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58

        3121.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124.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지렁이(100%) 시비량 차이(0, 100, 200, 300, 400, 500 및 600kg/10a)에 따른 신나리 열무의 생육반응 및 수량을 검토하고, 지렁이분 적정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2년 11월 7일부터 2003년 3월 8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무비구에서 500kg/10a 시비구까지 30.3cm에서 37.77cm로 커졌고, 그 이상의 시비구에서는 작아졌으나 200kg/10a에서 600kg/10a 시비구까지는 유의
        3,000원
        3126.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북 정옵지역 20 대 청년 비정시 186 명 372안올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 적 굴절 검사를 시행하여 비정시의 정도 및 굴절이상 상태률 연구하였다. 1. 눈의 형태는 근시는 90.3%, 원시는 0.6% 그리고 정시는 9.1%로 나타났다. 2. 굴절이상안은 단순근시 39.5%, 근시성단난시 9%, 근시성복난시 46.9%, 단순원시 0.6%, 원시성단난시 0.6%, 원시성복난시 0.1%, 혼합난시 2.3% 이었다. 3. 난시의 축은 직난시 68%, 도난시 15%, 사난시 17% 이었다. 4. 난시의 굴절력은 O.50Dptr에서 1.00 Dptr가 72.8%, 1.00 Dptr에서 2.00 Dptr가 18.6%, 2.00 Dptr 이상이 8.3% 이었다. 5. 근시성 굴절이상안의 둥가구면굴절력은 -0.50 Dptr에서 -2.00 1얘tr 이하 50.7%, -2.ooDptr에서 -6.00 Dptr 이하 48.6%, -6.00 Dptr 이상이 1% 이였다. 6. 원시성 굴절이상안의 둥가구면굴절력은 2.00 Dptr 이하 66.7%, 2.00 Dptr 이상이 33.3% 이었다.
        4,000원
        3134.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urveyed dietitians' perception on application of festival foods in the school foodservice in Busan area.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44 dietitians working in elementary(143 individuals), middle(50 ind.), and high schools(51 ind.). The mean scores of dietitians' perception for the succession of the festival foods are 4.57/5.00 at Seolnal, 4.28/5.00 at Jeongwoldaeboreum, 4.12/5.00 at Dongji, 4.02/5.00 at Chuseok, 3.91/5.00 at Sambok, 3.27/5.00 at Dano, 3.00/5.00 at Chopail, 2.67/5.00 at Samjitnal, and 2.65/5.00 at YuDu. The dietitians have frequently practice the Sambok foods to the school foodservice menu, followed by the foods for Dongji, Jeongwoldaeboreum, Seolnal, and Chuseok. About two third of dietitians(72.2%) answered that it is needed to provide festival foods as the school foodservice menu for festive days. However, the survey indicate that putting festival foods on the school foodservice is hampered by the facts that foods do not appeal to the students' taste and it is difficult to cook the foods by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Mean scores of dietitians' acquaintance with about the origins and contents of festive days are Dongji(3.67/5.00), Seolnal(3.63/5.00), Sambok(3.60/5.00), Jeongwaldaeboreum(3.58/5.00), Chuseok(3.39/5.00) and Dano(3.23/5.00). When the dietitians provided lunch for the students, 80.1% of them occasional give the information on the festival foods to the studen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hand down festival foods that the dietitians develope the recipe for foods applicable in school foodservice and e government adopt a policy and education programs.
        4,300원
        3135.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rrelati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diseas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adults(207) living in Geoje City, the diabetes mellitus and the hypertension patients(166) and the normal people(41). In the diabetes mellitus group and the hypertension group,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 LDL-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AI) were significantly high. As the obesity index was getting higher, the blood pressure of the diabetes mellitus group was high, and the HDL-cholesterol of the hypertension group was low, but AI of it was significantly high. The AI was significantly high as serum lipid index were getting higher in both groups. The rate of the prevalence was very high in the diabetes mellitus group(74.3%) and the hypertension group(73.7%). The pattern in the diabetes mellitus group was in order of the hypertension, the hyperlipidemia, and the obesity but, in the hypertension group was the hyperlipidemia, and the obesity. The obesity index and serum lipid index of complex patient group were higher than single patient group.
        4,200원
        3136.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employed in different foodservice settings. The subjects were dietitians(n=830) employed by schools, hospitals, and industries in Daegu Gyeongbuk area. A questionnaire was used to determine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s were the highest for hospital dietitians, and the lowest for industry dietitians (p<0.05). Industry dietitians felt significantly less loyal to their organizations than did the other dietitians(p<0.05). School and hospital dietitian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say they cared about the fate of their organizations and thought their organizations were the best to work for. Age, education, length of employment, and wag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ospital dietitians' commitment(p<0.05). For all dietitians, the fewer the work hours, the higher the commitment(p<0.05). When asked to rate their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s of their jobs, dietitians expressed the most satisfaction with co-workers, and the least satisfaction with promotion opportunities. School dietitians were significantly less satisfied with pay and promotion than were the other dietit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ssociated with wages(0.05), autonomy(0.08), feedback(0.16), dealings with others(0.07), and task identity(0.09).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educational level(-0.13), wages(0.10), autonomy(0.18), friendship opportunities(0.14), feedback(0.16), task identity(-0.1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0.40) (Lisrel program).
        4,600원
        3137.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두대간의 대덕산-금대봉에 이르는 자연생태계보전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산림의 생육현황과 군집 구조를 파악하여 앞으로 자연생태계보전지역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보전지역에 65개의 방형구(10m×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지는 5개의 군집 일본 잎갈나무우점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우점군집, 물푸레나무-신갈나무우점군집, 신갈나무-당단풍우점군집, 신갈나무우점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팥배나무, 고로쇠나무, 올괴불나무, 마가목 ; 팥배나무와 고로쇠나무, 올괴불나무, 마가목 ; 고로쇠나무와 올괴불나무, 마가목 ; 다릅나무와 복자기 ; 물푸레나무와 물박달나무; 올괴불나무와 층층나무, 마가목; 복자기와 짝자래나무; 산돌배와 귀룽나무 ; 층층나무와 마가목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 까치박달; 피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산뽕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0.4443~1.2036 범위였다.
        4,000원
        3138.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남 남해군 금산 지역에서 도로가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서 산림 지역에 개설되는 도로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2000년 5월부터 2001년 1월까지의 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조류군집 조사 결과 도로 지역에서는 26종, 산림 지역에서는 23종의 조류가 각각 관찰되었다. 지역별로 호랑지빠귀, 할미새사촌 등은 산림 지역에서 만, 쇠유리새와 큰유리새 휘파람새, 상모솔새 등은 도로 지역에서만 관찰되었다. 번식기 조류 군집의 길드 분석 결과 도로 지역에서는 관목층 영소 길드와 채이 길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대체로 도로는 야생동물의 서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차량 통행량이 적고, 도로변에 다양한 서식환경이 존재하며, 상층임관의 단절이 소규모이고 연속적이지 않아 도로가 조류 군집에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산림 지역에서 도로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층임관의 수관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도로변 교목의 유지 및 관리와 관목층의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140.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국립공원의 바래봉지역을 중심으로 북향사면인 용산-바래봉지역과 남향사면인 팔랑-바래붕지역의 계곡부를 대상으로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를 조사분석하였다. 상층임관을 이루는 교목층의 밀도, 평균흉고단면적은 북향사면이 남향사면에 비하여 높았다 북향사면에서는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층 흉고단면적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해발고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중요치가 증가하는 주요 수종은 신갈나무이었으며, 감소하는 주요 수종은 졸참나무, 소나무 등이었다. 식생층 전체의 목본식물 종다양도는 북향사면이 1.:307로서 남향사면의 1.114보다 높았다 해발고대별 전체 식생층의 종수, 종다양도, 균재도는 2개 사면 모두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Cluster분석 결과 남향사면 중, 하부의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집, 남향사면 상부 북향사면 중 상부와 계곡 정부의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북향사면 하부의 소나무-신갈나무군집 둥 3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상대중요치에 의한 종상관 분석결과 서어나무.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생강나무 등 4개 수종간, 밤나무, 철쭉꽃. 덜꿩나무 등 3개 수종간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