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6

        1921.
        200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침전지는 수처리 공정에서 중요한 조작 중 하나이며, 침전지내에서는 응집과 침전이 일어남에 따라 입자의 크기분포가 변하는 복잡한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침전지의 효율적인 설계나 운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이해해야만 하며, 침전효율의 극대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침전지내의 흐름을 모의하기 위하여 범용 CFD 프로그램인 FLUENT를 이용하였으며, 침전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FLUENT에서 제공되는 입자추적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1922.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중폭기장치로 저수지 성층을 파괴시켜 저수지 수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이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요 성층 파괴기작인 Bubble Plume(공기 부력류)의 수리동역학적 거동특성과 플륨 간격에 따라 변하는 모멘텀 중첩효과가 성층파괴 효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산유체(CFD)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2상(공기-물) 3차원의 탈성층모델을 개발했으며, 이로부터 계절에 따라 변하는 다양한 성층강도와 주입 공기량
        1923.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개량 포플러 현사시 3호를 재료로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PAT으로 형질전환시 킨 다음 제초제 Basta처리에 의한 효율적인 형질전환체 선발을 목적으로 시험되었다. Basta 처리에 따른 캘러스유도, 부정아유도 및 액아유도 시험을 통해 조직치사 농도는 1.0mg/L로 결정할 수 있었으며, 이 농도처리에 의해 형질전환체의 조기선발에 사용하였다. 이 농도처리로 비형질전환체는 모두 고사되었지만, 형질전환체는 정상적으로 반응을 보이며, 생육이 가능하였다 .한편, 형질전환체에 제초제를 직접 살포한 결과, 정상적 생육이 가능했고, PAT activity측정 결과에서도 양성 반응을 나타내어 현사시 3호 세포내에 PAT유전자가 정상 발현됨이 확인되었다. 이로써 현사시에 PAT유전자 도입 및 발현을 위하여 제초제 Basta 처 리와 PAT assay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933.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whether, under controlled laboratory conditions, hybrid SNCR/SCR process improves NOx removal efficiency in comparison with the SNCR only. The hybrid process is a combination of a redesigned existing SNCR with a new downstream SCR. NOx reduction experiments using a hybrid SNCR/SCR process have been conducted in simple NO/NH3/O2 gas mixtures. Total gas flow rate was kept constant 4 liter/min throughout the SNCR and SCR reactors, where initial NOx concentration was 500 ppm in the presence of 5% or 15% O2. Commercial catalysts, V2O5-WO3-SO4/TiO2, were used for SCR NOx reduction. The residence time and space velocity were around 1.67 seconds and 2,400 h-1 or 6000 h-1 in SNCR and SCR reactors, respectively. NOx reduction of the hybrid system was always higher than could be achieved by SNCR alone at a given value of NH3SLIP. Optimization of the hybrid system performance requires maximizing NOx removal in the SNCR process. An analysis based on the hybrid system performance in this lab-scale work indicates that a equipment with NOxi=500 ppm will achieve a total NOx removal of about 90 percent with NH3SLIP ≤ 5 ppm only if the SNCR NOx reduction is at least 60 percent. A hybrid SNCR/SCR process has shown about 26~37% more NOx reduction than a SNCR unit process in which a lower temperature of 850℃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1935.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전적으로 우수한 미경산우를 선발하여 조기에 우수한 수정란을 생산하여 이식 후 개량을 촉진한다는 것은 소의 육종개량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경산우에 비해 미경산우는 수정란의 생산효율이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다. 최근에는 다배란 처리시 FSH와 Estradiol Benzoate(EB)를 사용하여 다배란처리 효율을 개선하였다는 보고(Matoba 등, 2002)가 있어 EB의 첨가가 미경산우에 있어 수정란 생산 효율을 개선하는 지를 조사하기 위해
        1936.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입중에 따른 이상초형(ideal type)의 개발을 위해 광합성호율이 높은 안전 다수성 콩 품종육성의 엽형 모델을 찾고자 엽형 및 입중에 따른 잎기능에 관련된 몇 가지 주요특성 및 CO2 이용효율과의 관계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두 단엽의 CO2 동화량은 소립품종에서 장엽형 잎을 가진 품종이 19.66 umolm2s1로서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18.29 umolm2s1)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대립품종에서는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이 19.17 umolm2s1로서 장엽형품종(17.45 umolm2s1)보다 높았다. 2. 기공전도도가 0.12-0.13범위에서는 주로 대립, 장엽형 품종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CO2 동화량은 17-18 umolm2s1정도로 낮았고, 0.14-0.15범위에서는 소립, 장엽형 품종들이 분포하였는데 CO2 동화량은 19-20 umolm2s1로서 높았다. 3. CO2 동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생성량은 대립,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들이 0.82-0.83으로 가장 적었으나 CO2 동화량은 18-20 umolm2s1로서 높았다. 4. 주당 CO2 흡수량은 나물콩에서는 장엽형 품종이 68.5ppm으로 환엽형(46.5 ppm)보다 크게 높았으며 장류콩에서는 환엽형이 70.1 ppm으로서 장엽형(63.1 ppm) 보다 약간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