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19

        14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남 금산지역 잎들깨 시설하우스에서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는 5월 하순 최초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순에 1차 최대 발생양상을 보인 후 7월 상순부터 급격히 밀도가 증가하여 7월 중순 가장 밀도가 높은 2차 최대 발생양상을 보였다. 방제방법에 따라 발생양상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밀도에는 차이를 보여 화학약제를 사용하는 하우스에서 가장 높았고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는 하우스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크기가 작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차먼지응애를 방제하기 위해 화학약제를 사용할 경우, 농약 잔류 문제로 지속적인 사용을 못하므로 밀도가 높아지고,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농약잔류에 대한 걱정 없이 유기농업자재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방제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잎들깨 주간내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차먼지응애는 접종 25일 후 최대 발생밀도를 보였고, 중엽, 성엽, 신초의 순으로 알과 약성 충의 총밀도가 조사되었다. 그러나 엽장과 차먼지응애 밀도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 상관성이 없어 차먼지응애 발생예찰시 어떤 샘플을 채취해도 정확한 예찰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3.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mergence of green methods for the synthesis of graphene-based composites became the gateway for the solution of pollution and economic synthetic methods. Herein, we reported a single step in situ synthesis of reduced graphene oxide sheets decorated with silver nanoparticles (CRG–Ag nanocomposite) using custard apple leaf extract as an effective reducing and stabilizing agent. The ultraviolet–visible, Fourier transform infrared and Raman techniques revealed a primary confirmation about the formation of the said nanocomposite. The X-ray diffraction studies confirmed the face-centred cubic crystal structure of silver nanoparticles (Ag NPs) of 30 nm in size. The high-resolu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pectra revealed the uniform distribution of Ag NPs on the graphene sheets. This simple, novel and rapid approach enabled a facile production of homogeneously deposited Ag NPs on graphene sheets. Thus synthesized CRG–Ag nanocomposite showed excellent photocatalytic efficiency of 96% in 2 h under sunlight using methylene blue as a model pollutant.
        4,000원
        144.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폐쇄형 식물공장에서 시금치 수경재배시 세가지의 인공광이 생육, 광합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가지 광 처리구는 적색 (660nm), 청색 (450nm) 및 녹색 (550nm) LED를 사용하여, R660 / B450 = 4/1 (RBL), R660 / B450 / G550 = 5/2/3 (WWL); R660 / B450 / G550 = 1/1/1 (WL) 비율로 혼합하였고, 동일한 광도로 설정하였다 (PPFD = 190 μmol‧m-2 ‧s-1). 생육조사결과 초장, 엽수는 WL이 가장 적었다. SPAD, 순광합성율, Fv/Fm, LAI, 근권부 생육은 RBL이 가장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줄기, 잎, 뿌리의 생체중, 뿌리의 건물중은 세가지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조적으로 WL의 칼륨의 함량은 WWL과 RBL 가운데 가장 높았지만, 반면 칼륨과 철의 함량은 RBL이 가장 높았다. 비타민C 함량도 시험구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질소와 옥살산 함량은 WL이 가장 높았고, 용해성 고체와 비타민C 함량은 RBL이 가장 높았다. 옥살산, 질소 함량은 WWL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RBL의 옥살산 함량은 WL와 WWL과 차이가 없었다. 모든 처리구에서 Salmonella, E.coli.는 감염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RBL이 시금치의 생육에 적합하지만, 적색, 청색과 적정하게 혼합된 녹색광은 시금치의 생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4,000원
        14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서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 등 생태환경요소가 도시재생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영향이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분석으로 지표를 추출하여 경험적 분석(Empirical Analysis)를 통해 생태환경지표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 선도지역 및 일부 활성화 지역을 대상으로 각 현황별 하위 항목을 지표로 선정하고, 각 항목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가지고 도시재생의 중요한 평가 지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생태환경적 요인인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 주택보급률, 기초생활수급자비율간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표 간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녹지율과 기초생활수급자 간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향후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물리적인 요소뿐만 아 니라 공원 및 녹지 등의 생태환경적인 요소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도시 재생 연구는 건물, 산업, 문화 지표 등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향후에는 생태환경 적인 요소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에 대한 정의와 통계 데이터 부족 등으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 한 연구의 한계가 남으므로 이와 관련된 통계구축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유추된다.
        4,000원
        146.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most precise methods of tracking water movement and measuring moisture content during hydration process is the usag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this study, the target samples were dried “Robusta” green coffee beans, and a series of images was acquired through an MRI system during the entire hydration process. Coffee beans were immersed in a glass bottle and were placed in a 35 mm diameter RF coil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 A set of 64 images with a field of view of 26 mm×26 mm was acquired. The hydration process of intact dried green coffee beans lasted for 360 min and image data sets were acquired every 10 min with an optimal GRE pulse sequence developed. The MR images were analyzed in 2D and 3D imaging spaces. The results of 2D analysis showed that the changes in water penetration depth inside coffee beans during the hydration process could be visualiz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3D analysis presented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hydration process of dried coffee beans. This study showed that changes in water distribution and physical dimensions of coffee beans during the hydration process in 2D and 3D imaging spaces were meserable, without disturbing the process, by means of the MRI technique.
        4,000원
        14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eld Green’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2년에 개발한 국화 신품종이다. 2008년 황색 홑꽃인 ‘Laque Roicks’를 모본으로 하고 흰녹병저항성이며 연두색 홑꽃인 ‘Frill Green’을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였다. 실생개체중에서 녹색이며 잘 자라고 꽃모양이 안정적인 개체를 2009년에 선발하였다. 그리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동안 촉성재배와 억제재배, 자연재배을 통해 특성검정을 실시하고 최종 선발을 하였다. ‘Field Green’ 은 자연일장조건에서 10월 26일에 개화하는 품종으로 일장조절을 통해 연중재배가 가능하였다. ‘Field Green’ 품종은 밝은 녹색의 설상화와 녹색의 통상화를 가진 홑꽃이다. 한 꽃당 설상화수는 18.8매이고 꽃의 크기는 7.1cm이었으며 초장은 130.0cm으로 줄기생장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흰녹병에 저항성이고 절화수명은 20.0일 정도였다. ‘Field Green’은 2013년 2월 20일 품종보호출원(출원번호: 2013-153)하고 국립종자원에 2014년 4월 2일 품종등록번호 제4839호로 품종보호등록을 완료하였다.
        4,000원
        150.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ritime transporta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global economies. Seaports as primal nodes in maritime supply chain are also indispensable in ensuring efficient and effective global trading. On the other hand, seaport inefficiencies have profound influences on the overall performance which can cause congestion, operational disruption, high cost expenses, unnecessary wast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which eventually resulting significant financial losses. As a result, business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ill not be achiev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hindrances, a novel performance model of Lean, Agile, Resilience and Green (LARG) is proposed as management tools for enhancing the business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seaport supply chain operations. The compatibility of LARG paradigms in seaport supply chain need to be identified and analysed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paper employed a compatibility analysis for the new LARG paradigm for enhancing seaport supply chain practices. In this analysis, all potential paradigms are thoroughly reviewed and further validated by the domain experts consisting of academic and industry experts. The result of this paper shows that 17 selected LARG paradigms are compatible with 23 seaport supply chain practices respectively. For future research, the identified paradigms can be further investigated for many purposes such as measuring their influence on seaport supply chain practices and even assessing their applicability.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is research outcomes can assist Malaysian seaport practitioners to develop an enhanced management paradigm to boost their performance based on LARG model. Moreover, this model also can be applied globally as it is able to be adapted, revised and adjusted to suit the seaport preferences. As a result, this model able to enhance business capabilities, operational efficiencies and competitive advantages of seaport supply chain operations globally.
        4,600원
        151.
        2019.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a water-based green polymer mud is synthesized by simple compounding method. Effects of different kinds of tackifiers, their molecular weight on the viscosity of polymer mud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fluid loss additives on mud fluid loss are studied. The results show that when polystyrene and anionic polyacrylamide with molecular weight of 8 ~ 10 million are used as the main thickening ingredient, polymer mud with high viscosity and high stability can be obtained. When the prepared polymer mud is formulated as NPAM: PEO: Hydroxypropyl cellulose(HPC) :Water = 42:10:10:100000 (unit: kg), the viscosity can reach 20.6 s, the filtration loss in 7.5 min is 24 mL, and the sand content is only 0.1%. Compared with traditional bentonite mud, the green environment-friendly polymer mud has the advantages of small amount of waste, low environmental pollution, and low pulping cost, and can meet the construction needs for most topography and geomorphology drilling engineering
        4,000원
        153.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prepared with green grape juice (GJ). The pH, oBrix value,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jelly were measured. The pH of the jelly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GJ over the range of 3.25-5.27. The oBrix value of the jelly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esult as the amount of GJ increased (p<0.001). Lightness (L) and redness (a)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GJ, and yellowness (b) increased. In the texture measurement, the GJ-100 sample group with a high substitute rate of GJ showed high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p<0.001).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howed that the sample groups with high GJ content were classified as having relatively strong yellowness, sweet aroma, metallic aroma, grassy aroma, sweetness, sourness, green grape skin taste, and astringency. In the acceptance test, the GJ-50 sample group was evaluated to be high in flavor (p<0.001) and overall acceptance (p<0.01). However, sample groups consisting of 50% or more GJ were evaluated to be significantly strong in terms of astringency. Therefore, further study needs to be conducted about improving astringency in the futur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