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기반의 온라인 교육은 강의실에서 수업하는 면대면 강의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웹을 이용한 학습은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고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상호 보완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온라인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습관리 또는 콘텐츠관리 기능을 제공해주는 학습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학습자들에게 양질의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교사들을 위해 개발된 학습관리시스템 중 하나가 Moodle LMS이다. Moodle LMS는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 누구나 필요한 사람은 소스를 개선, 확장,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Moodle LMS를 활용하여 교수자가 교양 사이버강좌를 쉽게 개설하고 관리․운영할 수 있는 학습관리시스템을 확장하여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확장하면 온라인 게임도 관리․운영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Smart TV 등 다양한 IT 서비스와 접목되면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인터넷 TV 프로그램 녹화 및 송신 서비스와 관련된 저작권법상 문제점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그에 대한 우리법상 적절한 규율 법리와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각국 법원에서 인터넷 TV 프로그램 녹화 및 송신 서비스와 관련하여 문제된 사건들에 대한 판단이 내려지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인 관계로 각국의 규율 법리에 대한 비교∙검토나 그를 기초로 한 우리법상 적절한 규율 기준에 대한 총체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미 관련 기술 및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 비추어, 관련된 법적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타당한 규율 법리와 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실무상으로도 시급하고 현실적인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TV 프로그램 녹화 및 송신 서비스와 관련하여 우선 ① 최근 일본 최고재판소의‘마네키TV 사건’및‘로쿠라쿠 II 사건’판결 내용을 포함하여 미국, 일본, 한국 등 각국의 법원에서 문제되었던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소개하고, ② 해당 판례들의 분석을 통해 각국의 규율 법리에 대해 비교∙검토한 후, 이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③‘저작권 보호와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활성화 사이의 균형을 통한 인류 문화 및 관련 산업발전’이라는 저작권법제도의 근본 취지를 인터넷 TV 프로그램 녹화 및 송신 서비스에 관한 법적 규율이 추구해야할 목적으로 설정하고, 그러한 검토 기준에 따라 입법론을 포함하여 우리법상 적절한 규율 법리와 기준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TV 프로그램 인터넷 녹화 및 송신 서비스뿐 아니라 이와 접목된 클라우드 컴퓨팅, Smart TV 등 관련 기술의 발전 과정에서 이상과 같은 본 논문의 연구 결과가 향후 발생될 수 있는 법적 문제점들의 파악과 해결의 기준이 되어 궁극적으로 인류의 문화 및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최근 산림분야를 통해 탄소배출량을 줄이고자하는 노력으로 신규 및 재조림이 주를 이루던 산림정책 패러다임이 산림전용 및 산림황폐화방지를 통한 탄소배출감축(REDD) 활동에 대한 관심으로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REDD 이행 성과 가시화를 위한 단계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16개 시도단위별 산림환경여건을 분류하고, 국제적으로 주요하게 사용되는 6가지 기저선 접근법을 적용하여 국가단위 REDD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최적 기저선 접근법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으로 HFLD에 대한 탄소배출권 획득량이 낮았으며, 이에 반해 LFMD, LFHD에 대한 획득량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HFLD 지역은 산지전용을 통한 개발이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REDD 이행 기제에 대한 참여 유인이 부족하게 된다. 모든 유형의 산림여건에서 REDD에 대한 참여를 높이기 위한 유인성과 적은 노력으로 많은 양의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실제성이 모두 적절하게 만족스러운 기저선 접근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실제성과 유인성 평가시 Corridor Approach 접근법 선택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국내 적용시 발생하는 이익분배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형 Corridor Approach 접근법을 개발하였다.
과학 기술의 발달은 우리에게 생활의 편리함과 물질적 풍요로움을 안겨주었으나 자연의 무분별한 개발로 환경파괴와 생태계의 위기를 동시에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방법이 제시되었지만, 환경문제는 빠른 시일 내에 단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므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볼 때, 다음 세대를 길러 내는 교육적 접근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인 해결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미래의 주인인 아이들 스스로 에너지 절약과 자연보호에 솔선수범하여 융합적 에코키즈(Eco-Kids) 마인드를 갖게 함으로써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데 책임감을 갖고 환경 보전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독서 습관 형성을 위한 책 읽기 프로그램을 통해 독서 교육을 시행한 결과이다.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가치나 능력은 일방적인 정보전달을 받아들이기만 하는 것과 달리 스스로 이해하고 사색하고 비판하고 창조하는 과정을 거쳐서 길러지는 것이기 때문에 적절한 독서 활동을 통하여 가르치는 것이 더 적합하다. 책과 친해질 수 있는 책 읽기 환경을 조성하여 자신만의 책 읽기 전략을 세우도록 하였다. 또, 책읽기에 관심과 흥미를 느껴 책 읽기에 몰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책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가정 및 지역사회 내에서 책 읽기를 생활화하여 지속적인 책 읽기 습관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학급 아동들이 흥미와 즐거움을 느끼면서 자발적으로 책을 읽는 습관을 형성 할 수 있도록 하며, 독서를 통하여 아동들이 지닌 다양한 능력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했다.
Belleville springs can sustain relatively large loads with small deflections and belleville spring washers are especially suited for high loads in small places. Belleville springs are used singly or in stacks to achieve desired load such as power transmission componen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ign for the belleville spring diameter and thickness to minimize volume of the system. The design is carried out using finding solution in a commercial spreadsheet application software, Microsoft Excel 2007. The numerical results are obtained where the displacement, stress and load in the spring are treated as constraints function.
PURPOSES : Recently, the mechanistic-empirical overlay pavement design program that is linked with Korea Pavement Research Program (KPRP) has been developed. This paper focused on establishing the framework and developing the program for the asphalt overlay design over the existing asphalt concrete pavement. METHODS : The overlay pavement desig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ssess the sensitivity to various pavement conditions, such as the damage level and thickness of existing layers. In addition, the actual overlay design on currently performing pavement was carried out as a practical example. RESULTS : From the sensitiv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hickness and damage level of existing asphalt layer mostly affect the overlay design results. In addition, under the same condition, the overlay pavement would better perform in cold region. From the overlay design with the actual condition, it is noted that the overlay thickness varies depending on the given condition. CONCLUSIONS : Based on various evaluat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overlay desig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reliable and reasonable tool to be used in the actual pavement design.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장애인들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복지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옥상녹화지의 공간, 시설 및 식재식물,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대상지는 세 지역으로 전원형태의 복지관인 남양주 장애인복지관, 도심형의 서울 장애인복지관, 전원과 도심의 중간형태를 띠고 있는 시흥 장애인복지관을 선정하여 대상지별 특성에 따른 선호도 차이에 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지역 모두 50%이상이 복지관내 옥상녹화지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용목적으로는 산책과 대화의 장소로서 옥상을 활용하고 있었다. 시설물 선호도는 세 지역에서 벤치, 파고라, 휴지통 등 휴게시설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식재식물은 허브식물, 관상수 등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을 선호하고 있었다. 공간선호도의 경우 텃밭, 체험실습장, 생태습지 등 원예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자연체험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는 휴식공간과 함께 장애인들의 자연학습공간으로서 충분히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선호 프로그램의 경우 자연체험프로그램(28.9%)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원예프로그램(27.0%) 순으로 나타나 옥상에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를 단순 휴게의 공간 뿐 아니라 장애인들의 자연체험, 원예치료공간으로서 치유기능을 부각시킬 수 있는 녹화구성요소의 차별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topic related skin symptoms must be controlled continually. Because it is involved with food, eating behavi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applying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ur research attempt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uch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atopic dermatitis-related snacking behaviors, eating attitudes, and food behaviors. Subjects wer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A 6-week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to 97 children as the educated group and another 94 children were included in the study as the control group.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s results, eating attitudes reached significant improvement by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p<0.05). In a paired t-te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educated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nacking behaviors, the two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except for some considering factor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two groups aft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except the snacking place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group. However, in the educated group, the types of snacks made by mothers increased 17.5% from 40.2% to 57.7%, and in-house as snacking place increased 13.4% from 68% to 81.4%. In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 showed some effect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foundation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afterward to increase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policy related to atopic dermatitis.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고 코칭관련 지식과 기법을 익힐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긍정적 신념과 가치관을 형성하고 자신의 학습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 내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절차는 먼저, 국내외 자기주도학습 관련 문헌 및 코칭프로그램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본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의 목표, 자기주도학습의 개념, 구성요소의 설정 및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의 개요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회기․2회기․3회기․4회기의 구성요인은 동기적 측면이고 5․6회기의 구성요인은 인지적측면이고, 7․8회기의 구성요인은 행동적 측면이다. 1․2․3․4회기의 하위요인은 자아개념, 내적가치, 목표설정, 개방성이고, 5․6회기의 하위요인은 문제해결력, 창의성이다. 그리고 7․8회기의 하위요인은 자율성, 자기평가이다. 1회기의 주제는 자아효능감, 2회기의 주제는 내적가치, 3회기의 주제는 목표설정이다. 4회기의 주제는 자신감 향상 5회기주제는 주의집중력 향상, 6회기의 주제는 학습전략 7회기의 주제는 시간관리, 8회기의 주제는 내면다스리기이다.
1974년 Robert Martinson의 “Nothing Works" 주장 이후, 범죄학에서는 교정프로그램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팽배했으나, 메타분석과 같은 통계학적 지식이 활용되면서 과학적인 ”근거-중심 교정 (Evidence-Based Correction)”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즉, 교정프로그램 논쟁이 부정적인 비판보다는 가치중립적인 ”What Works"의 문제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정시설 출소자 30,224명의 데이터를 약 5년 동안 역추적 하여 그들의 재복역률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교정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라미시스템 자료를 SPSS 통계 프로그램에서 재 코딩하는 절차를 통해 교정프로그램을 (1)교도작업(교도작업 유무, 작업 장려금),(2)직업훈련?교육(직업훈련, 교과교육 등), (3)종교?상담(세례 등, 교화위원, 상담),(4)의료서비스(의무관처방, 자비약품 구매),(5)외부접촉(귀휴, 화상접견, 체험 및 견학, 가족의 날 또는 가족의 집, 우편 수신?발신)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출소 이후 약 5년 이내 재복역률은 전체의 43.5%(13,137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재범률은 전체의 45.7%인 반면, 여성은 전체의 18.6%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범 발생 다중회귀 분석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징(연령, 성별, 전과)과 범죄유형이 재범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정프로그램에서는 다른 요인들을 모두 통제했을 때, 작업 장려금, 자비약품 구매, 외부접촉(귀휴, 화상접견, 체험 및 견학, 가족만남, 우편 수신?발신)이 유의미하게 재범을 증가시키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분석 결과의 정책적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자기격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격려를 통하여 아동기의 발달과 적응뿐만 아니라 가정 및 사회환경으로부터 오는 다양한 어려움을 잘 극복하여 긍정적 자기개념을 형성하며, 청소년기를 앞두고 자기정체성을 긍정적으로 확립할 수 있도록 아동이 자기 성장을 스스로 주도함으로서 자긍심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격려의 구성요인을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존중, 자기칭찬, 자기표현, 자기확신의 6가지로 설정하여 프로그램의 개발준거로 사용하였으며,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머리형, 가슴형, 배형 중심에너지를 가진 세 집단의 다문화가정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10회의 프로그램을 주 2회로 5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머리형 중심에너지, 가슴형 중심에너지, 배형 중심에너지를 가진 각각의 다문화가정아동이 자기격려프로그램의 효과에서 프로그램 적용 전의 자기격려 평균보다 프로그램 적용 후의 자기격려 평균이 높게 나타나 각 중심에너지별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격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학습코칭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학습코칭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실행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현재 학습코칭 프로그램은 대부분 자기주도 학습의 세 영역인 동기영역, 인지영역, 행동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학습코칭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방향은 다음과 같다. 아동의 성격, 학습태도 등 아동의 특성을 적용한 학습코칭프로그램과 코칭 모델과 코칭기술을 적용한 학습코칭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우수아, 학습정상아, 학습부진아 등 학습자의 학습능력수준에 따른 학습코칭 프로그램과 학년, 성별 등에 따른 프로그램 또는 다문화, 새터민 등이나 특정한 장애를 지닌 집단 등에 따른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자신감, 내재적 동기와 자기이해, 꿈과 목표설정에 탁월한 NLP기법을 학습코칭프로그램에 적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숲속에서의 태교활동이 임산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험자로는 과거 병력이 없는 51명의 임산부(28±3.0세)가 참가하였다. 실험 참가 전날 도시환경에서의 심리적·생리적 변화를 측정하였으며1박 2일의 숲태교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도시환경에서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측정이 이루어졌다. 심리지표로서BDHI(공격성 척도), BHOP(무망감 척도), STAI-X-1(상태불안 척도), DIS(역기능성 행동척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생리지표로서는 심박변동성과 코티솔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박 2일의 숲태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임산부들의공격성과 불안감이 감소되고 부정적인 사고가 감소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증진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숲속에서의 태교활동이 산모의 임신 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요즘 우리나라에는 자살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있다. 2010년 이후 인구 10만 명당 40명꼴로 자살이 늘어나 1년에 15,000여 명이 희생되고 있다. 34분마다 1명씩, 하루에 42.6명이 자살하는 셈이다. 특히 더 심각한 사실은 자살의 증가율이 10-14세에서 3배, 65세 이상에서는 2.5배의 가파른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점이다. 이렇게 아동과 노인이라는 취약 계층에서 자살 증가율이 높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해결책 마련이 그만큼 더 시급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2011년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중앙자살예방센터도 설립되었다. 이로써 국가차원에서 지원하는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자살예방에 대한 효율적인 성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향상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가정, 학교, 지역사회, 지역보건의료체계 등의 공동체가 연대하여 노력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심신통합치유보건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과제임을 인식하고, 자기관찰ㆍ자기이해ㆍ자기변화ㆍ자기성장이 기대되는 심신통합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지역사회의 ‘행복나눔 실천학교’에서 실시함으로써 자살예방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실험결과를 얻게 되었다.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per performance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results of industrial R&D program. We define R&D results include output, transfer, outcome, and impact in the performance of R&D program. Performance indic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