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철골 각형강관단면(RHS) 기둥-보 접합부에서 웨브의 모멘트 전달효율을 평가하였다. 먼저, 5개의 철골보접합부에 대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접합부 상세가 다르게 설계되었고, 따라서 휨저항 성능이 각기 다르다. 해석결과 RHS 기둥을 가진 모델은 기둥 플랜지의 면외변형 때문에 WF(Wide Flange) 기둥을 가진 모델에 비해 모멘트 전달효율이 저하함을 보였다. 스캘럽(WAH)과 얇은 강관기둥 두께도 모멘트 전달효율의 저하를 가져오는 원인으로서, 결과적으로 보-기둥 접합부의 파단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해석과 이전의 실험결과를 기초로 하면, 응력집중은 모멘트 전달효율과 반비례하고, 접합부의 변형능력은 모멘트 전달효율의 저하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바닥슬래브가 있는 합성보 접합부에 대한 유한요소해석결과는 중립축이 상부플랜지 방향으로 상승함으로써 모멘트 전달효율이 저하했고, 이러한 영향은 접합부의 조기 취성파단을 초래하는 것을 보였다.
Six sigma, contrary to TQM, offers the concrete process for accomplishing the management innovation. Nowadays it has become as a standard means. Many companies claim to stand for durable management and would like to get customers' satisfaction and more profit with total six sigma activities. Under the present conditions we propose how to maximize efficiency with six sigma application on transportation management that is an issue among many companies.
본 연구는 돼지 수정란의 체외 성숙 및 체외 배양액의 retinol 첨가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체외 성숙 및 체외 배양액에 retinol을 첨가하여 수정란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체외 성숙 배양액에 retinol을 첨가한 결과 성숙율은 으로 각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체외 수정 후 배반포로의 발달율은 첨가구에서 의 발달율을 나타내어 타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으며,
유용유전자 도입을 통한 신품종 톨 페스큐를 개발할 목적으로 Agrobacterium을 이용한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및 형질전환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을 조사하였다. 성숙종자로부터 유도된 캘러스를 형태에 따라 3가지 type으로 분류하였고 type Ⅱ캘러스는 유백색으로 녹색을 띠며 조직적으로 치밀한 상태이며 식물체로의 재분화효율이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재분화 배지에 AgNO3와 cysteine을 동시에 첨가해 준 경우 무첨가구에 비해 캘러스 유도율은 6.7%, 식물체 재분화율은 12% 씩 각각 증가하였다. 캘러스 type 별 형질전환 효율을 조사한 결과 typeⅡ 캘러스는 58.0%로 가장 높은 형질전환효율을 나타내었다. 형질전환체를 PCR 및 PCR-Sou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 발현벡터의 T-DNA 영역이 형질전환 식물체의 genome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효율적인 형질전환 시스템은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톨 페스큐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oposes a new approach which combine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s to effectively evaluate Decision Making Units (DMUs). While DEA evaluates a quantitative data set, employs linear progr
현재 우리나라 2차로도로 횡단면 설계기준은 설계속도별 최소 차로폭과 길어깨 기준은 있으나, 다양한 횡단면 구성안이 없어 전국이 획일적인 도로구조 형태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로도로의 사고유형별 원인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교통운영 및 안전성 측면에서 횡단면 개선 방안을 수립하고, 평가척도를 선정하였으며, 평가과정을 통해 새로운 횡단면 설계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같은 2차로도 도로폭 9~12.9m 보다 6~8.9m 도로가 사고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표적 사고유형들의 개선점은 차로 및 길어깨 확장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결과 도로폭 6~7m 는 교통량 1,000vph에서 급격한 지체 시간 상승을 보이고 있으나. 도로폭 10~11.5m도로는 1.200vph에서 약간의 변화를 보였다. 이 결과(pcu/일)를 국도와 지방도 일평균교통량(대/일)분포와 비교분석 하여 다양한 횡단면 기준을 제시하였다.
모사풀림(SA)의 특징적인 Metropolis 규준을 단순 유전자 알고리즘(SGA)의 재생산 연산과정에 도입함으로써 Metropolis 유전자 알고리즘(MGA)이 개발되고, 구조 설계 최적화에 응용되었다. 이러한 결합을 통하여 MGA는 개체의 다양성을 유지하며, 초기 세대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유용한 유전자 정보가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안된 MGA는, 국부적 최적해로 조기 수렴하게 되는 SGA의 단점과 정밀한 전역적 최적해를 찾기 위해 수없이 많은 계산을 해야 하는 SA의 단점을 극복하게 되었다 수치예를 통하여 MGA의 성능과 적용성을 재래의 알고리즘들과 비교하고 평가하였다. 특히 MGA의 성능 신뢰성과 강건성을 평가하는 데는 집단 크기와 최대 반복세대수의 효과를 인용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수치예의 결과로부터, 이 연구에서 개발된 MGA가 효율성과 신뢰성을 갖춘 구조 설계 최적화의 도구로서 평가되었다.
As environmental damage increase by a highly developed material civilization of today, many companies take a growing immensely interest in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for beginning a new paradigm year by year. The previous assessments dose not run the gamut of industry but is confined within a certain facility or an area. Industrial processes and operations can not be accomplished independently but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s through suppliers and customer, and these ideas are fundamental notions of Life Cycle Assessment(LCA). This paper will introduce Life Cycle Assessment(LCA) in environment which is rising, and would like to buil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using approach of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and Safety Function Deployment(SFD) belonging to the assessment method.
Recently, a bioactive foam reactor (BFR) using a surfactant and suspended microorganisms has been suggested as an suitabl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packed-bed biofil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the BFR using styrene as a model compound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as residence time on mass transfer and biodegradation rates. At a gas residence time of 40 seconds, the BFR achieved high styrene removal efficiencies greater than 80%, but the biodegradation rate controlled the overall efficiency as the styrene inlet concentration increased. Meanwhile, at a gas residence time of 20 seconds, the change of the styrene removal efficiency was less sensitive to the inlet styrene concentration, indicating the BFR system was operated under the mass transfer limited condition. Therefore, the mass transfer rate needs to balance with the biodegradation rate in the BFR system, and the foam st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ass transfer. In the BFR, the maximum elimination capacity was found to be 117 g/㎥/hr, which was higher than those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BFR can be an efficient metho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VOCs and expand an application range of biological processes.
Considering in view of China's low price and Japan's high technology,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e quality of product. To increase the comparative power internationally all workingmen have to fulfill the responsibility to maximize the quality, and this is possible practiced under 'Zero Defect' spirit. To reduce the defect ratio to 'Zero' the workingmen have to recognize own fault, all the manufacturing process should be conducted under 'Fool Proof System', If done under this circumstances, then labor force can work comfortably and safely without nervousness and tiresom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can increase ultimately and even foreign labor, imbecile child, old-aged labor can participate in work, which can reduce shortage of labor source. Therefore, in this study all defects in manufacturing process, it would be recognized the errors and mistakes caused by hu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