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iu, Lina. 2016. “The Loanwords Usage of Chinese Studen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3). 37~6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atistically sort out the usage of Korean loanwords usage from Chines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causes. Standing in the position of Chinese students, revealing their loanwords' actual applications not only can help them to recognize their mistakes in loanwords, but also can support them to correct the mistakes. From the standpoint of academic research, we should find out the reason why their frequent mistakes, which is very helpful to loanwords teaching, too. This paper focuses on the real situation, designed to pass the actual investigation to observe the use of loanwords by Chinese students. And also try to clarify the reasons for their use. To this end, this paper conducted a number of written investigations and interviews. Especially, when I try to use a variety of ways in the interviews which I will introduced in chapter 2. Survey data show that their use of loanwords are more complex than we think. However, the reasons can be traceable. In this study is to try to explore the causes just like influence of Chinese-Style English, influence from China's loanwords pronunciation, the pronunciation problems of loanwords, psychological factors.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중국어-한국어 탄뎀수업에서 학습자주도 평가 방법으로 동료평가 를 도입하여 이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동료 평가와 교사평가와의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 지역 대학의 2학년 중국 어-한국어 탄뎀수업 수강자 224명으로 학생들은 동료평가와 교사평가를 실시한 실험반과 교 사평가를 실시한 통제반으로 나누어 한 학기 동안의 탄뎀 학습과 3차례의 평가 활동을 하였 다. 그 결과 첫째, 실험반, 통제반 모두 학업성취도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보였다. 둘째, 학습 태도 변화에서는 실험반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동료평가 와 교사평가 사이의 일치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동료평가방법이 신뢰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자 탄뎀수업에서 충분히 활용가능성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학습 효과도 긍정적 임을 증명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Japanese and Chinese language learners of Korean, whose native language has a CV syllable structure, can apply the liaison rule when C2 of Korean the CVC syllable structure is followed by a vowel, where the application of liaison rule is necessary. For this purpose, Japanese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ir Korean proficiency levels: beginner and advanced learners. Then the study examined if these learners can apply the Korean liaison rule in the sentence reading task. The result showed that learners in their higher proficiency level were able to apply the liaison rule better. The degree of increased application was more drastic, especially in the cases of Japanese learners. The performance varied by their native languages, it appears that Japanese learners better apply the liaison rule than Chinese learners. In addition, the result also differed by the familarity of the vocabularies used in the reading task. The liaison rule was used more accurately in more familiar vocabularies than less familiar vocabulari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learning context and language aptitude affected the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pronunciation proficiency. One hundred thirty-eight Chinese learners (88 KFL Ss & 50 KSL Ss) learners were investigat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context(KSL, KFL), language aptitude (high/low),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and pronunciation proficiency. Participants' sound discrimination ability was measured by PLAB an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high group (upper 30%) and low group (lower 30%) by scores. SPLS and personal information survey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i)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ronunciation proficiency pursuant to learning context and language aptitude, (ii)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differed significantly pursuant to learning context and language aptitude, and (ⅲ)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could predict pronunciation proficiency. The findings suggest that effective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should be investigated and taught in L2 Korean classroom.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들의 스키마를 계발하고 글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시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텍스트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을 정립하는 일의 중요성은 매우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전연구의 일환으로 ‘어떤 텍스트들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어 쓰기 교육의 올바른 텍스트 선정 상을 정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아울러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를 선정하거나 제작할 때 어떤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 같은 연구는 쓰기 자료로서 텍스트가 갖는 중요성을 환기시킴은 물론 학습자들의 스키마를 계발하는 데 필요한 ‘교육용 텍스트’ 개발에 참고가 될 것이다.
본고는 韓國語를 專攻으로 운영하는 海外의 大學 중 이탈리아대학에서 이루어지는 漢字授業을 위한 漢字敎材의 內容과 構成에 대해 具體的으로 논의한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세 가지 部分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序文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한국어와 관련된 한자의 내용이 다루어졌다. 구체적으로, 韓半島에서의 漢字表記의 歷史, 漢字가 韓國語에 미친 影響 및 韓國語 內에서의 漢字의 位置 및 使用樣相 등을 論議하였다. 이 부분은 특히 非漢字文化圈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필요한 교육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교육 대상이 될 한자와 한자어의 선정과 관련된 부분이다. 이를 위해 현재 해외의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몇몇 韓國語敎材에 제시되어 있는 語彙 중 한자 및 한자어들을 대상으로 하여 네 가지 選定基準(造語力․頻度數․難易度․基礎字)에 따라 한자교재에서 다룰 한자를 選別하였다. 대상이 된 한자들은 다시 系列關係를 이루는 것이나 體系的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묶어서 領域別로 제시되었다. 본고에서는 총 390여개의 한자와 이들 한자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한자어 중에서 敎材, 日常生活, 時事的인 分野에서 자주 등장하는 것들을 選別하여 총 1110여개의 한자어를 제시하였다. 세 번째는 교재의 內容과 構成에 대한 부분이다. 이는 細部的으로 本文의 내용과 구성, 읽기의 내용과 구성, 연습의 내용과 구성으로 나누어져 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 중 하나는 한자계 어휘에 대한 교육이 다. 어떤 언어의 학습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학습은 또 하나의 다른 언어적 도 구를 학습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한자계 어휘는 한국어 어휘의 중추적 요소이 다. 곧 한국어의 학습 목표에 따라 학습자는 더 많은 한자계 어휘를 습득하고 활 용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한자와 한자계 어휘교육은 다른 한자문화권 언어 교육으로의 접근 용이성을 높여주며, 긍정적 전이를 통한 교육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중 요한 요소이며, 그 국가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요 소로 작용할 수 있다. 결국 한국어 교육에서 수행되는 한자와 어휘 교육은 1차적으로는 한국어를 교육하려는 목적에서 그 유용성을 가지지만, 다른 측면에서 볼 때 그 한자문화권 모 든 국가의 전통문화를 수용하고, 그 국가의 개별 언어를 학습하는데 일정 정도 기 여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문”교과의 교과목표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한문교과가 한국만의 독특한 개별교과로 만 유의미한 것이 아니라 한자문화권의 기초교양교과로 역할이 변경 혹은 증대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본고는 이런 측면에서 한자계 어휘 교육이 특정 국가의 언어를 벗어나 한자문 화권 전체의 공통적이며 기본적인 교육이 될 수 있음을 말하였다.
본 硏究는 최근에 많은 海外韓國語敎育現場에서 비교적 活潑하게 이루어지 고 있는 漢字및 漢字語敎育에 注目하고, 그에 대한 敎育方案에 대해서 論議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筆者가 몸담고 있는 베네치아大學에서 開設된 ‘韓國漢字語授業’을 土臺로 하여 理論的인 側面보다는 具體的이고 實際的인 側面에서 살펴보았다. 授業의 構成과 內容은 물론이고 그 運營에 있어서는, 베네치아대학 학생들의 敎育的背景과 特徵을 최대한 反映하고자 하였다. 그 중의 하나는 한자어 수업 에 參加하는 學生들 중에는 한자 및 한자어를 처음 接하는 학생들은 물론이고 이 미 한자 및 한자어에 대한 知識이 어느 정도 쌓여 있는 학생들이 있다는 것이다. 前者에 해당되는 학생들은 ‘非漢字文化圈’으로, 後者에 해당되는 학생들은 ‘準漢字文化圈’으로 指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狀況이 特別히 베네치아대학에 限定 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 그것은 현재 海外의 大學, 특히 유럽 대학의 한국어 관련 敎育課程을 살펴보면 베네치아대학과 비슷한 상황이 많기 때문이다. 具體的인 敎育方案과 관련해서는 현재 해외에서 이루어지는 漢字및 漢字語敎育이 韓國語敎育의 一環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考慮하여, 一般的인 言語敎育의 分類를 參考하여 ‘한자어 읽기’, ‘한자어 쓰기’, ‘한자어 말하기/듣기’ 부분으 로 나누어 論議를 進行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KFL Leaners. For this I investigate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52 Polish and 43 Chinese learners by Cohen, Oxford, and Chi's (2002) LSS (Learning Style Survey). Research questionnaires consist of 11 parts, I categorized these as Sensory Type, Personality Type, Desired Degree of Generality based on Oxford (2003). The major findings analyzed by statistical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n each part, three dimensions of Concrete-Sequential vs. Random-Intuitive, Impulsive vs. Reflective, Global vs. Particular were significant within the level of p
Despite the advantages of the shadowing method in language learning,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use of the method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shadowing for the pronunciation and listening skills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of Japanese in a college in the second half of the academic year (September to November, 2007). The results indicate an improvement of the listening skills for 80% of the
students (20 students). Furthermore, the false using of the pronunciation in 7 categories disappeared.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adequate application for Japanes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This study quantitatively investigates foreign learners" acquisition of double particles in Korean. Some of the particles in Korean are jointly used with other particles and some are not, and the sequence of the particles determines the grammaticality of the double particles.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in which they were asked to judge the grammaticality of a combination of a noun and double particles. The participants" judgment of the grammaticality of the double particles and their reaction time for the judgment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Japanese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has a particle system similar to that of Korean performed better in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han Chinese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shows no use of double particles. Th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regardless of their native languages, showed better judgment on the grammaticality of the use of double particl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type of double particles also affected the learners" judgment and that in the grammaticality judgment of ungrammatical joint of adverbial particles, most of the participants, regardless of their native languages and their Korean proficiency, scored much lower than in the judgment of the other types of double particles. The analyses of the participants" reaction time for the judgment showed congruent results with those of their grammaticality jud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