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역(Undaria pinnatifida) 추출물과 쇠미역(Costaria costat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HepG2 세포의 알코올로 인한 산화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미역과 쇠미역 추 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미역과 쇠미역 70% 에탄올 추출물의 DPPH (IC50 0.33±0.21, 0.48±0.47 mg/ml), ABTS (IC50 0.34±0.30, 0.47±0.17 mg/ml) 라디칼 소거 활성이 열수 추출물 및 10%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았다. 추출 물의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epG2 세포에 알코올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MTT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미역 및 쇠미역 열수 추출물은 알코올 처리군 (73.95%) 대비 세포 생존율은 각각 89.91~97.63% 및 84.99~90.54%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 켰다. 본 연구는 미역과 쇠미역 추출물이 간 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알코 올 산화 손상에 대한 간 보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espite evidence that bacteria-sensing Toll-like receptors (TLRs) are activated in salivary gland tissues of Sjogren syndrome (SS) patients, the role of oral bacteria in SS etiopathogenesis is unclear. We previously reported that two SS-associated oral bacteria, Prevotella melaninogenica (Pm) and Rothia mucilagenosa (Rm), oppositely regulate the expression of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 (MHC I) in human salivary gland (HSG) cells. Here, we elucidate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differential regulation of MHC I expression by these bacteria. The ability of Pm and Rm to activate TLR2, TLR4, and TLR9 was examined using TLR reporter cells. HSG cells were stimulated by the TLR ligands, Pm, and Rm. The levels of MHC I expression, bacterial invasion, and viability of HSG cells were examined by flow cytometry. The hypoxic status of HSG cells was examined using Hypoxia Green. HSG cells upregulated MHC I expression in response to TLR2, TLR4, and TLR9 activation. Both Pm and Rm activated TLR2 and TLR9 but not TLR4. Rm-induced downregulation of MHC I strongly correlated with bacterial invasion and cell death. Rm-induced cell death was not rescued by inhibitors of the diverse cell death pathways but was associated with hypoxia. In conclusion, Pm upregulated MHC I likely through TLR2 and TLR9 activation, while Rm-induced hypoxia-associated cell death and the downregulation of MHC I, despite its ability to activate TLR2 and TLR9. These findings may provide new insight into how oral dysbiosis can contribute to salivary gland tissue damage in SS.
Ms. Hee Choon Oh was a Jeju Haenyeo(woman diver) and one of the few surviving victims of the Jeju 4.3 (1948). As a Haenyeo: Jeju society was very poor at the tim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 especially after the Korean War, so she had to work regardless of gender. It was hard to go into the sea, but it was the only thing to support my family. In retrospect, Going out to work in the sea was like a life-threatening adventure every day. While there were many emergency moments, She becomes one with the sea and forgot all the pain. After having spent a lot of time together with the sea, I had to stop working as a Haenyeo because it was hard to take care of nine children after having heart surgery. I was able to receive Honorary Haenyeo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and dedication to the society. As a victim of the Jeju 4.3: I had no choice but to explain it why I had to do work as a Haenyeo and to understand my life. I am a woman who chose the job of Haenyeo, but I have lived through the pain of the dark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e unfair one-year prison life that I wanted to hide even from my children hurt me all my life. Over the past 70 years, sharing pain with the sea, neighbors, and family, serving the region, and hopefully waiting for a better society and justice to come. and finally It was not until 2019, 70 years after 1948, that I was officially acquitted by a Korean court. I regained my honor as a Haenyeo and was able to get rid of my deep sadness.
Nypa fruticans Wurmb (NFW) contains a large amount of phenolic acid and flavonoids, and is popular as a superfood in Myanmar. NFW ha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properties; however, the anti-cancer effect of NFW have no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activity of water extracts of NFW (WeNFW)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in human FaDu hypopharyn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The WeNFW inhibited FaDu cell growth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affecting normal cells (L929), as determined by an MTT assay and Live and Dead assay.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s of WeNFW without cytotoxicity (0.025, 0.05, and 0.1 mg/mL) inhibited wound healing and colony formation. Furthermore, WeNFW significantly induced apoptosis through the proteolytic cleavage of caspase-3 and -9, poly (ADP-ribose) polymerase, and downregulation of Bcl-2 and upregulation of Bax in FaDu cells, as determined by DAPI staining, FACS analysis, and western blot analy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NFW exhibits potent anti-cancer effects by suppressing the growth of oral cancer cells, wound healing and colony formation activity. Via mitrochondrial-dependent apoptotic pathways in human FaDu hypopharyn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Therefore, WeNFW can provide a natural chemotherapeutic drug for oral cancer in humans.
본 연구는 대규모 온실에서 작업관리와 인력관리 및 병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HR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적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작업자의 전용 앱으로 작업지시와 현장의 작업내용 및 병해충 발생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관리자 는 작업자의 작업내용별 노동시간과 작업속도, 작업품질을 평가하여 기록하고 이를 토대로 작업별 작업속도 기준을 설정할 수 있으며, 작업일정 수립이나 작업 투입인원의 결정이 용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고용인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면서 작업수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수급계획을 세울 때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시기별 작업분석을 통해 고용인원의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고 정규인력과 비정규 인력에 대한 수급비율을 조정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작업자의 실시간 작업성과를 공개하며 작업자 간 경쟁을 유도하고 기준작업량 이하를 달성하는 작업자의 재교육 및 작업방법 개선을 통해 작업효율의 상승이 가능하다. 실증현장에서 분석해본 파프리카의 작업은 순치기, 수확 및 유인작업이 모든 작업시간의 91%이상을 차지하며, 수확작업보다 유인 및 순치기 작업 시간이 두배정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HRM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전과 도입한 이후 가장 노동부하가 높은 시기인 수확과 유인 및 순치기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시기를 비교했을 때 HRM 프로그램의 도입으로 37%의 작업량 향상을 가져 왔다.
The bereaved families of Cheju massacres(1947-1954) and civil society have constantly demanded that the state establish incomplete transitional justice in Jeju, South Korea.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establishing transitional justice in South Korea to heal the victims of the Cheju Massacres, but there has been no progress in engagement or discussion between the US government and society in this regard. A book, “Healing the Persisting Wounds of Historical Investment :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the Jeju 4·3 Tragedy” that compiles the full discussion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social healing through justice proposed by Eric K. Yamamoto for the recovery of the damage caused by the massacres of civilians has been published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sociations between periodontal infec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have been documented. Porphyromonas gingivalis is a well-established periodontal pathogen, and tissue factor (TF) is a key initiator of the coagulation cascade. In this context, P. gingivalis has been reported to enhance TF expression in human endothelial cell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F induction by P. gingivali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P. gingivalis increased TF expression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Not only live bacteria but also glutaraldehyde-fixed bacteria increased TF expression to the same extent. However, sonicates of P. gingivalis did not induce TF expression. Cytochalasin D and SMIFH2, which are inhibitors of actin polymerization and actin nucleation, respectively, inhibited the TF expression induced by P. gingivalis . Finally, TF production was decreased or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various signaling inhibitors, including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 gingivalis induces endothelial TF expression by a bacterial internalization-dependent mechanism and through diverse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s.
본 연구는 중국 민영기업 최고경영자의 정치적 연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상층부 이론과 인적 자본 이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최고경영자의 개인적인 특성은 기업의 전략적인 의사결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기업 특유의 장점으로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의 인적 자본으로도 작용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민영기업 최고경영자가 보유한 정치적 연계가 기업의 인적 자본으로서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치적 연계의 직접적인 대상인 중국 지방정부를 계층적으로 나누어 정치적 연계라는 인적 자본의 가치와 영향력의 차이 역시 살펴보았으며, 기업의 규모와 연령과 같은 구조적인 특성이 이러한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중국 상하이와 선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1,452개 민영기업 총 9,903개의 관측치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최고경영자의 정치적 연계는 기업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치적 연계를 계층적인 지방정부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최상위 지방정부인 성급 지방정부와의 정치적 연계만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고경 영자가 보유한 인적 자본의 가치와 영향력은 성급 지방정부와 연관이 있을 때만 발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기업 규모가 크고, 기업 연령이 높으면, 성급 지방정부와의 정치적 연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각각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아시아 지역 선박재활용에서 발생하는 인권침해 문제는 2000년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져 왔다. 국제사회는 이러한 인권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선박재활용을 위한 선박수출을 바젤협약을 통해 규제해왔다. 그러나, 주요 해운선진국에 소재한 선주들은 바젤협약을 통한 규제를 편의치적 제도와 대리인을 통해 우회하여 제도권을 벗어난 선박재활용을 지속적으로 시행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 제도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선박재활용을 규제하기 위한 유엔인권법상 국가의무를 검토하였다. 실제, 유엔인권법은 인권침해를 야기하는 기업행위는 규제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유엔인권법상 의 규제제도는 과거 역사적인 이유로 주로 통치자 혹은 개인에게 주로 적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 다국적 기업의 인권침해 현상은 세계화와 더불어 급증하고 있으며, 이를 규제하기 위한 제도적 합의가 필요하기에 이르렀고, 유엔은 2011년 “인권과 기업에 관한 유엔인권지침”을 채택하였다. 동 지침은 유엔인권 법상 규정된 사항을 다국적 기업과 국가 관계에서 어떻게 적용할지를 다루는 법원칙을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남아시아에서 실시하는 대형선의 선박재활용이 대다수 다국적 해운기업의 요청에 따라 시작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러한 해운기업을 규제하기 위하여 유엔인권법상의 국가의무가 어떤 것이 있는지 본 논문에서 분석하였으며, 그리고 이러한 국가의 의무를 선박재활용과 관련하여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 본 논문에서 살펴보았다.
Asarum sieboldii Miq. (Aristolochiaceae)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and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for treating diseases, cold, fever, phlegm, allergies, chronic gastritis, and acute toothaches. Also, it ha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allergic, antiinflammatory, antinociceptive, and antifungal. However, the anticancer effect of A. sieboldii have been rarely reported, except anticancer effect on lung cancer cell (A549) of water extracts of A. sieboldii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cancer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A. sieboldii (MeA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in human FaDu hypopharyn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MeAS inhibited FaDu cells grown dose-dependently without affecting normal cells (L929), as determined by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nd live and dead assay. In addition, concentration of MeAS without cytotoxicity (0.05 and 0.1 mg/mL) inhibited migration and colony formation. Moreover, MeAS treatment significantly induced apoptosis through the proteolytic cleavage of caspase-3, -7, -9, poly (ADP-ribose) polymerase, and downregulation of Bcl-2 and upregulation of Bax in FaDu cells, as determined by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analysis, 4`6-diamidino- 2-phenylindole stain, and western blotting. Al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AS exhibits strong anticancer effects by suppressing the growth of oral cancer cells and the migration and colony formation via caspase- and mitochondrial-dependent apoptotic pathways in human FaDu hypopharyn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Therefore, MeAS can serve as a natural chemotherapeutic for human oral cancer.
본 연구는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가 구단에 대한 태도 및 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여 구단 소속 스타 선수들의 브랜드 관리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K리그 구단 소속 축구 선수를 선호하고 있는 사람을 표본으로 선정해 2021년 1월 14일부터 3월 5일까지 모바일 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348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해 빈도분석, 내적일관성 및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는 윤리성, 매력성, 차별성 순으로 구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는 윤리성, 매력성, 차별성 순으로 구단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화생물학적 ‘유전자 결정론’은 인간의 존재에 대한 회의를 표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불교에도 무아사상(無我思想)을 말하며 존재에 대한 부정을 말하고 있는데, 이러한 두 이론의 사고(思考)는 회의주의 또는 허무주의적 사고로 빠질 수 있는 이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러한 회의주의적 시선을 잠재우기 위해 불교에선 불성(佛性)을, 그리 고 진화생물학을 대두시킨 도킨스는 밈(Meme)을 내세운다. 불교에서 말 하는 불성의 상징은 무명(無明)을 벗은 ‘깨달은 자’이다. 이러한 각자(覺 者)는 세상 만물이 항상 함이 없고[無常] 서로 연기(緣起)되어 있음을 알 아 아상(我相)에 대한 분별심이 없다. 따라서 불교에서는 아상을 부정하 고 진아를 깨달음으로써 이고득라(離苦得樂)을 삶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도킨스가 주장하는 ‘밈(Meme)’, 즉 문화적 유전이 우리를 진보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킨스의 진화생물학의 환원주의적 시선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일단 진화생물학은 시종일관 인간을 다른 자연 만물과 동일한 위치에서 해석하다 다소 급하게 ‘밈’이라는 개념을 도입하 면서 인간의 주체와 자율성을 회복하고자 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 역설에 가깝다. 이러한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결국 진화생물학적으로 본질적 인간 존재는 DNA의 운반체이고, 우리의 모든 욕구와 의지가 DNA의 맹목적 생존과 결부되어 있다면 인간의 주체성과 자율성은 확보될 수 없는 것으 로 보이며, 이에 회의주의 또는 허무주의의 대안으로는 한계가 있는 이론 이라 하겠다. 위와 같은 비교연구는, 불교의 입장에선 다소 초월적으로 여겨졌던 무아사 상을 진화생물학적 근거를 빌려 방편적으로 설명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진화 생물학적으로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이론적 함정, 즉 주체성과 자율성의 확보문제를 불교적 교리가 그 대안이 된다는 점에서 불교와 진화생물학의 상호보완적 관계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 글은 한국 생명정치에 있어 안창홍 인물화의 ‘죽음의 미학’이 갖는 함의를 두 시기로 나누어 분석한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검열과 통제 기제가 강했던 시기, 안창홍은 억압된 정서인 분노를 형상화했다. 이 시기 안창홍 작업은 공포스러울 정도로 순수한 폭력의 미학을 나타낸다. 1980년대 후반에서부터 1990년대 말 즉 신자유주의 생명정치가 한국인의 생명을 금융 차원에서 담보로 잡았던 시기, 안창홍은 과도한 욕망의 추구 때문에 분열된 자들의 초상을 불안의 미학으로 나타냈다. 폭력과 불안으로 형상화된 안창홍의 ‘죽음의 미학’은 절대로 죽을 수 없는 생명의 단독적 잠재성 혹은 그 생명력에 대한 반어적 표현으로써, 조르조 아감벤의 “어떤/ 모든 단독성”의 미학적 형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