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6

        21.
        201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디어 산업의 발전 및 수출입 증가에 따른 드라마 및 영화 시장의 확대에 따라 극적 저작물에 대한 분쟁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극적 저작물 저작권 침해의 판단에 있어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그 대표적 사례인 드라마 선덕여왕 분쟁에 있어 서울 고등법원 선고 2012나17150 판결과 대법원 선 고 2013다8984 판결은 저작권 침해 판단의 두 기준인 접근가능성과 실질적 유사성 판단에 있어 구체적 사실관계를 해석하는 세부적 기준이 달라 다른 결론이 도출되었다. 접근가능성 판단에 있어서 두 판결의 세부 기준은 접근의 가능성에서 ‘가능성’ 판단 기준, 접근 가능성 판단에서 고려의 범위, 접근 대상의 범위, 의거관계에서 유사성 고려 여부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실질적 유사성에 있어서는 유사성을 중심으로 판단하는지, 혹은 차이점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지에 있어 차이를 보였고, 구체적으로는 유사성의 조합에 대한 고려, 유사성 판단 범위, 장르적 특성의 반영, 역사적 사실과 다른 사실에 대한 창작성 부여의 정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각 판결에 있어 이러한 세부 기준을 도출 및 비교한 후 이를 국내외 판례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이후 실질적 유사성 판단을 인정하기 위한 유사성의 정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5,700원
        22.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해에서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유생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 2015년 춘계(4월)와 추계(11월) 자원조사선 탐구 20호로 18정점에 대해 CTD 관측 및 지름 60 cm, 망목 333 μm의 봉고네트를 이용한 경사 채집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유생은 총 4개체로 2014년과 2015년 추계에 각 2개체였으며, 유생의 외투장은 1.5 - 8.3 mm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춘계와 2013년 추계에는 유생이 출현하지 않았다. 유생밀도는 2014년 추계에 0.1 inds./1,000 m3과 0.2 inds./1,000 m3, 2015년 추계에 0.1 inds./1,000 m3과 0.2 inds./1,000 m3로 나타났다. 유생이 채집된 정점에서 배아발달 및 유생의 생존이 가능한 수온대(15 - 24 )는 수심 56 m보다 얕은 곳에 위치하였다.
        4,000원
        2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6기(2013년~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중에서 중년남성 882명을 대상으로 밀가루음식 주당 섭취빈도에 따른 건강관련요인, 영양소 섭취, 식행동, 건강지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밀가루음식 저섭취군(54.0%)의 비율은 고섭취군(46.0%) 보다 높았다. 그리고 전체의 밀가루음식 주당 섭취빈도는 4.80회이었으며, 저섭취군(1.78회)과 고섭취군(7.83회)의 섭취빈도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p<0.001). 밀가루음식 종류별 섭취빈도를 보면 면류, 과자류, 빵류 순이었다. 2. 건강관련 요인에서 살펴본 월 1회 이상 음주 여부와 현재 흡연 여부, 스트레스 인지율, 1일 평균 수면시간, 1주일간 근력운동과 걷기 일수에서 밀가루 섭취빈도에 따른 유의적인 관련성과 차이는 없었다. 3. 1일 에너지 평균섭취량은 1,970.45 kcal이었고, 저섭취군 보다 고섭취군에서 약 630 kcal 정도 더 높았다(p<0.001). 그리고 고섭취군에서 상대적으로 당질 섭취비는 낮은 반면, 지방과 단백질 섭취비는 더 높았다(p<0.001). 무기질과 비타민의 1,000 kcal당 영양소 밀도에서 칼슘, 인, 나이아신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칼륨,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C에서는 저섭취군의 섭취가 더 많았던 반면, 나트륨, 비타민 B2에서는 고섭취군의 섭취가 더 많았다 (p<0.01, p< 0.001). 4. 식행동에서 1일 식사횟수는 밀가루음식 저섭취군에서 고섭취군에 비해 3회 비율이 더 높아 관련성을 보였다(p<0.05). 외식빈도는 저섭취군(46.9%)보다 고섭취군(43.2%)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구입 시 영양표시 이용 여부는 고섭취군(20.5%)이 저섭취군(15.7%)에 비해 더 이용하고 있었으나, 유의적인 관련성은 아니었다. 5. 건강지표에서 신장과 체중, 허리둘레 값이 고섭취군에서 더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신장(p<0.01)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에서 고섭취군이 저섭취군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1). 혈청 중성지방에서는 저섭취군이 고섭취군보다 10.5 mg/dL 정도 더 높은 값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횡단면적 연구이어서 인과관계를 밝히기 어렵고, 밀가루음식 섭취량이 아닌 섭취빈도만을 가지고 연구를 행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대상자 선정에서 교란인자를 제외하였고, 통계분석에서도 보정함으로써 밀가루음식 섭취빈도와 영양소 섭취, 건강지표와의 차이를 독립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밀가루음식의 섭취가 계속 증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가 있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밀가루음식을 자주 먹는 경우 에너지 영양소의 섭취는 더 많았던 반면 나트륨과 비타민 B2를 제외한 대부분의 무기질과 비타민의 섭취는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건강지표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나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본 연구결과가 밀가루음식의 과잉 섭취 시 문제점을 알리는데 활용되었으면 한다.
        4,000원
        24.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crease of feral cat population due to man-made activities, such as cat-mom activities,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lthough cats have lived with humans for a long time worldwide. Nevertheless, in Seoul City, the effectiveness of Trap-Neuter-Return (TNR) management plan has not been evaluated yet.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population size of feral cats in Seoul City, which is useful information for feral cat management. Seoul City was divided into 196 areas based on 2012 TNR density data. In each group, 3 areas were selected for a total of 9 areas. Out of those, 6 areas (3 apartment and 3 non-apartment areas) that could be clearly separated by mountains, rivers or roads based on Seoul City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were finally selected and they were representative of the two different residential styles (44.21% apartment area and 55.79% non-apartment area). Population size of feral cats was estimated from 3 on-site surveys over 3 day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population of feral cats in Seoul City ranged between 209,772 and 272,816.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a policy to control and manage the population of feral cats.
        4,000원
        26.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egg consumption and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 Korean adult females using the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1,230 subjects aged 40~64 were classified into the 4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egg consumed per week: <1, 1~2.9, 3~5, ≥5.1 As egg consumption increased, the intake of energy, protein, fiber, cholesterol, calcium, potassium, riboflavin, and vitamin C increased. The percentage of the subjects with lower intake of energy, protein, calcium, iron, vitamin A, riboflavin, niacin, and vitamin C than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in the <1 group were the highest among the groups. The blood lipid profile including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4 egg groups. The higher egg consumption was inversely related to a lower odds ratio of metabolic syndrome, hypertriglycemia, hyperglycemia, hypoHDL-cholesterolemia, and hypertens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egg consumption does not elevate the plasma cholesterol level and has a beneficial effect of decreasing the risk of chronic disease. (175)
        4,000원
        2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and the nutritional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2013~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1,300 adolescents ranging in agee from twelve to eighteen years-ol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ir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or skipping breakfast, we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the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EBF group) (male=379, female=295), eating breakfast alone (EBA group) (male=177, female=169) and skipping breakfast (SB group) (male=152, female=128). Both male and female, age in the EBF group was lower than those of the EBA and SB group (p<0.0001, respectively). In the male, the EBF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fiber (p=0.0168) and potassium density (p=0.0065) and lower beverage intake (% energy) (p=0.0040) than the EBA and SB groups. No difference was observed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practiced a healthy diet between three groups, however, the EBF and EBA groups had a smaller proportion of subjects who were in a condition of hypo-nutrition compared to the SB group (p<0.0001, respectively).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practice of eating breakfast together as a family in adolescents may be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relation to micro-nutrient intake status.
        4,300원
        30.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of osteoarthritis in the elderly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KNHANES VI). A total of 2,148 (936 males, 1212 females) elderly participant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selected.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was higher in 460 female (80.7%) and 167 rural (29.1%) groups, than in 110 male (19.3%) and 404 urban (70.9%) groups. While the mean values of LDL-cholesterol, triglyceride level,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steoarthritis group than the normal group, other parameters including height, HDL-cholesterol, fasting blood glucose, hemoglobin and hematocrit values were not. Quality of life (EQ-5D)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 osteoarthritis group.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moking, alcohol intake, obesity, hypercholesterolemia and energy intak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ards to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This study suggests that obesity and energy intakes were associated with osteoarthritis, whereas risk factors of chronic disease, such as hypertension, Hypo-high density lipoprotein, hypertriglyceridemia, anemia, diabetes, vigorous physical activity,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walking were not. Long-term prospective study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osteoarthritis.
        4,300원
        3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현대미술은 1993년 제45회 베니스비엔날레에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국제미술계에서 두 각을 나타내고 있다.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 가운데 가장 늦게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현대미술은 베니스비엔날레를 중심으로 점점 더 폭넓은 위치를 점유해 나갔다. 진출 초기에는 중국정부차원의 지원이 아닌 작가 개개인의 활발한 제작 활동으로 스스로의 입지를 다졌으며, 1999년 차이궈창(蔡國强, 1957-) 이 중국작가로서는 처음으로 대회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하여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중국 정부는 문화예술이 국가의 위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경험했고, 본격적으로 정부차원의 지원을 시작한 결과 2005년에는 베니스비엔날레 본전시장에 중국의 국가관을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발전을 거듭한 중국현대 미술은 2013년 베니스비엔날레 진출 20주년을 맞이하며 더 이상 서구미술의 흐름을 따라가는 후식민적 경향에서 벗어나 중국 스스로가 지닌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해 논하는 작품을 선보였다. 중국현대미술의 베 니스비엔날레 참여과정에 대한 연구는 중국현대미술이 국제화를 이루어 낸 맥락과 가치를 보여준다.
        8,100원
        3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energy nutrient intake, health related factors, physical characteristics, blood biochemical indices,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odds ratio (OR) of metabolic syndrome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Subjects were 1,205 men aged 40~64 years. The average fat intake was 52.8 g.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ficient, normal, excess)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The dietary fat energy rations of the three groups were 36.9%, 42.9% and 20.2%, respectively. Energy and protein intak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dietary fat energy ratio (p<0.001), whereas carbohydrate intake decreased (p<0.001). In health related factors, amount of smoking alone showed increase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p<0.001). In compa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blood pressure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excepting diastolic blood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p<0.01~p<0.001). The rate that exceeded criteria in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the serum triglyceride (41.2%) and was lower in the waist circumference (22.2%).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37.9%, an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to dietary fat energy ratio (p<0.05). The OR of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deficient and excess group than in normal group, but it had no relationship between fat energy ratio and metabolic syndr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fat intake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men.
        4,000원
        3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as predicted by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 females. Data on 2,738 adult females aged 40~64 yrs was obtained from the 2013~2014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rmal (n=1,835), abdominal obesity (AO, n=73), and BMI-diagnosed abdominal obesity (BMI-AO, n=505) groups based on the NCEP-ATP III guidelines and by applying the KSSO definition regarding waist circumference. Triglyceride blood levels, fasting blood sugar level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higher in the AO and BMI-AO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The HDL-cholesterol levels of subjects in the two abdominal groups were lower as compared to those of subjects in the normal group. The mean adequacy ratio was lower among subjects in the AO and BMI-AO groups than among those in the normal group. Moreover, the NAR and INQ scores of some micro-nutrients in both of the abdominal obesity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Both the AO and BMI-A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isks of hypertriglycemia, hyperglycemia, hypertension, hypoHDL-cholesterolemia, and metabolic syndrome than were shown by the normal group. Notably,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AO group showed higher risk of hypercholesterolemia, hyperLDL-cholesterolemia, hypertriglycemia, and metabolic syndrome than did the BMI-AO group.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prevention programs including programs for those with abdominal obesity despite their having a BMI within the normal range.
        4,000원
        35.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강 상류지역 건설사업 이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2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낙동강 하구둑에서 가덕도 동편에 이르는 수역에서 격월로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을 조사하였다. 환경요인은 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하부수역 및 계절적 차이가 나타났다. 상부수역은 돌말류, 녹조류, 남조류가 하부수역보다 높았고, 특히 담수돌말류와 남조류가 우점하였다. 반면 하부수역은 와편모류가 주로 출현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상부수역은 Stephanodiscus spp., Asterionellopsis formosa, Microcystis spp.가 주로 담수방류에 의한 인위적인 유입과 관련성이 나타났다. 우점종과 상관관계가 나타난 환경요인은 수온, 풍속, DIP, DIN 등으로 나타났다. 하부수역에서 상위종으로 출현한 와편모류는 대부분 영양염류 및 바람과 상관성이 나타났다. 특히 하부수역에서 Prorocentrum donghaiense은 DIN, 풍속, 강풍발생 일수와 음의 상관성이 나타났고, 하계시기에 집중적으로 출현한다. 유사도와 PCA분석에서도 상부수역은 시기적인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반면 하부수역에서는 계절적인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부수역은 2014년 일부시기를 제외하고, 크게 와편모류가 증가하는 6-8월과 돌말류가 우점하는 10-4월로 구분되었다. 이는 지리적 특성에 의한 담수 방류의 영향범위 차이가 담수종과 영양염류의 유입을 변화시켜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4,300원
        38.
        2016.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recently developed Al 2013 alloy was T8-tempered and, to improve the strength and corrosionresistance, slight amounts of Zr of 0.2 wt% and 0.5 wt%, respectively, were added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For microstructure and precipitate analysis, OM observation, XRD analysis, and TEM analysis were performed, and for the mechanical property analysis, hardness and tensile strength tests were done. Also, in order to determine the corrosion rate according to the Zr content, a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test was performed and the propert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size of the precipitate varied with the content of Zr and was finest at Zr content of 0.2 wt%; it grew larger at 0.5 wt%, at which point the hardness value accordingly showed the same trend. On the other hand, as calculated from the aspect of chemical bonding among atoms, it was confirmed that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corrosion-resistance increased with the same trend.
        4,000원
        3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해연안 조위관측소 10 개 지점에서 2013년 11월 24일 밤부터 25일 오전까지 관측한 해수면, 해면기압, 바람, 유동 자료뿐만 아니라 일기도를 분석하여 이상조위편차의 발생 원인과 관측자료들 간의 상호상관성을 알아보았다. 이상조위편차란 최대조위편차와 최소조위편차가 나타나는 시간동안 두 편차간의 차를 의미한다. 영종도의 최대조위편차는 111 cm, 최소조위편차는 -65 cm로, 4시간 1분 동안 176 cm의 이상조위편차를 보여 10개 조위관측소 가운데 가장 크다. 반면 모슬포의 이상조위편차는 8시간 52분 동안 약 68 cm로 가장 작다. 이 같은 이상조위편차는 기압점프에 의한 기상해일이 아니라 저기압에 의한 기압배치의 영향으로 바람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지점에서 이상조위편차에 의한 흐름은 연평균 낙조류 세기의 16 ~ 41 %로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다. 조위편차, 바람, 조류잔차의 상호상관관계로부터 저기압의 중심이 한반도 서쪽에 가까이 위치해 있을 때 인천에서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북향류가 해수면을 상승시켰고, 한반도 통과 후 북풍계열의 바람에 의해 남향류가 해수면을 하강시켰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