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교육기관 증가에 따른 교육기관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작업치료(학)과 교수 및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작업치료(학)과에 재직 중인 교수 26명과 3, 4학년 재학 중인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한국작업치료교육인증위원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기초로 20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분석은 기술통계량인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각 문항별 인식정도를 알아보았다.결과 : 인증제도의 필요성 여부에 교수는 88,5%, 학생은 90% 찬성하였고, 인증제가 도입될 경우 평가를 희망한다는 의견이 교수는 84.6%, 학생은 94.7%로 높게 나타났다.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여부도 교수는 73.1%, 학생은 77.6%로 신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표준화된 교과과정 수립 필요여부는 교수는 100%, 학생은 99.4%가 필요하다는 답변을 하였다. 인증제 도입시 포함되어야 할 항목으로 상위 5개 항목으로 교수는 전공관련 교수수, 교과목의 학습내용, 교수의 임상경험 유무, 교과목 종류, 평가도구의 종류 순이었고, 학생은 교과목의 학습내용, 교수의 임상경험 유무, 교과목 종류, 전공관련교수수, 실습도구 순으로 나타났다.결론 : 본 연구결과 작업치료(학)과 교수 및 학생들 모두 교육기관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이 매우 필요하다는 의견에 동의하였고, 한국 작업치료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제도의 표준화가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목적 : 본 연구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작업치료 임상 실습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임상 실습의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는 2004년 졸업예정자가 있는 11개의 대학(교) 중 2학기에 임상 실습을 실시하는 2개 대학(교)을 제외한 9개의 대학(교)(4년제 2개 학교, 3년제 7개 학교)의 작업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250부 발송하여 213부 회수되었다. 조사기간은 2003년 10월 5일부터 11월 31까지였다. 분석은 회수된 설문 213부 중 202부를 가지고 카이제곱검정을 사용하였다.결과 : 실습기관의 적합성을 포함한 실습환경에 관한 내용에서 응답자의 89.6%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정비와 지도 체계, 실습생 이용 시설과 설비에 대해 응답자의 20 ∼30% 정도가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항목에서 80.3%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85%가 임상 실습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을 획득하였으나 51%는 임상 실습 중에 갈등을 느낀 적이 있다고 하였다.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작업 치료학생들의 임상 실습이 좀더 체계화된 구조로 이루어져야 야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작업 치료는 임상학문이므로 임상 실습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향후 임상 실습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적 :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는 손의 기능, 즉 조작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손의 기능을 검사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한 검사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성, 연령, 우세한 손)과 신체적인 특성(앉은키, 몸무게)에 따른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의 정상아동 표준치를 제시하여서, 아동 치료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에 다니는 남학생 85명(45.2%), 여학생 103명(54.8%)으로 전체 188명이였다. 자료는 8세에서 13세까지 6집단으로 나누고, 평균, 표준편차, 백분위 점수로 나타내었다.결과 :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 평균값은 성별, 연령, 우세손에 따라 계산되었다(남자: 80.15, 여자: 75.68). 성별에 따라 점수를 비교했을 때, 남자 학생들의 점수가 왼손, 오른손 손 검사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결론 : 본
본 연구의 목적은 '날씨와 기후' 단원에 대한 수업 후, 수업방법(설명식 수업과 발견식 수업)과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학업파지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에 있는 남자고등학교의 1학년 185명과 남여공학고등학교의 1학년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학생들 중 남자고등학교의 92명과 남여공학고등학교의 95명을 설명식수업집단으로, 그리고 남자고등학교의 93명과 남여공학고등학교의 94명을 발견식 수업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학생들은 그들의 인지양식에 따라 장 독립적 학습자, 중간적 학습자, 장 의존적 학습자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구과학 학습내용의 수업 3주일 후 학업파지검사에서 발견식 수업방법이 설명식 수업방법에 비해 이해와 적용영역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영역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업파지검사에서 장 독립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들이 장 의존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들에 비해 이해와 적용영역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파지검사에서 수업방법과 학습자의 인지양식 간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among Korean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s,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and the learning of new English words in 6th grade children. The children were tested i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nd naming speed tasks, as well as English vocabulary and paired-associate learning of Korean-English word pairs. Most task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nglish vocabulary and paired-associate learning. In regression analyses, phonological awareness, short-term memory, and naming speed significantly predicted English vocabulary; and English vocabulary and naming speed predicted paired-associate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phonological awareness, naming speed, and short-term memory are associated with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and learning. These findings support the transfer of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s across second languages.
The factors of obesity related with food habits were assess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nutrition education databa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4 primary school children in Busan.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normal and obese groups(mildly obese, moderately obese and severely obese) by obesity index. In self-recognition of body image, only 28.6% of MI group considered themselves as 'overweight or obese'. 87.2% of the subjects controlled their weight method with exercise. With regard to meal speed, 64.5% of the subjects ate fast(≤15 min.). The study also found that 79.8% of the subjects ate breakfast, 56.4% of the subjects them were moderate by obese, 40.8% of the subjects ate snacks after dinner. Eating speed, meal volume and snacks money per da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obesity. Preference for eating out was Korean Chinese, Western and Japanese food, in order. Favorite food for snack, such as ddukbokki, fruits, milk. fried foods and candy and caram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obesity(p〈0.05). However hamberger, pizza and chocol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obesity. The most preference snack for all the subjects were fruits and ice cream. In food preference, potato, dduk, meats, fishes, cheese, milk, ice crea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obesity. The distasteful food for subjects were patbab, vegetables, shellfishes and salt-fermented foods. From above results, obesity of children was related to meal speed, meal volume and snacks motley per day.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and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to change food habits art necessary to avoid child obesity.
교사들이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신념을 형성하려면, 학생들에게 제공할 것과 유사한 교수학습 방법을 직접 경험할 필요가 있다. 지구과학 교사 20명을 포함한71명의 한국 중등 과학교사들이 미국 중부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실시된4주간의 여름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하였고, 학생중심 수업에 대한 여러 가지 수업 및 활동을 경험하였다. 아울러 교사들은 각자 학생 역할과 교사 역할을 맡아서 모의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중심 수업을 실제로 체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제공된 이러한 교사 재교육프로그램에서의 경험이 교사들의 과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신념은 구체적으로 과학학습의 목적, 교사와 학생의 역할 그리고 수업에 대한 것으로 총 7문항으로 제시되었다. 즉 교사들의 교사중심적인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의 양상이 학생중심으로 옮겨갔다는 점이다. 물론 그 변화가 교사중심에서 완벽하게 학생중심으로 옮겨간 것을 의미하는 것이 라기보다 교사중심에서 탈피하거나 이에 반하는 쪽으로 변화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한편, 연수에서 경험한 협동학습이 참여 교사들의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신념변화를 초래한 주요 요인들 중의 하나였음을 보고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전략 활동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변인통제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내 1개 중학교 1학년 3학급을 각각 메타전략 활동집단, 문제풀이 활동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처치활동으로 메타전략 활동집단에게는 매회 15분씩 총 4회에 걸쳐 어느 한 특정 상황에서 변인통제전략에 대한 컨트롤, 모니터 및 평가 등의 활동이 요구되는 자료를 투입하였다. 문제풀이 활동집단에게는 메타전략 활동집단과 같은 방법으로 활동자료를 투입하였으나 그 내용은 다양한 상황하에서 여러 가지 변인통제 문제들을 해결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전략 활동집단은 문제풀이 활동집단 및 통제집단보다 변인통제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며(p〈.05) , 그 효과는 지속적이었다(p〈.01). 문제풀이 활동집단의 경우, 통제집단보다 효과는 있었으나(p〈.05) 지속 효과는 없었다. 둘째, 변인통제 능력의 요소별 발달 정도를 집단간 비교 분석 결과, 메타전략 활동집단이 문제풀이 활동집단보다 고정변인 찾기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p〈.01), 독립변인 찾기 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종속변인 찾기 능력 발달로의 전이의 효과는 없었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과학탐구능력 중의 변인통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활동 못지 않게 한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는 메타전략 활동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ting habits of high(4th, 5t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al behavior characteristics(affection, rational guidance, overprotect and neglect). The parenting behavior scale and demographic variables, eating habits and food frequency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In this investigation, the subjects were 396 boys and 337 girls in Chunju city in Korea, 50.1% of the mothers was in the age from 35 to 39 years and 57.8% of the mother had an occupatio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PSS PS packag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correlation among variables were determined by the frequency, 2-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Eating habit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but was not affected by the levels of mother's education and income. Parental behavior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hildren's snacks habits(p〈0.05, p〈0.01), but have no connection with dietary habits and the eating out. The survey revealed higher percentage of the children who had taken affectionate, reasonable and positively reinforced child care, answered they enjoy meals and the other groups answered they did not. Also frequency of having soup, green vegetables, fruits, dairy product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ffective, reasonable rearing attitude, but negative relationship with neglective rearing attitude. And the survey showed children who were reared in overprotect had chocolate, candy and the like in large quant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수증기 응결 과제에서 초등학생들이 가설을 생성할 때 귀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과 가설 생성 과정의 하위 요소인 경험상황과 원인적설명자가 독립되어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검증을 위해 수증기 응결에 관한 가설 생성 검사지, 사전 지식 검사지, 유사경험상황 검사지 등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 수증기 응결에 관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는 89명의 학생 중 72명의 학생들이 이 지식을사용하여 가설을 생성하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가설 생성에 귀추가 매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가설을 지지한다. 그리고 수증기 응결 현상에 관한 유시경험상황을 가지고 있는 56명의 학생들 중 54명의 학생들이 가설 검사에서가설을 생성하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경험상황과 원인적설명자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다는 두 번째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부터 이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의 실제에서 지식을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가설 생성 능력향상을 위한 교수 · 학습도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Lecture Evaluation system is an only way, so far, to evaluate the quality of lectures in our university and yet has several problems. This system does not have any effects on professors; however, it is rather used to threaten assistant professors and/or part-time/full-time lecturers. As a result, students are still dissatisfied with the unchanging lectures of professors. Generally speaking, We should consider new ideas to introduce a head teacher system or improve the lecture evaluation system to open doors wider for teachers, professors do their best to expand students' understanding by practicing the Lecture Evaluation System. In fact, it is hard to keep the objectiveness that the professors estimate the quality of professors. That is why this check list should be restricted only as a guideline among the system. After all, it is expected to bring better educational circumstances when the system functions properly to provide professors to research more.
Objective : This paper presents an empirical study on the bias toward the disabled by the students studying occupational therapy, who will make an expert group to take care of them in
the future. It was investigated how much sense of distance the students ha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Method : Total 128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nd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 were measured as follows:
The visibl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were restricted to the disorders of external
physical functions based on the Article 29 ‘Classification of the Disabled’ of the Disabled Welfare
Ac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were measured by using the FIM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method. Meanwhile, Westie (1952)’s inventory of the sense of distance
was adopted for the inventory for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 in the study.
Results : The subjects showed the biggest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 in the order
of the disabled with encephalopathy, physical handicap, language disorder, visual disturbances
and acoustic disturbances. As for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 sense of distance was the
greatest in the order of the completely dependent disabled, partially dependent disabled, and
completely independent disabled.
The average sense of the distance was compared in terms of the subjects’ school and year,
and the results reveal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areas except for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completely dependent disabled.
Conclusions : The sample needs to be expanded in number, and random sampling is required to secure divers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In addition, the causality verification should
be do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ense of distance in a study on it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Finally, an evaluation tool needs to be developed that
can be used to measure the sense of distance toward the disabled.
지질조사는 제7차 지구과학교육과정에서 지구과학을 배우는 학생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시간, 거리,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실제로 학생들이 야외지질조사를 나가서 학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제주도 송악산과 지삿개 일대를 선정하여 가상야외지질조사의 웹 컨텐츠와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한다. 개발된 웹 컨텐츠는 주 메뉴, 부메뉴, 내용의 3 부분으로 구분하여 학습자가 쉽게 인식하도록 구성하였다. 기존웹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영상과 탐구 학습지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였고 웹 컨텐츠는 실제 야외지질조사에서 얻을 수 있는 내용을 체험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