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06

        1365.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eneficial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on emotional changes in young children who are exposed to smartphones in daily lif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41 children aged five and six years at a kindergarten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a five-month forest experience program, conducted twice a week. Before beginning the study, its purpose and procedure were explained to the children's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after which written content wa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five-month experience, questionnaires about smartphone use and emotional conditions were administered through the pare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amely average-use and high-use groups, depending on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ore. It was found that negative psychological subscales such as anxiety, impulse, and depression decreased following the five-month forest experience in both groups. Positive psychological attitudes such as sociability and crea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forest experience. The high-use group showed a wider range of positive changes compared to the average-use group. Accordingly, forest experienc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solution for smartphone addiction problems among young children.
        1366.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법무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조기적응 프로그램의 추진 배경 및 운영 실태와 문 제점을 파악하여 조기적응 프로그램의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기적응 프로그램 참가시간 및 교육 내용 등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에서는 총 51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설문지 내용을 토대로 한 심층면접은 학생 8명, 현장 전문가 5명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조기적응 프로그 램의 대상이 초․중․고등학생으로 함께 참여하고 있는데 아이들의 이해 수준과 집중도 차 이의 어려움, 법과 제도 및 질서에 대한 교재 내용 이해의 어려움, 한국 사회 정보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의 어려움, 교육 내용을 이수하기에 너무 많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시간 의 부족함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발전 방안으로는 초․중․고등 분리교육 진행과 만화나 그림으로 이해하기 쉬운 교재개발의 필요성, 현장에 나가서 진행하는 현장체험학습과 같은 프로그램 추가, 한국인 및 본국 선배들의 멘토링 프 로그램 실시, 교육부 차원에서 지원해주는 조기적응 프로그램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연계과 정의 필요성 등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한국 사회에서 범죄를 예방하고 사회생활과 학교생 활, 직장 생활을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적응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 고 있다.
        1367.
        2016.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TV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무도 어린이집’ 편을 통해 바라본 보육교사의 직업적 가치 분석에 있다. 방영된 프로그램을 통해 보육교사가 하루 일과 동안 어떤 업무를 하는지, 또 그 업무는 어떤 직업적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보육교사는 ‘교사’라는 하나의 역할 뿐 아니라 수많은 역할 을 소화해 내고 있었으며, 이는 단순히 직업으로서의 역할이 아닌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과 이에 깃든 정 성을 통한 역할이기에 그들이 갖는 직업적 가치는 어떠한 직업적 가치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1368.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was to create and practically apply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PSTP) for rhythmic gymnasts. Methods: Four rhythmic gymnasts aged ten to fifteen who are members of Korea Gymnastics Association and Office of Education in ‘G’ c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 2014. They participated in PSTP for six months. Program effectiveness was exam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CSAI-2, psychological skills, and self-management, list of competition result,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selected program was applied to each rhythmic gymnasts through supplementation sequence after practical skill training that reflected personal psychological skills level and characteristics. Result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nine specific psychological skills methods consisted of goal setting, breathing and relaxation, positive imagery, self-management, cognitive restructuring, self-confidence, performance routine, psychological counselling, and integrated performance routine were applied to the research participations. As they participated in PSTP, the following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s were found to the research participant. First, participants’ competitive state anxiety was reduced. Second, participants’ psychological skills was improved. Third, participants’ self-management was enhanced. Fourth, participants’ performance was improved. Conclusion: PSTP was evaluated as an effective training program that helps rhythmic gymnasts’ psychological steadines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more rhythmic gymnasts are trained using PSTP to improve their mental strongness, so that they perform their best athletic skills and talents in their competition.
        1369.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which has the educational ele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applied to the primary school aged children.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HAP), 31 children aged 8-10 years from J child community center in S city was set to test. 16 children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children who were not participated for the HAP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40 minutes each time, once a week, from May ~ July/2016. To measure the creativity of children with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Kim’s (2004) creative personality test was used. Before proceeding the HAP, homogeneity test was carried out for creative personality to two different group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are in homogeneity 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t could be found that the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HAP has improvement of creative personality in average with 9 times of program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positive effect to enhanc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when creative personality was divided into 8 sub factors; patience/obsession, self conviction, humor, curiosity, imagination, openness, adventure and independence. All of 8 factors were improved in average. On the other hands, the control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for all factors except humor. Therefore,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which has the educational ele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applied has the positive effects to the children’s patience/obsession, self conviction, humor, curiosity, imagination, openness, adventure and independence.
        1370.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indoor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relaxation - cognitive behavior - social support’ strategy on quality of life, stress and serotonin of woman cancer patients. Subjects were 18 female cancer patients. Experimental group of 9 members receiv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nd control group of 9 members did not receive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total 8 times.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9. Nov. to 28. Dec. in 2015. As a result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made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otional condition among sub-category of quality of life, nervousness, depression and frustration among sub-category of stress. Also the program decreased the total stress score with significant increased level of serotonin comparing to control group. This result means that depression mood in cancer patients was improved. In summary,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cused on indoor activities based on ‘Relaxation-social support-cognitive behavioral’ strategy could be utilized as supporting program for psychological health for cancer survivors.
        1371.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DS 인성교육 인증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인성지수와 자아정체 감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프로그램은 Lee et al(2015)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DS인성교육 인증 프로그램지침서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 구성은 총 6회기 이며, 매 회기는 2시간으로 진행되도록 구성하였다. DS 인성교육 인증 프로그램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중간에 누락된 대상을 제외한 실험집단 80명, 통제집단 72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 였고, 인성지수, 자아정체감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간 공변량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사전, 사후 검사에서 DS인성교육인증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은 통제집단에 비해 인성지수의 사회성, 도덕성, 감성세가지 차원과 각각에 해당하는 하위요인 인 배려/봉사, 정직/정의, 책임, 윤리(어른공경), 긍정적 자기이해, 자기조절 모두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자아정체감 전체점수와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 정체감 유예, 정체감 혼미 모두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DS인성교육인증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인성, 자아정 체감 향상에 전반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72.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역할놀이 중심 집단상 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H 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의 60명이며, 2학기 프로그램 참가가 가능한 학급의 30명 학생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의 30명 학생을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안 하였으며, 주 2회 70분씩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대인관계능력 검사자료를 혼합변량분석 (Mixed ANOVA)으로 처리하고, 추가적으로 참가자의 경험 보고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 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역할놀이 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 요인인 처음 관계 맺기,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하기, 자기노출, 정서 적인 지지나 조언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137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온게임넷에서 방영한 “켠김에 왕까지”를 분석한다. “켠김 에 왕까지”는 게스트가 게임을 시작한 후, 특정 게임을 끝내거나 미션을 임무하는 게임 프로그 램이다. 다른 게임 프로그램들과는 다르게, 대부분의 게스트들은 전문적인 게이머가 아닌 점을 통해 희극적인 도전과 유희를 보여 준다. 본 연구는 이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비디오 게임의 다 양한 구성 요소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구성 요소들은 장르, 플랫폼, 국적, 클리어(완수) 시간 으로 분류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분석할 뿐만 아니라, 게 임 프로그램에 대한 청사진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