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37

        3541.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dustrial Complex in Uls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in the nation. It includes ship building, automobile production, petroleum industry, non-metalic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However, water for drinking and industry use has been and will be short seriously. Thus available drinking water sources were searched. By rebuilding the two existing dams 20m higher than the present levels, $500,000m^3/day$(for 200days) of water sources may be produced. Additional volume of $13,000m^3/day$(for 200days) can be obtained by a number of small dam construction in the vincity area. Underground water of about $50,000m^3/day$ may also be available. The total of $680,000m^3/day$ could be produced in Ulsan area, which is enough for the population of 1,200,000 in Ulsan area even after year 2011. This newly searched volume of water may be free from pollution. Raising the dam levels may also prevent Ulsan city from chronic flooding problems. Additional advantage is that as much as the newly developed water resources can be supplied to the industrial complexes.
        4,000원
        3544.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rthern Kyungbuk around Andong is a mountainous and more or less dry region geomorphogically. Since this area located in the valley was less invaded by foreign countries, the folk traditions have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Also as the center of Confucian culture, this region respects ceremonies and so, the simple and noble ceremonial-foods such as Ddok, Hankwas, and Buchiki have been firmly preserved in many distinguished families. And besides Andong-Soju, many traditional liquors produced in different methods can be found in this region. As Gogi-Sikhae(a fermented beverage utilizing rice and fish) is still preserved in eastern coastal area, Sosikhae(Sikhae without fish) is maintained in this region and furthermore the unique Andong Sikhae developed by modifying Sosikhae is being consumed currently. Since it is difficult to get fish here geographically, the soybean foods were developed for protein intake, for example, various fermented soybean pastes, Andong-Songuksu(a hand-made noodle using raw soybean flour), and Siragiguk(a vegetable soup).
        4,000원
        3545.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일 조사구에 의한 삼림군집구조 조사시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면적을 결정하기 위하여 신갈나무, 졸참나무, 소나무, 굴참나무 등이 혼효하고 있는 덕유산지역 혼효림군집의 교목층을 대상으로 nested design에 의하여 19개의 조사구를 설치한 후 종수-면적 곡선, performance curve등을 적용하였다. 종수-면적 곡선에 있어서 조사구면적의 증가율보다 출현종수의 증가율이 낮은 최소 조사구 면적은 500m2이었으며, 조사구 면적의 증가율에 비하여 출현종수의 증가율이 1/2이하인 최소 조사구 면적은 1,000m2이었다.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 면적 900m2 이상에서 주요 수종의 중요치가 일정한 경향으로 구분되었으며, 조사구 면적 500m2에 인접한 소나무 대 경목을 제외할 경우 조사구 면적 500m2 이상에서 일정한 경향으로 구분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종다양도는 조사구 면적 400m2 이상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 조사구 면적에 대한 유사도지수는 조사구 면적 900m2, 400m2 이상에서 각각 90, 85% 이상의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본 조사지의 경우 혼효율이 비교적 높은 삼림군집임을 고려할 때 삼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단일 조사구의 면적은 일반적인 경우 500m2,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대체로 1,000m2가 적정 최소 면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4,000원
        3546.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덕유산지역 신대휴게소-지봉 계곡부(해발 750~1,247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치ㆍ조사하였다.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교목층 밀도는 감소하는 반면 평균흉고직경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졸참나무, 박달나무 등이었고,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신갈나무, 노린재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층층나무, 들메나무 등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종수, 종다양도, 균재도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55.3~67.1%, 사면부위별 유사도지수는 36.8~71.7%로써 해발고보다 사면부위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하여 cluster 분석한 결과 계곡하부 사면하부의 졸참나무군집, 계곡하부 사면중ㆍ상부의 신갈나무-졸참나무군집. 계곡중ㆍ상부의 신갈나무-활엽수군집, 계곡정부의 신갈나무-철쭉꽃군집으로 구분되었다.
        4,000원
        3547.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덕유산 국립공원 구천동계곡(금포탄-백련사)의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위하여 4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on분석과 ordination 기법의 일종인 DCA및 CCA를 적용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해 서어나무-까치박달 군집,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서어나무 군집, 신갈나무-서어나무 군집, 2개의 참나무류 군집, 2개의 들메나무 군집 등 8개의 집단으로 분리되었다. 양 기법에 의해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 소나무→신갈나무, 졸참나무→서어나무, 까치박달, 들메나무로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 개옻나무→당단풍, 조록싸리, 참회나무, 노린재→고추나무, 병꽃나무 순으로 예측되었다. Classification, ordination, 흉고직경 및 토양환경인자의 분석을 통해 들메나무 군집은 토지극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5,500원
        3548.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덕유산 국립공원내 두문산 부근에 위치한 소택지내 식물생태계의 실태를 분석함으로서 추후 개발행위에 의한 소택지 식생의 변화동태 파악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지역내에 생육하는 식물의 종류는 39과 77속 74종 18변종 및 1 품종 등 총 93 종류가 기록되었다. 소택지내 초본 중에서 10 % 이상의 중요치를 보인 종은 골풀, 산괭이사초, 좁쌀풀, 세모고랭이, 솔방울고랭이, 동의나물, 흰사초, 산거울, 연리갈퀴, 애기나리 등 10 종류였고, 처녀치마, 노루오줌, 꽃마리, 쉽사리, 붓꽃, 일월비비추 등 습지성 초본류가 국소적 또는 전체적으로 흔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본 소택지의 특성은 비교적 습지를 좋아하는 다양한 종류가 소택지 전체에 걸쳐 국소적 우점을 의여 주고 있다. 본 조사지역은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에 있는 자연자원 중에서 매우 희소성을 지니고 있으며 현재 개발행위가 진행되고 있는 점에 비추어 앞으로 적극적인 보전과 관리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3549.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내에 생육하고 있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나아가 식물구계학적 논의와 자원식물의 생태학적 보전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1993년 4월부터 7월까지 3회에 걸쳐 9개 조사구역별로 야외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체 관속식물의 수는 97과 297속 541종류로 확인되었고, 이 중에서 19종류는 인공식재된 수종이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2종류, 희귀식물은 16종류로 나타났다. 덕유산 국립공원내 식물의 구계학적 위치는 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대팻집나무, 비목, 감태나무, 복분자딸기, 주목, 개비자나무 및 구상나무 등의 한국구 대표인자와 온대남부의 공통요소들이 자생하고 있는 전형적인 한국구남부에 속하였다.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을 대표하는 식물요소로는 복수초 군락, 주목 군락, 사스래나무 군락, 원추리류 군락, 흰참꽃나무 군락, 철쭉 군락, 금강애기나리 군락, 뻐꾹나리 군락, 구상나무의 분포사실 및 두문산 일대의 습지군락의 분포와 향적봉 일대의 고산초원 발달 등을 들 수가 있었다. 식물자원적 가치가 높아 과도한 이용압력을 받고 있는 종으로는 천마 외 15종의 약용식물, 복수초 외 7종의 관상식물 및 곰취 외 13종의 식용식물로 나타났는데 앞으로 현지주민의 소득자원으로서 지속가능한 이용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밀한 생태분류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그 결과에 따라 보전대책이 수립되야 하겠다.
        4,500원
        3550.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700원
        3552.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ndividual's eating behavior reflects not only the eating habits of past but also the type of them which characterize the next generation's. A great difference had been observed between western and oriental food lifestyle. By the frequent contacts with each other, however, current oriental food lifestyle is apt to be much westernized. But the food culture of Chosun tribe in Yenbeun, in spite of natural, local, cultural and social demographical factor of change, has been almost preserved in basic convention for 140 years. It can be observed in choice, acceptance and fixation of food that the management of traditional food and eating behavior has been subtained preserving their unique tradition in Chosun tribe.
        4,000원
        3553.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있어서 사일리지용 옥수수(Zea mays L.)는 널리 재배가 되고 있지만 실제로 농가의 포장에서 옥수수의 사초로서 이용에 관한 연구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기도 여주 및 이천에서 1988년에 8개 농가 1989년에 13개 낙농가를 선정하여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재배 실태를 연구 조사하였다. 1988년에 농가생산 옥수수의 암이삭 착생주율은 75.3%. ha당 재식밀도는 75,826주, 암이삭 비율은 38.3% 그리고 수확시 건물률은 2
        4,000원
        3554.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지방(慶北地方)사과원(園)의 사과나무 개식장해(改植障害) 발생여부(發生(與否)와 발생정도(發生程度)를 밝힐 목적(目的)으로 20년이상(年以上) 사과재배(栽培)가 계속되고 있는 23개(個) 사과원(園)의 토양(土壤)을 채취(採取)하여, 토양소독(土壤消毒)에 의(依)한 사과실생묘(實生苗)의 생장(生長)과 개식장해(改植障害)에 관련(關聯)된 것으로 알려진 몇 가지 요인(要因)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사과실생묘(實生苗)의 생장(生長)은 6개(個) 과원(果園)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있었고, 가장 큰 차이(差異)를 나타낸 과원(果園)에서 38% 증가(增加)되었다. 2. 생체중(生體重)에서는 지하부(地下部)가 4개원(個園), 지하부(地下部)가 10개원(個園) 전생체중(全生體重)에서는 9개원(個園)에서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고, 지상부(地上部)에서 토양소독(土壤消毒)에 의(依)한 차이(差異)가 가장 현저(顯著)하였으며, 5개과원(個果園)에서는 50%이상(以上) 증가(增加)되었다. 3. 토양중(土壤中)의 Cu 및 As 농도(濃度), 토양선충수(土壤線蟲數)는 사과실생묘(實生苗)의 생장(生長)과 생체중(生體重)에 뚜렷한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4. 토양(土壤) PH와 개식장해발생간(改植障害發生間)에는 뚜렷한 관계(關係)를 확인(認定)할 수 없었다.
        4,000원
        3556.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추좀나방의 독성시험방법 비교와 지역별 계통의 약제저항성 수준을 조사한 결과, 약제저항성 수준결정을 위한 다섯가지 독성시험 방법비교에서 leaf disc법의 CV가 11.4%로 정밀도가 높았으며 간편하고 처리가 용이한 방법이었다. Topical application법의 CV는 8.0%로 가장 정밀하고 반복성이 높았으나 시간을 요하고 시험조작이 불편한 점이 결점이었으며, insect-direct dipping법(CV=14.9%), leaf disc+insect spray법(CV=17.4%) 및 pot spray법(CV=21.4%)은 비교적 변이계수가 큰 편이었다. 배추좀나방의 지역별 계통에 대하여 topical application법에 의한 약제저항성수준은 치로 감수성계통과 비교한 결과 공주, 김해, 제주 및 인제계통에 대하여 prothifos는 각각 61.1, 5.6, 5.4, 및 3.3배이고, cartap은 33.3, 12.8, 12.3 및 10.5배이며, cypermethrin은 141.7, 37.2, 32.5, 및 7.5배이며, Bacillus thringiensis에 대해 leaf disc법으로 조사한 저항성 수준은 광주, 김해, 제주 및 인제계통에 대하여 8.1, 2.7, 2.3 및 1.9배의 저항성으로 지역이나 약제에 따라 다른 수준의 살충제저항성을 나타냈다
        4,000원
        3557.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dustry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Pusan Kyeung Nam provinces and to suggest the guideline for the effective foodservice management.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ere us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307 dietitians in Pusan Kyeung Nam.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and χ2-test using SPSS-X Pack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61.7% of industry foodservice establishment serviced foods over three times a day and 18.0% of them were less 500 won in the cost of food. 64.5% of the dietitian had less 3 years experiences, and they are not fully performed the effective management in nutrition education, job design and utilization of standardized recipes. Equipped facilities in surveyed foodservice operations were assessed as the insufficient condition, especially, efficient facilities such as a cutting machine were scarcely make up.
        4,600원
        3559.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북 일부 도시지역 고등학교 기숙사에 기거하고 있는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1일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Na, K, Ca및 Fe의 섭취량을 음식물 분석과 식사조사 방법에 의해 평가하고 식염함량과 탄수화물, 단백질 및 혈압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Na의 섭취량은 1일 평균 남학생이 6, 539.59㎎(NaCl로서 16.64g), 여학생이 4, 240.51㎎(NaCl로서 10.79g)이었고, K는 1일 평균 남학생 2, 559.21㎎, 여학생 1, 696.21㎎, Ca는 1일 평균 남학생 549.57㎎, 여학생359.81㎎으로 남학생은 권장량의 68.7%, 여학생은 권장량의 51.4%이었다. 그리고 Fe는 1일 평균 남학생 13.56㎎, 여학생 8.82㎎으로 남학생은 귄장량의 75.3%, 여학생은 권장량의 49.0%이었다 음식물중 NaCl섭취율은 대부분 국 종류에서 섭취하였고, 남학생은 순두부찌개에서 2.03g, 여학생은 감자된장국에서 1.74g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그리고 반찬 중에 끼니 제공되고 비교적 Na함량이 높은 김치에서는 예상외로 1일 평균 남학생 2.18g, 여학생 1.80g을 섭취하고 있었다. NaCl의 섭취량과 탄수화물 및 단백질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탄수화물에서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p<0.001, r=0.6554)를 보였으며, 단백질 섭취에서도 양의 상관관계(p<0.01, r=0.3837)를 나타냈다. NaCl 섭취량과 혈압과는 아무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1일 섭취하는 식사의 NaCl분포는 밥에서 0.90%, 국에서 38.99%, 반찬에서 53.51%, 간식에서 0.6%이었다.
        4,000원
        3560.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북의 일부 도시지역 고등학교 기숙사에 기거하는 남·녀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1990년 8월중에 이들의 영양섭취 실태를 3일간 조사하였다. 에너지 섭취량은 1일 평균 남학생의 경우 2, 246.9㎉ 여학생의 경우1, 584.9㎉로 권장량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 점심, 저녁의 에너지 섭취량은 남학생이 각각 553.5㎉, 683.4㎉, 1, 023.0㎉이었고 여학생이 372.9㎉, 391.8㎉, 820.2㎉로 모두 저녁식사량이 많은 것으로 타나났다 단백질 섭취량은 남학생이 1일 평균 95.3g, 여학생이 62.9g이었고 탄수화물 섭취량은 남학생 368.1g 여학생 259.6g 이었다. 지방 섭취량은 남학생 45.6g, 여학생 32.8g이었다. 총열량 섭취 구성 비율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남학생의 경우에 각각 65.0, 16.8, 18.2%이었고 여학생이 65.5, 15.9, 18.6% 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