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왕산지역 금은광이-주왕계곡에 이르는 계곡부(해발 470~78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치조사하였다.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교목층 밀도와 흉고단면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소나무, 생강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굴참나무, 생강나무 둥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등이었다. 종다양도는 계곡상부와 사면하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계곡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74.4~84.2%, 사면부위별 유사도지수는 68.0~96.3%로써 해발고보다 사면부위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하여 cluster 분석한 결과 사면하부의 소나무-낙엽활엽수군집, 사면중, 상부의 소나무-굴참나무군집, 계곡정부의 소나무군집으로 구분되었다.
단일 조사구에 의한 삼림군집구조 조사시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 면적을 결정하기 위하여 주왕산지역 소나무림의 관목층을 대상으로 nested design에 의하여 19개의 조사구를 설치한 후 종수-면적 곡선, performance curve 등을 적용하였다. 종수-면적 곡선에 있어서 조사구 면적의 증가율보다 출현종수의 증가율이 낮은 최소 조사구 면적은 900m2이었으며, 조사구 면적의 증가율에 비하여 출현종수의 증가율이 1/2 이하인 최소 조사구 면적은 1,500m2이었다.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 면적 1,400m2 이상에서 주요 수종의 중요치가 일정한 경향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조사구 면적에 대한 유사도지수는 조사구 면적 900m2, 625m2 이상에서 각각 90, 85% 이상의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 면적은 대체로 1,500m2라고 할 수 있었다.
주왕산국립공원 이전동 절터지역을 중심으로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24개소에 조사구(각 l0×10m)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과 ordination기법의 일종인 DCA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24개 조사구는 DCA에 의해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생강나무군집, 까치 박달-당단풍군집, 그리고 고로쇠나무군집의 5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삼림군집구조분석결과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충에서 소나무→졸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까치박달, 서어나무, 고로쇠나무로, 아교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당단풍, 생강나무 순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신갈나무가 토지극상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보였다.
1994년 2월부터 10월까지 3차에 걸쳐 주왕산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바 94과, 260속, 365종, 60변종, 2아종, 5품종 및 1재배품종 등 모두 433 종류의 식물을 정리하였다. 이 중에서 27종류는 인공식재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들은 주로 사찰 주변이나 폐농경지 주변에 생육하고 있다. 주왕산국립공원지역에는 우리나라에서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를 받고 있는 식물 중 깽깽이풀이 분포하고 있는 자생지를 파악하였으며, 앞으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위하여 이들 개체의 생육위치를 도면화하였다. 깽갱이풀의 자생지는 기존의 등산로와 바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적절한 보호조치가 요망된다. 또한 기존에 희귀식물로 보고된 바 있는 망개나무, 둥근잎꿩의비름과 솔나리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우단꼭두서니, 돈잎꿩의다리, 노랑무늬붓꽃 및 구와꼬리풀 등은 관찰하지 못했다.
This study was surveyed by 319 male and 336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for food behavior and effect of Western food on food lif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cognition of Korean folk food was higher in female than male students. 2. Eating type of college students appeared that they prefered to cooked rice at breakfast, lunch, and dinner because of a general food type of their family. 3. The favorite food items in college students showed fruits in female and meat in male. 4. Eating out type with family appeared mainly Korean food, because of their preference. 5. The 29% of college students visited fast food restaurants more than 1~2 times per week. 6. In compared to Western food, the Korean food were favored by college students but cooking process of food were complicated. 7. The preference of Korean food against Western food was mostly higher in male than female. 8. The standard of food choice were taste and convenience of food. 9. Main factor of food habit change appeared convenience of buying easily. 10.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food in our food behavior were easy to buying but not fit our preference. 11. Opinion of students in order to keep Korean food were follows; Various food development, enlargement of consumption market, correct education about Korean food and change of people consciousness through consumer campaign.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은 서울지역의 식습관이 조금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식 정도는 지역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패스트 푸트점의 이용은 면류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그 외에 햄버기점, 후라이드치킨점을 많이 이용하였다. 지역간의 차이는 서울지역에서 김천에 비하여 좀 더 많이 이용하였다. 패스트 푸드점의 이용 목적은 햄버거점, 피자전문점과 면류점은 한끼 식사용으로, 후라이드치킨점은 간식용과 한끼 식사용으로 이용하고 있었고, 아이스크림점은 간식용이나 음료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패스트 푸드점의 이용 이유는 음식을 먹기 간편하고,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는 장소로서 이용되고, 장소가 쾌적하고 용기가 위생적이며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음식이 신속히 준비되는 등의 이유가 가장 많았다. 패스트 푸드를 한번에 먹는 양은 식사가 될 정도로 많이 먹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식사 사이의 간식 정도나 약간 적다고 느껴질 정도였다. 패스트 푸드 음식 선택시 고려되는 사항은 기호와 가격이 가장 높았고 그 외에 음식이 준비되는 시간과 보기 좋은 것을 선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한달 용돈과 외식비는 서울지역이 높았다. 이것은 외식이 가능한 음식점의 지역적인 밀집도와 지역적이 식습관의 차이와 외식문화에 대 한 지역간의 식습관의 차이등을 들 수 있다.
지역별로 분포하고 있는 특성화된 온실의 장점을 살리고 구조적인 위험요소를 줄임으로서, 지역특성온실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역별로 특성화된 온실의 구조실태를 조사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남지방에 특성화된 온실의 보급이 많았으며, 광폭형하우스와 대형 단동 파이프하우스가 이 지역의 특성화된 온실로서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경남 김해의 목재하우스, 전남 구례의 트러스형하우스, 강원 평창의 돔형 파이프하우스, 충북 옥천의 포도재배하우스 등이 특징적인 온실로 나타나고 있었다. 3. 광폭형하우스, 트러스형하우스, 돔형 파이프하우스 및 포도재배하우스는 15-30년 빈도의 풍하중과 설하중에 대하여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형 단동 파이프하우스는 약간의 보강이 필요하며, 목재하우스는 매우 불안정하여 사용을 중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대상온실의 기초는 모두 30년 빈도의 강풍에 대하여 충분한 인발저항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 주식 밥은 쌀, 찹쌀만으로 짓는 흰쌀밥, 기름찰밥이 대부분이었고, 그외의 밥의 주재료는 쌀이었고, 부재료는 잡곡, 두류, 야채, 산채, 견과류 등을 사용하였다. 찹쌀을 주재료로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이 찌는 법을 사용하였고, 조미료로는 흰쌀밥을 제외한 거의 모든 종류의 밥에는 소금을 기본으로 이용하였다. 죽은 쌀을 주재료로 한 흰죽이 가장 많았고, 부재료는 유종실류, 한방재료류, 우유등을 이용하여 왼죽상태로 끓이는 것이 특이하였다. 국수는 건국수보다는 손국수의 형태가 많았고, 주재료는 밀가루가, 부재료는 콩가루, 메밀가루, 수수가루, 찹쌀가루등이 사용되었으며, 국수 마는 국물에는 표고버섯, 다시마 이외에 들깨, 참깨, 잣, 호도, 가죽나물 등이 이용되었다. 수제비는 밀가루를 주로 이용한 밀수제비가 대부분 이었고, 찹쌀 새알심 반죽에는 쪽을 넣어 이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국물맛은 다시마, 표고버섯외에 가죽나물을 사용하여 특이한 맛을 내었다. 2. 부식 찌게보다 국이 3배 정도 많이 이용되었고, 주재료로 국에는 엽경채류가, 찌게에는 열매채소가 주로 사용되었다. 국물맛은 간장과 된장이, 양념은 고추가루, 마늘, 파와 참기름이, 농후제로는 들깨가루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조림의 주재료로는 근채류가 대부분이었고, 조리법은 기름에 튀기거나 볶아서 간장, 설탕, 물엿으로 조리는 방법이었고, 찜은 각종채소와 산채류를 국물에 익혀 들깨가루, 찹쌀가루를 섞어 농후하게 하는 방법이었다. 생채, 나물, 볶음에는 엽경채류와 산채류가 주재료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삶거나 데쳐서 무치는 방법이 많았다. 볶음, 나물에는 간장, 소금을, 산채류에는 된장, 고추장을 기본 간으로 하고 있었다. 생채와 나물에는 참기름이, 볶음에는 들기름과 식용유가 주로 이용되었고, 양념에는 마늘, 파 이외에 인공조미료도 이용되고 있었다. 전(튀김)에는 엽경채류와 근채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버섯, 더덕, 도라지, 우엉, 마등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에 구이에 사용되었고, 사용되는 기름은 거의 모두 시판 식용유였다. 쌈의 재료는 상치가 가장 많았고, 방장은 된장, 고추장, 막장외에 멸치젓갈도 사용하였다. 회에는 생표고버섯이, 묵의 재료로는 도토리, 메밀, 녹두, 동부등이 주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양념장을 뿌려서 먹는 법외에 묵볶음, 묵장아찌, 묵구이, 묵전등 매우 다양하였다.
부산시민의 외식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부산직할시에 거주하거나 직장을 가진 국민학교 4학년 이상의 남녀 464명을 대상으로 외식성향(때, 동기, 자주 가는 음식점의 종류, 비용, 선호도 등)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외식은 점심 때보다 저녁에 더 많이 하며, 외식을 하는 동기는 가족끼리 외출을 하였을 때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모임이 있을 때와 친구를 만났을 때 순이었다. 점심 때 자주 가는 음식점으는 분식집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중국집과 한식집 순이였으며, 저녁 때는 한식집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갈비집과 중국집 순으로 점심 때와는 차이가 있었다. 외식비로 지출하는 1인당 비용은 점심 때는 전체의 71.88%의 사람들이 4, 000원 이하의 음식을 먹는데 비해 저녁에는 54%이상이 5천윈 이상을 지출하여 점심 때보다 저녁 때의 외식비가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한번 갔던 음식점에 다시 가는 이유로는 음식맛이 좋기 때문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위생적이기 때문과 음식가격이 싸기 때문 순이였으며, 다시 가지 않는 이유로는 역시 음식 맛이 없기 때문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비위생적과 가격이 비싸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연령과 성별 뿐만 아니라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 재래식 저장식품인 Na, K, NaCl 함량과 Na, K, NaCl함량을 측정하여 식습관 개선과 식생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전라북도내 10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주부 1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재래식 저장식품 중 간장, 된장, 고추장 및 김치와 24시간 뇨를 수거하여 Na, K 및 NaCl 함량을 측정하고, 연령, 체중 혈압 및 뇨의 Na 함량과의 상관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간장 중의 Na, K, 및 NaCl 함량은 모두 농촌이 도시 보다 유의성있게 높았으며 (P<0.001) 된장 중의 Na 함량은 비슷하였고 K 함량은, 농촌이 도시보다 유의적이게 낮았으며 (P<0.001) NaCl 함량은 도시가 8.9±2.0%, 농촌이 8.6±2.24%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고추장 중의 Na 함량은 농촌이 도시보다 유의적이게 높았고(P<0.01), K 함량은 도시와 농촌이 큰 차이가 없었으며 NaCl 함량은 농촌이 도시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1). 김치 중의 Na과 K 함량은 농촌이 도시보다 유의적이게 높았으며(P<0.01) NaCl 함량 역시 도시 3.32±0.62%, 농촌 3.66±0.58%로 농촌이 도시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1). 뇨의 Na과 NaCl함량은 농촌주부가 도시주부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01) 뇨의 Na/K의 비율은 농촌주부가 도시주부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연령, 체중 혈압 및 뇨의 Na 함량과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수축기 혈압 및 확장기 혈압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축기 혈압 및 확장기 혈압은 뇨의 Na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령과 뇨의 Na함량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서부호주 밀재배 지역의 Durokoppin 자연보호 구역내 흰개미(Drepanotemes tamminensis(Hill)) 집의 분포와 밀도에 있어서 토양형보다는 식물상이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D. tamminensis의 집은 Woodland (우점종-Eucalyptus Capillosa)와 Casuarina (우점종-Allocasuarina campestris) 식물군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비록 Booram 토양형에서 개미집 밀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개미집 분포에 있어서 토양형이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1. 식사패턴 (1) 일상식 승가의 식사첫수는 일일삼식(一日三食)의 규칙적인 식사로 대용식은 거의 없었고, 소수의 사찰에서는 흰죽, 과일, 미싯가루, 조과, 찜, 우유등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병인식으로 칠일약(七日藥)이 아닌 주로 흰죽 종류가 이용되었다. 사찰에 늘 상비하고 있는 양념류는 간장, 된장, 깨소금, 참기름, 식용유등을 필수로 하였고, 제피가루, 고추가루, 산초, 인공조미료 등을 일부 상비하고 있었다. (2) 접대식 스님과 일반손님의 접대식으로는 반상(飯床)차림이 가장 일반적이었고, 그외에 다과, 떡, 국수등으로 접대하였으며, 대소 행사시 내객을 위한 음식으로는 비빔밥, 찰밥, 오곡밥, 약밥, 떡국, 콩국수등 단체급식하기 쉬운 음식이었다. (3) 행사식 사찰의 대소 행사식은 육류사용이 제한되는 외에는 대체로 일반세시식과 같았으며, 일반세속과 다른 점은 산채비빔밥과 음료로서 송차가 준비되는 것이었다. 불전공양식(佛前供養食)은 대부분이 오공양(五供養)으로 하였으며 제사음식은 밥, 탕국, 나물, 전, 떡, 과일, 과자등 일반 세속의 제사음식과 같이 하는 경우가 많았다. 2. 특별식 떡류는 찌는 떡, 치는 떡, 빚는 떡, 지지는 떡의 4종류중 사용빈도로서는 치는 떡이 가장 많았으며, 찌는 떡으로서는 팥시루떡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고물과 속으로 사용되는 부재료로서는 팥, 녹두, 콩이 많았으며, 쑥이 배합된 떡도 있었다. 조과류로서는 약과, 강정(산자), 다식, 정과, 양갱등으로 종류가 매우 다양하였다. 음청류로는 농후음료류, 엽차류, 냉음청류, 약이복식류와 유(乳) 및 유(乳)제품류로 분류하였고, 조과류와 함께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솔잎차와 같은 약한 알콜성음료도 이용되어 여름철에는 약수에 간장이나 죽염을 타서 사찰에 오신 손님을 접대하기도 하였다. 3. 저장식품 승가의 저장식품으로는 장아찌류에는 산채가, 김치류에는 엽경채류가, 말림류에는 산채류가, 부각류에는 산채와 해조류가 많이 사용되었고, 묵말림과 같은 특이한 저장식품이 많이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