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 경북지역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냉장, 냉동유통 제품인 어육류와 냉동가공제품의 유통단계를 분석하고, 유통과정에서의 미생물 변화와 학교급식에 이용되는 식재료의 미생물 품질 평가를 위하여 실시되었다.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가공업체에서 학교로 냉동차량을 이용하여 직배송 되었으나 다른 어육류와 냉동가공제품들은 농산물과 함께 직납업체를 거쳐 냉장()으로 혼재 배송되고 있었다. 학교 도착 후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수는 각각 절단생선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ppropriate criterium for proper sound insulation service preventing school classrooms from aircraft noise. The guideline of noise level for school facility by Korean school health law is less than Leq 55 which is less stringent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many students are annoyed and disturbed for their works when they are exposed to the noise level over Leq 55. It is desirable to modify this guideline of indoor noise level for school classroom. The noise level of classroom of which windows are opened was measured relatively high in case the school is located at the outside of the official area damaged by aircraft noise.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aircraft noise on the school classrooms in the vicinity of domestic airpor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esent criteria of WECPNL 75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rea damaged by aircraft noise from WECPNL 70.
이 연구는 체육수업의 개선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을 조사, 분석하여 효과적인 체육수업을 위한 교육환경 조성의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교육과학기술부 제정 고시 기준량 보유율에 비해 체육시설 6개영역과 교구 7개 영역에서 시군지역 각각 67.86%, 77.38%로 모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통 스포츠 종목인 축구, 농구, 배구의 야외시설은 대부분 완비된 반면, 보유량이 늘어가는 추세의 실내 다목적 체육관을 비롯한 샤워장, 탈의실, 수영장의 시설은 매우 부족하였다. 전체적으로 시설보다는 교구의 보유율이 낮았으며, 시도의 지정 종목의 교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학교에 배정된 체육예산의 경우 전체 예산의 5%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었으며, 특히 체육예산 중에서도 시도의 지정 종목 외에 다수의 일반 학생들의 정상적인 체육수업을 위한 체육시설 및 교구의 확충에 배정된 예산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확보의 경우 일본과 같이 공채발행이나 스포츠복권법을 통한 재원 충당 등의 공적재원 확보를 위한 방안이 검토될 필요가 있으며, 체육관과 수영장 같은 고 비용의 투입이 요구되는 시설의 확충은 학교 부지 내에 일반 영리 사업체나 기업의 자본과 같은 민간자본을 유치하여, 학교 관리자에게 기부채납토록 한 후 일정한 기간 동안 사용허가를 통하여 기부 체납자가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국가의 국민 체육진흥공단이나 시군의 지방자치단체가 체육재정의 일부를 지원하여 건립 후 공유․운영하는 방안, 확충이 아닌 활용의 측면에서 인근 지역의 공공 및 민간시설의 이용 방안, 시설복합화 사업을 통해 부지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체육장의 지하층 개발이 대안으로 모색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학교 음악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청각 인지 능력의 중요성과 그 신장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린이에게 음악 외적인 이미지 관련 모방이나 기술 습득 위주의 교육이 아닌 학생 스스로 음악을 대할 때 의미를 느끼고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청각 인지 능력의 습득은 현 초등 음악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안 계획 시 Edwin.E.Gordon(이하 Gordon)의 기능학습연계를 축으로 하여 수업 연계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고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수업 연계 계획을 정리하여 몇 개 제재곡의 차시별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수업 자체가 청각적 능력을 신장하는 지도 방안인 만큼 수업 방법에 있어 중요하게 언급된 수업 원리도 함께 제시한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발명 관련 독서 활동이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창의력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독서 지도에 대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S시 H 초등학교 3학년 학생 6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통합 창의성 검사지로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은 발명 관련 독서 활동을, 통제집단은 자유 재량 활동을 실시하여 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서 창의적 능력 하위 요소 중 유창성과 창의적 성격의 하위 요소 중 호기심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남․여 학생 성별에 따른 창의적 능력 변화에서 남학생은 전체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창의적 능력의 하위 요소 중 유창성과 융통성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발명 관련 독서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면, 학생들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일정 부문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는 경남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검사(TAI-K)를 실시하여 점수가 평균보다 1 표준편차 높은 학생들 중 집단상담에 참가하기를 원하는 학생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2회, 총 10회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TAI-K로 김문주(1991)가 TAI를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개발한 초등학생용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하였으며 양적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회기별 경험 보고서와 상담일지를 통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시험불안 감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험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내용 분석 결과 실험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볼 때,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험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새로운 학교회계제도는 단위학교 구성원들이 예산편성과정에서부터 결산에 이르기까지 학교회계 운영 전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학교 실정에 맞는 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해 나갈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신임교사들의 경우, 교직 초기경험이 교직생활 전반을 좌우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단위학교 구성원들의 참여를 강조하는 학교회계제도 운영에 있어 이들이 어느 정도로 참여하고 있는지에 따라 향후 학교회계제도 운영과정에의 참여가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학교회계제도 운영 과정에서 신임교사들의 인식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회계제도의 구체적 내용, 학교회계제도 운영과정의 개방성, 학교회계제도 운영 과정의 합리성의 세 영역에 대해 160여 명의 초·중등 신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회계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학교회계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았다.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교회계 운영 과정의 개방성과 합리성에 대해서는 높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인식 수준은 높은 편은 아니었다. 학교회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교회계 운영 과정에 신임교사들의 적극적 참여 유도 및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기회 및 학교회계 의사소통 기회 확대, 학교운영위원회의 적극적인 역할 제고 등 단위학교 차원의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을 비교함으로써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이 문화적으로 독특성을 갖는가와 양국 아동의 신체활동 참여가 그들의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의 G시와 C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414명과 미국의 North Carolina 주의 G 시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아동 282명 총 69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요인과 신체활동에 따른 스트레스를 비교한 결과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은 ‘공부관련 스트레스’, ‘놀이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운동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 아동의 경우 ‘놀이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공부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나 한국아동과는 다른 순을 보였으며 이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양호하게 확인되었다. 신체활동과 관련하여서는 한국 아동의 경우 신체활동참여 시간이 스트레스 수준의 완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 아동은 모두 신체활동참여 빈도와 시간 및 기간이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을 완화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 5차, 제 6차 및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11종류의 초,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용된 식물은 129과 332속 383종 2아종, 47변종 6품종, 3잡종으로 총 44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본은 280종류(63.5%), 목본은 161종류(36.5%)였으며, 자생종과 외래종은 각각 241종류(54.6%)와 200종류(45.4%)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5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벼과가 2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인용된 441분류군에는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 25분류군, 멸종위기식물 1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83종류와 16종류의 귀화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85종류(41.9%)로 가장 많았으며, 약용 148종류(33.5%), 관상용 139종류(31.5%), 목초용 87종류(19.7%), 목재용 34분류군(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과교육에 있어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중요하다. 음악교육에 있어서도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데, 특히 초등학교 음악과 교사용 지도서는 현장의 교사들이 일차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교수․학습 자료로 그 영향력은 매우 크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M. Mosston의 스펙트럼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음악 교수․학습 방법의 통합적 모델로 개발된 음악 교수․학습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3-6학년 음악과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학습 방법이 분석되었다. 음악 교수․학습 스펙트럼은 완전한 교사 중심의 스타일에서부터 완전한 학습자 중심의 스타일에 이르기까지 그 사이에는 하나의 스펙트럼처럼 10가지 교수 스타일이 연속성을 이루고 있다. 음악 교수․학습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지도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문제점으로는 1) 지도서의 수업 예시가 1-2가지의 교수 스타일에 집중된 것, 2) 지도서의 수업 예시가 교사 중심의 교수 스타일에 집중된 것, 3) 지도서 집필의 의도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한 것, 4) 개인차가 고려된 수준별, 흥미별 음악 활동이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발견형 음악 수업이 부족한 것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 방안으로는 1) 제재곡 중심의 음악수업에서 다양한 음악수업으로의 변화, 2) 다양한 수업의 흐름 예시, 3) 교수 스타일의 선택적 예시, 4) 발견학습 수업에 관한 체계적 연구, 5) 언어적․활동적 서술의 상세화가 제안되었다.
직업 세계의 변화에 발맞추어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변화가 요구되는 가운데 C 공업고등학교의 현재와 미래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운영상 문제점 도출, 도내 우수중학생 유치 방안 마련, 졸업 후 양질의 취업과 진학 향상을 위한 요구 분석 및 방향 모색, 현재 진행 중인 생산자동화 분야 특성화 운영에 학교 구성원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C 공업고등학교 교육의 현재와 미래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결과를 SWOT분석을 하고 그 결과를 Pay off -Matrix 통해 도출된 결과는 우선순위로 결정된 단기 방안 18개와 중․장기 발전 방안 1개이다. 이 중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개선 방안은 ‘기계․금속 계열의 차별화 교육과정 개편’이었으며, 중․장기 발전 방안으로는 ‘지역 주민의 학교 이미지 제고를 위해 평생학습 교육장 운영을 할 수 있는 제반 여건 조성’으로 나왔다.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육적 상황이나, 교육 그 자체보다 외국의 연구나 국제적인 권고에 토대를 두고 있다. 따라서 교육에 기초하고,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에 적합한 학교환경교육 목적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홍우와 장상호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학교환경교육 목적을 고찰해 보았으며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홍우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도출된 학교환경교육 목적은 “환경교과의 지식을 깊이 있게 이해하여 세상을 환경적인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교육”으로, 장상호의 교육관에 의해서는 “환경과 관련된 주제중심 교육방법으로 환경교육계에서 스승과 제자가 상호 협력하는 과정을 통해서 각자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이 목적들을 Engleson이 1994년에 제시한 학년별 환경교육의 주요 강조점과 조성화.최돈형(2008)의 연구 등에 비추어서 시사점과 의의를 조명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대기 중의 수증기’ 단원에 대한 멀티미디어 교수자료 개발과 과학 관련 태도 및 학습 동기에 관한 효과 및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질집단 사전사후 검사로 본 연구를 설계하였다. 5가지 주제의 실험으로 동영상자료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6차시에 걸쳐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수업 이후, 멀티미디어 교수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에서 과학 관련 태도, 과학 학습 동기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다른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지구과학의 개념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일정기간의 지속적인 학습프로그램 경험을 통해 그들의 가설지식 생성능력과 설명경향이 생물학자와 비교하여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규명해 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남부권 소재 과학고등학교 학생 14명과 생물학자 7인을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경우, 7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은 12주에 걸쳐 주 1회씩 생물학 가설에 관련된 지식생성형 학습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지식수용형 학습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하였다. 학습의 전과 후에 미리 제작된 생명현상에 관한 측정과제로 생성한 가설에 대한 설명경향과 가설생성능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변화 없이 설명대상을 분할하지 않고 가설을 생성하며, 2) 실험집단의 경우 사후에는 다차원적 설명자를 사용하는 변화를 보이나 비교집단은 그렇지 못했다. 3) 또한 실험집단은 사후에 현상적 설명자 뿐만 아니라 생물학자들처럼 이론적 설명자를 사용하는 빈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 설명자의 유사도 역시 증가된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지식생성형 학습프로그램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가설설명경향이 과학자와 유사한 형태로 변화되어갈 수 있고, 지식수용형 학습의 경험만으로는 학생들의 가설설명경향 및 가설생성능력의 변화를 유도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서 개발된 용해, 빛, 전기 단원의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이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연구 대상자들은 초등학생 204명과 중학생 155명이었다. 이들 중에서 초등학생 8명과 중학생 4명, 초등교사 5명과 중학교 과학교사 3명을 선발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실험을 통한 현상의 관찰을 강조한 반면, 중학교에서는 공식이나 그래프 등을 도입한 계산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하는 개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들은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용해, 빛, 전기 단원에 관련된 내용을 지속적으로 배움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학생들의 성취도가 초등학생들의 성취도보다 높지 않았다. 그리고 중학생들은 과학 내용이 학년이 올라가면서 반복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선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내용의 심화 확장이 부족하며, 특히 내용 제시 방법이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에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과학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하고 교사들은 이를 가르치기 어려워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따라서 과학교육과정 안에서 과학 개념을 적절히 연계하기 위한 연구와 7차 과학교육과정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인 D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인 Y고등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 과학실험수업 분석, 과학/과학실험에 대한 학생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수업을 관찰․분석하고, 수업을 담당한 교사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두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및 과학실험활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두 학교의 과학실험수업을 분석한 결과, D고등학교에서는 Y고등학교보다 수업시 학생들의 의견에 좀 더 수용적인 반면, 실험활동의 전 단계를 교사 주도로 이끌어가는 측면에서 일반학교 보다 교사의존적인 수업분위기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살아가면서 과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와 과학을 신뢰하는 정도가 Y고등학교가 D고등학교보다 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실험활동에 대한 태도 분석 결과, 두 학교 학생들 모두 과학실험과 같은 탐구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여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이 학교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고,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적응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학교적응에 있어 대인관계 및 학교수업 적응을 위해 보다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학교규칙에는 잘 적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대인관계 및 학교수업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잠정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이론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한 다음, 그 타당성을 확인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변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요구에 시의적절할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학교 경제교육평가의 목적, 내용, 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교수․학습 과정에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은 평가 문항의 개발을 통해서이다. 이렇게 개발된 평가 문항에 대한 현장 적용은 개발된 평가 문항의 적합성 및 실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매우 중요한 절차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교육평가를 위하여 8개 예시 수행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 적용을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타당도, 신뢰도, 실생활 맥락성, 실용도의 4가지 구비 요건을 분석 준거로 하여 초등 수준에 해당하는 4개 예시 수행평가 문항과 중등 수준에 해당하는 4개 예시 수행평가 문항 각각의 적합성을 분석하여, 각 문항이 지니는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농산어촌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학교체제 재구조화 방안을 다각도로 탐색하고자 한다. 인구의 도시 집중과 농산어촌 가임 인구의 감소에 따라 농산어촌 학교가 폐교되고 있는 등 도농간 교육 격차가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제 농산어촌 교육을 활성화하여 국민적 위화감을 해소하고 국토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한 노력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 인식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소규모 학교 통폐합의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농산어촌 교육 발전을 위한 정책 대안을 모색한다. 대다수의 교육정책 입안자들은 열악한 교육환경에서의 통폐합은 피할 수 없는 사회적 현상이며, 학생 인구가 급격히 감소된 지역의 소규모 학교가 재정의 낭비를 초래하고 운영과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는 이유로 주변 인접 학교로 통폐합시키는 일에 문제 해결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학교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무리하게 통폐합이 추진되다보니 지역 주민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히는 경우까지 나타나게 되었다. 더구나 교육수요자의 교육선택권 보장을 위한 정책이 다양하게 강구되고 있는 선진국의 동향을 감안한다면 통폐합 정책은 다양한 변인들이 고려되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농산어촌 학교체제 재구조화의 방안으로 기존 학교체제를 횡적으로 재구조화하는 방안과 통합운영학교를 통한 종적 차원의 재구조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학교체제를 재구조화하는 방안으로 거점학교 육성, 연중무휴학교 운영, 지속적인 지원체제를 들 수 있고, 통합운영학교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인적, 물적, 행․재정적 통합이 우선되어야 한다.
농산어촌 교육이 활성화되려면 학교 내적으로는 교육과정 운영의 질을 높여야 할 뿐 아니라 시설 등 교육환경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제도적으로는 학제의 개편과 교사자격 체제의 개편이 필수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이런 제도적인 보완이 전제가 된다면 지역의 교육인프라를 결집하여 집적의 효과를 꾀하려는 거점학교나 학제의 수직적인 통합을 통해 학교체제를 재구조화하려는 통합운영학교도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의 교육역량을 향상시키는 획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가 아동과의 상호작용 중에 보여준 행동과 태도를 아동이 지각한 바에 따라서 아동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 여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생 300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교사행동과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검사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행동은 아동의 전체 학교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사의 긍정적인 피드백 제공과 지시적 행동, 학생에 대한 기대와 학업 기회 및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지의 여부가 아동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