceride 구성비율은 평균89.2%였으며, 옥동들깨가 92.9%로 가장 높고 수원8호가 82.3%로 가장 낮아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기타 mono, d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는 평균 10.8%였다.
땅콩 유전자원의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여 고함유 양질 지방산조성 품종개량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작물시험장에서 보존하고 있는 땅콩 172품종을 공사하여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의 품종간 차이를 조사함과 아울러 품종의 기원, 초형, 숙기, 종실의 크기에 따른 변이와 이들 형질과의 관계등을 조사하였던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땅콩 종실의 기름함량은 172품종의 평균 51.3%로서 품종의 기원, 초형, 숙기 및 종실의 크기에 따라 다르고 품종의 기원에 따라서는 RPIS수집종, 땅콩의 숙기에 따라서는 중생종, 초형에 따라서는 Spanish type, 종실의 크기에 따라서는 100입중 30~60g인 품종에서 기름함량이 가장 많았다 2. 공시된 172품종 중에서 기름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RPIS 152108 로서 57%이고 초형은 Spanish type으로서 100입중은 40g이었으며, 한국 재래종 중에서도 연기재래 는 기름함량이 55.8%로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3. 땅콩기름의 주된 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공시품종 평균 81.4%였으며 그중 oleic acid는 평균 42.9%로서 품종의 기원에 따라서는 한국 육성품종이 46.8% 숙기에 따라서는 조색종이 46.6, 초형에 따라서는 신풍초형이 47.2%, 종실의 크기에 따라서는 100입중 909이하인 품종이 44.9%로서 높았다. 4. 땅콩기름중 두번째로 많이 함유된 linoleic acid는 평균 38.5%로서 품종의 기원에 따라서는 RPIS수집종이 41.1%. 숙기에 따라서는 중생종이 39.5%. 초형에 따라서는 Valencia type이 41.4%, 종실의 크기에 따라서는 100입중 30~60g인 품종이 40%로서 높았다. 5. 공시품종들중 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61R-PYT-224 로서 54.1%였으며,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은 품종은 RPIS 152136 로서 49%였다. 6. 땅콩기름중 소량 함유된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arachidic acid. eicosenoic acid, behenic acid였으며 이들 지방산 함량의 평균은 18.7%이고, 함유량은 품종의 기원이나 숙기, 초형, 종실의 크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7. 지방산과 기름 및 다른 형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름함량은 stearic acid와 정의 상관, oleic acid와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종실의 크기는 oleic acid 및 eicosenoic acid와 정의 상관, linoleic acid와 부의 상관이 있었으나 숙기와 지방산간에는 상관이 없었다. 8. 땅콩에 함유된 지방산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d 사이에는 r=-0.839**의 고도의 부의 상관이 있었으나 이들 두개의 지방산은 다른 대부분의 소량 함유된 지방산들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9. 한국 육성품종으로서 일반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땅콩 장려품종의 지질 분획 glyceride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triglyceride 함유율이 가장 높은 품종은 남대 땅콩 으로서 95%, 가장 낮은 품종은 진풍 땅콩 으로써 85.2%였다.
참깨종실의 품질을 향상시키려면 참깨종실의 주요성분인 기름의 질적 개선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바 전세계적으로 수집된 품종보존구에서 200여 품종을 엄선하여 기름함량과 지방산, glyceride를 분석하여 특성에 따른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고 고품질 다수성 참깨 육종재료로 활용코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의 평균 기름함량은 5l.1%였으며 최저 46.2%, 최고 55.5%로서 9.3%의 변이폭을 보였고 50~51% 사이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정규분포를 나타내었다. 2. 품종유래에 따른 기름함량차를 보면 국내육성종이 51.6%로서 가장 높았고 이집트종이 50.5%로서 가장 낮았으며 일본, 우리나라 재래종, 이태리, 미국, 인도, 이집트의 순으로 온대지역이 높고 열대지역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3. 국내육성종인 '수원 88호'의 기름함량이 55.5%로서 가장 높았고 국내재래종인 '여산'이 54.6%로 높은 기름함량을 보유하고 있어 앞으로 이들 품종은 고함유품종육성을 위한 교배모본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4. 숙기에 따른 기름함량차는 극만생종이 51.6%로서 가장 높았으며 열기가 늦어질수록 기름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5. 종피색에 따른 기름함량차를 보면 백색종피종이 51.5%로서 가장 높았으며 갈색, 흑색의 순으로 높았다. 6. 삭실형의 차에 따른 기름함량은 1과성 2실4방이 51.8%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과성 4실8방, 3과성 2실4방의 순으로 높아 3과성보다는 1과성, 4실8방보다는 2실4방등 sink가 큰 쪽보다는 적은 쪽이 기름축적에 유리 한 것으로 나타났다. 7. 기름의 질을 결정하는 지방산의 품종간 변이를 보면 양질 불포화지방산함량에서 열대지역 품종이 83.7~84.5%로서 낮았으며 온대지역 품종은 86.2~87.55%로서 높았다. 양질의 리놀산함량에서도 우리나라재래종, 일본, 미국등 온대지역품종이 47.2~47.7%로 높게 나타났고 열대지역품종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8. 숙기에 따른 지방산의 변이를 보면 주지방산인 리놀산함량에서 조ㆍ중생종이 44.5~44.8%를 나타내었으며 중만ㆍ만ㆍ극만생종은 45.9~47%를 나타내어 만숙으로 갈수록 리놀산함량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9. 종피색에 따른 지방산 조성차는 리놀산함량에서 갈색종피종이 45.8%로서 가장 높았으며 백색, 흑색종의 순으로 높았다. 10. 실방수에 따른 지방산 조성 차이를 보면 양질의 리놀산함량에서 1과성 4실8방이 46.7%로서 가장 높았고 3과성 2실4방, 1과성 2실4방의 순으로 높아서 기름함량에서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11. 기름함량과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산등 각각의 지방산간에는 유의성있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기름함량과 종피색 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 있었고 종피색과 스테아린산, 올레인산과는 정의 상관, 리놀산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숙기와 올레인산 간에는 부, 리놀산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간에는 부, 리놀산과 불포화지방산 간에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12. 참깨의 triglyceride 함량은 85%로서 콩의 89.2%보다는 낮고 유채의 84.9%와는 비슷한 수준이어서 참깨의 salad유나 튀김용기름으로의 가공이용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triglyceride 추출물의 지방산을 분석하여 본 결과 유성깨의 리놀산함량이 49.8%로서 풍년깨의 45.8%나 한섬깨의 41.4% 보다는 크게 높아서 salad유용으로의 가공면에서 흑색의 유성깨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두의 유질특성을 조사하여 품질 개선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보존 및 일본도입 100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으며 Glycerides조성 분석에는 3품종을 공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대두 100품종의 기름함량은 12.1~23.0% 범위에 있었다. 2. 국내 육성종이 일본 도입종에 비하여 기름함량이 높은 품종이 많았고, 국내종 중에서는 추대두 품종이 하대두 품종에 비하여 기름함량이 높았다 3. 지방산 조성은 oleic과 linoleic산이 76 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4. 국내 품종들이 일본 도입종에 비하여, 그리고 추대두 품종들은 하대두 품종에 비해서 oleic산은 낮은 반면에 linoleic산은 높은 함량을 보였다 5. 공시품종들의 기름함량 증가는 palmitic산의 감소를 그리고 linoleic산의 상승을 나타내는 상관관계였다. 6. 종실중은 oleic산과는 정의 그리고 linoleic 및 linolenic산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7. 대두 3품종의 평균 Triglycerides 구성비율은 82.8%였는데 품종간에 차이가 컸다.
벼 품종들의 종실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의 품종간 및 생태형간 차이를 살펴보고 지방산 상호 간 및 이와 여타 주요 이화학적 성분간의 상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저장성 및 식미특성과 관련된 기초정보를 얻을 목적으로 1989-'90년간에 작물시험장 수도육종포장에서 생산된 자포니카 9품종과 통일형 5품종 및 인디카 향미 한 품종의 현미 및 백미에 대한 기름함량 및 지방산조성과 주요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미 및 백미의 기름함량의 품종간 변이는 각각 2.15~2.98% 및 0.37~l.55%로 백미에서 품종간 차이가 더욱 켰으며 생태형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많았다. 2. 현미와 백미의 주지방산은 올레인산, 리놀산, 팔미틴산으로 전체지방산의 85~94%를 차지하였으며 현미에서는 자포니카가 통일형에 비해 올레인산이 현저히 낮았던 반면 리놀산이 유의하게 높았고 백미에서는 자포니카가 통일형에 비해 미리스틴산이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현미의 경우와 비슷하게 올레인산이 크게 낮았다. 또한 통일형 품종은 포화지방산/불포화지방산비율이 자포니카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경향이었다. 3. 백미는 현미에 비해 미리스틴산과 포화지방산/불포화지방산 비가 약간 높은 반면 올레인 산은 낮은 편이었다. 4. 년차간변이가 품종간 변이에 비해 컸던 지방산은 미리스틴산과 포화지방산함량이었고, 품종 년차간 상호작용변이가 특히 컸던 지방산은 올레인산과 리놀렌산이었다. 5. 현미와 백미에서 모두 리놀산과 올레인산, 팔미틴산 및 아라치딘산간, 리놀랜산과 아라치딘산간에는 유의한 부 상관을 나타내었고 현미에서는 미리스틴산과 리놀산간 및 팔미틴산과 에이코젠산간에 부, 올레인산과 아라치딘산간에는 정의 상관을 보였고 백미에서는 리놀산과 리놀렌산간에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특히 올레인산과 리놀+리놀렌산함량간에는 현미와 백미에서 모두 거의 직선적으로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6. 포화지방산총량은 팔미틴산, 불포화지방산총량은 리놀산함량과 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좌우되며 불포화도가 낮은 올레인산함량은 불포화지방산총량이 증가 될수록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포화지방산총량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7. 직접경로계수에 의한 기여도로 보아 현미 지질함량은 팔미틴산 및 리놀산함량, 백미 지질함량은 올레인산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8. 미리스틴산은 단백질 및 칼리움함량과 부의 상관을 보였고 칼리움과 마그네슘은 포화지방산총량과는 부, 불포화지방산총량과는 유의한 정의 관계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칼리움은 지질함량과는 정상관을 보였다.
제주지방에 있어서 쌀보리와 맥주보리의 청초 및 종실 겸용재배에 알맞은 파종기, 파종량, 시비량, 청초이용기간 등을 밝히고자 쌀보리(새쌀보리)와 맥주보리(두산 22호)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새쌀보리는 파종기, 파종량, 시비량, 청예시기에 관계없이 청예후 100% 생존하였으나 조파한 두산 22호는 증파, 증비할수록 1~2월에 예취시 청예후 생존율이 떨어졌다. 2. 두 품종 모두 조파할수록, 청예종기가 늦을수록 청초수량이 많았다. 증파, 증비함에 따라 청초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건초의 조회분 및 조지방은 파종량, 시비량, 청예시기 등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조단백질은 증비할수록 증가되었고 청예시기가 늦을수록 감소되었다. 가용생무질소물은 층예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증비에 의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4. 조파할수록 일찍 출수 및 성숙되었다. 청예에 의한 출수지연이 새쌀보리에서느 적었으나 두산 22호에서는 매우 컸었고 조파할수록, 정예종기가 늦을수록 정예에 의한 출수지연이 컸었다. 증비에 의해 두산 22호의 성숙기가 3~5일 지연되었다. 5. 새쌀보리에서 보다 두산 22호에서 청예에 의한 간장단축이 컸었고 두 품종 모두 청예종기가 늦을수록 간장이 작아졌다. 6. m2 당 수수 및 수당입수가 새쌀보리에서는 청예에 의하여 감소되지 않았지만 두산 22호에서는 청예종기가 늦어질 경우 감소되었다. 7. 두 품종 모두 청예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종실수량이 감소되었으나 새쌀보리에서는 청예종기가 2월 27일이어도 6~11%의 감수에 그치었다. 두산 22호에서는 12월 28일 이후 예취에 의하여 종실수량이 6~66% 감소되었다. 청예후 종실수량은 파종량과 시비량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8. 제주지방에서 쌀보리와 맥주보리를 9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파종하여 10월 하순부터 2월 중순(맥주보리 12월 하순)까지 방목에 이용하여도 적절히 관리할 경우 관행재배와 비슷한 종실수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중북부 지방의 재배벼로 지정된 태백벼외 18개 장려품종들에 대한 생육시기 저온반응을 구명하고자 14℃ 와 12℃ 의 Growth chamber 내에서 저온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고에 강한 반응을 보인 품종은 소백벼, 백암벼, 설악벼, 화성벼, 치악벼, 도봉벼, 대성벼, 상풍벼, 천마벼 등이었다. 2. SPAD 치에 의한 엽색의 정도는 적고에 강한 반응을 보인 품종들이 높았다. 3. 저온처리시 뿌리의 신장을 전혀 보이지 않았던 품종은 태백벼, 삼강벼, 백양벼, 풍산벼, 상풍벼, 진여 등이었다. 4. 저온처리후 20일 경과시 발근장과 발근수는 대성벼, 오태벼, 화성벼, 성락벼, 치악벼, 운봉벼, 소백벼 등이 많았다. 5. 활착기에 저온처리를 당했던 품종은 온도가 정상적으로 회복된다 하더라도 2~11일 정도 출수지연 현상을 보였다. 7. 엽색이 농록이고 발근율도 높은 품종은 상품벼, 치악벼, 오태벼, 소백벼, 운봉벼, 설악벼, 도봉벼, 화성벼, 대서여 등이었고, 엽색농도가 낮고 발근율도 낮은 품종은 백양벼, 태백벼, 삼강벼, 농백 등이었다.
Recently, researches on oil crops Ln Korea were breeding on edible oil crops such as rapeseed sesame, peanut , periLla.Numerous varieties were released as a result of ective breedingworks on edible oil crops, that is 7 rape varieties including Yu-dal, Mokpo-11, Yongdang, Nozeogchae, Naehan, Yeongsanyuchae and Ch-eongpungyuchae (hybrid),5 varieties sesame including Suweon-5,9,21,Kwangsan99ae and Dabaekggae, 5 peanut varieties including Seodun-tangkonT,Yeonghotangkong, 01tankong , ShinpungtanTkong and SaedI-tanGkong, 3 periLLa varietLes including Daegu, Suweon8 and 10,res-pectively. This varietLes showed a good oil quality with high o-Leic and LinoLeic acids content, but periLLa oil seemed to be un-suitable for a edible use, since about 53 Percent of Its fatty a-cids was in the from of unsaturated LinoLenic a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