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01

        1401.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J#3과 DJ#13은 항염증질환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 고자 국내 전통식품 풀질인증 된장에서 장기간 숙성된장으 로 선발된 시료이다. DJ#3과 DJ#13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 을 살펴본 결과 DJ#3과 DJ#13 추출물 모두 100 μg/mL의 농도까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DJ#3과 DJ#13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TNF-α에 의해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에서의 NO 생성,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과 mRNA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혈관내 피세포에 TNF-α를 처리한 결과 NO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가 DJ#3과 DJ#13 추출물(20, 50, 100 μg/mL)을 처리하였을 때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하였다. 세포배양액내 VCAM-1, ICAM-1 발현을 확인한 결과 혈관내피세포에 TNF-α를 처리한 군에서 증가된 VCAM-1 발현이 DJ#3 추출 물 20, 50 μg/mL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또한 DJ#3 추출물은 NO 생성과 연관 있는 eNOS mRNA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iNOS mRNA의 발현은 농 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NO 생성 증가가 iNOS의 발현억제를 경유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수의 항염증 약물들의 작용기전이 되는 COX-2의 생성억제를 살펴본 결과 DJ#3 추출물은 TNF-α에 의해 발현되는 COX-2 단백질 의 발현을 억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J#3 추출 물은 CAMs 단백질 및 mRNA 발현율의 감소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DJ#3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TNF-α로 유도된 혈관염증을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 며, 항염증물질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 로 기대된다. 또한 염증과 관련된 cytokine 및 단백질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02.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 기저막(basement membrane, BM)이란 표피와 진피 사이에 존재하는 특별한 구조물로 표피와 진피 를 단단히 고정시켜 피부 구조를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노화 및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기저막 의 구조적 변화와 파괴는 피부 주름 형성과 탄력 저하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현상의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Laminin-332 (LN-332)는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 피부에서 표피와 진피를 단단히 고정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왕불유행 헥산 분획물(Melandrium firmum hexane fraction, MFHF)이 각 질형성세포에서 LN-332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량적 real-time PCR (RT-PCR)과 단백질 발현 분석을 통해서 MFHF가 LN-332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FHF가 어떤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LN-332 발현을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p38 MAPK 억제제인 SB202190과 ERK1/2 억제제인 U0126을 처리한 결과, p38 MAPK 억제제에 의해서 LN-332 발현이 완벽히 억제됨을 확인 하였다. 또한,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고 있는 콜라겐 타입 VII과 integrin α6의 mRNA 발현 역시 MFHF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MFHF가 각질형성세포에 작용하여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소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저막의 구조적, 기능 적 이상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노화 현상의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한다.
        1404.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magnolia bark has been focused on owing to its worldwide usage for various clinical disorders. Despite its extensive use, only a few studies regarding the underlying mechanism of possible interactions of magnolia plant's components with medicines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incubation experiments with pooled human liver microsome (HLM) were perform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effects of honokiol, a major ingredient of Magnolia officinalis, on human cytochrome P450 (CYP) isoenzymes. Methods and Results : CYP isoenzyme specific substrate was incubated with multiple concentrations of inhibitor, human liver microsome and cofactors. Honokiol demonstrated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CYP1A2, CYP2C9, CYP2C19 and CYP2D6 with IC50 values of 3.73, 4.91, 3.71 and 20.27 μM respectively. For the estimation of inhibition constant (Ki) value and mode of inhibition, incubation studie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each CYP isoenzyme specific probe were performed. Honokiol inhibited CYP1A2, CYP2C9 and CYP2C19 with a competitive mode, indicating Ki values of 1.62, 4.73 and 2.19 μM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inhibition of CYP2D6 by Honokiol was explained by a uncompetitive inhibition mode with Ki value of 14.34 μM.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onokiol could have inhibitory effects on metabolic activity mediated by CYP1A2, CYP2C9, CYP2C19 and CYP2D6 in humans.
        1405.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have been routinely cultured on mouse embryonic fibroblast feeder layers with a medium containing animal materials. For clinical application of hESCs, animal-derived products from the animal feeder cells, animal substrates such as gelatin or Matrigel and animal serum are strictly to be eliminated in the culture system.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at SNUhES32 and H1 were cultured on human amniotic fluid cells (hAFCs) with KOSR XenoFree and a humanized substrate. All of hESCs were relatively well propagated on hAFCs feeders with xeno-free conditions and they expressed pluripotent stem cell markers, alkaline phosphatase, SSEA-4, TRA1-60, TRA1-81, Oct-4, and Nanog like hESCs cultured on STO or human foreskin fibroblast feeders. In addition, we observed the expression of nonhuman N-glycolylneuraminic acid (Neu5GC) molecules by flow cytometry, which was xenotransplantation components of contamination in hESCs cultured on animal feeder conditions, was not detected in this xeno-free condition. In conclusion, SNUhES32 and H1 could be maintained on hAFCs for humanized culture conditions, therefore, we suggested that new xenofree conditions for clinical grade hESCs culture will be useful data in future clinical studies.
        1406.
        2016.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주에 저준위 및 극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영구적으로 처분하기 위한 2단계 처분시설이 표층처분시설로 건설된다. 처분시 설은 폐쇄 후 제도적 관리기간 동안에는 일반인의 부주의한 침입을 제한하지만, 제도적 관리기간 이후에는 일반인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거주 및 자원 탐사 등을 목적으로 한 인간침입 행위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침입자 에 대한 방사선 영향은 일반인에 대한 선량한도로 제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부지 특성을 반영하여 시추 및 시 추 후 거주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종류 및 준위별 발생량을 고려하여 선정된 처분고내 폐기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첫째, 시 추 및 시추 후 거주시나리오의 평가결과가 모두 규제 제한치를 만족하였다. 둘째, 평가결과 시추 후 거주시나리오가 시추시 나리오에 비해 중요한 시나리오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폐쇄 후 인간침입 시점과 침입자의 행위에 따라 침입자가 지배적으 로 영향 받는 핵종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인간행위와 관련된 입력 자료의 민감도 분석결과 모두 규제 제한치를 만족 하였다. 특히 민감도 분석결과, 토양재분배인자에 피폭선량이 가장 민감하게 변동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인간침입평가 측면에서 폐기물의 바람직한 정치방안을 살펴본 결과, 폐필터 폐기물은 가능한 폐수지 및 농축폐액 폐기물보다 잡고체 폐기 물과 정치하며 폐필터 폐기물 비율을 낮추는 것이 개인최대 피폭선량을 줄이고 선량한도 대비 안전여유도를 높이기 위해서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처분시설의 개발 시 인간침입을 고려한 표층처분시설의 강건성과 심층방어를 위한 Safety Case 구축을 위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1407.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산국화 유래 hydrosol의 피부각질형성세포(HaCaTs) 증식 및 이주 유도 활성 평가를 통해 피부재상피화 및 상처치유 활성을 확인하였다. 산국화 hydrosol은 HaCaTs의 증식과 이주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으며, 특히 1 μg/mL에서 음성 대조군(control)에 비해 143.71 ± 3.37%의 증식과, 139.98 ± 5.72%의 이주 유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산국화 hydrosol은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 1/2)와 serine/threonine-specific protein kinase (Akt)의 인산화를 유 의하게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collagen sprout out growth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서 산국화 hydrosol은 정상적인 재상피화 과정과 상처치유 등의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향후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1408.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 손상은 주로 자외선, 열, 담배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초래되는데, 이는 활성산소종의 과생 성으로 인한 피부노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돌배(Pyrus pyrifolia NAKAI)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소비되는 과일로써 항암, 항산화, 항염증효과가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돌배나무잎 추출물(Pyrus pyrifolia leaf extract, PPE)의 ultraviolet B (UVB)스트레스에 대한 피부 섬유아세포 보호효과를 검증하였다. Lactate dehydrogenase assay와 DCF-DA를 이용한 정성분석 실험은 PPE가 인간의 섬유아세포에서 UVB 스트레스 에 의해 유발된 세포독성 및 과생성된 활성산소종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기능저 하, 막전위 저하, 그리고 세포사멸과정의 핵심 인자인 caspase-3 활성도 유의하게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결론적 으로, PPE는 UVB스트레스에 의해 과생성된 활성산소종을 억제시켰으며, 이로 인해 생기는 피부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1409.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제기구에서 제시해 온 해양사고 예방대책은 주로 선박의 구조 및 복원성 강화, 선원의 교육․훈련, 해상교통환경 개선에 중점을 둔 것이었다. 해양사고통계를 분석한 결과, 사고는 주로 연안해역에서 인적요인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에 기존의 사고예방대책들이 통계분석 결과에 호응하는지 검토하기 위해 사고조사기법인 SHELL모델에 대입하였다. 결과적으로 연안해역에서 인간과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선박 운항자와 항행여건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간공학적 접근이 필요함이 도출되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의사결정 메커니즘으로써 라스무센의 SRK 피라미드, 사고로 표현된 해상운송시스템의 붕괴에 관한 미국 연안경비대 등의 조사 지침서, 그리고 위험성평가모델인 IWRAP, PAWSA, ES모델, PARK모델과 NURI모델의 장단점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비록 기존의 위험성 평가모델은 항만이나 접근수로에서 유효성 이 인정되었다고 하나 연안해역에서는 보완이 필요하며, 선박운항자가 직관적으로 해역의 상대적 위험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위험표시도를 발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선박운항자가 느끼는 정성적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새로운 한국형 모델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 하였다.
        1410.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 oxidative potential and protectiv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Leonurus sibiricus L. leaf (LSLW) against ultraviolet B (UVB)-induced oxidative damage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To evaluate the anti oxidative activity of LSLW, we measured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superoxide anion scavenging activities,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reducing power of LSLW. For induction of oxidative stress in HaCaT cells, the cells were irradiated with UVB at 40 mJ/㎠.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LSLW against UVB, we measured cell viability and apoptotic bodies using annexin V staining. LSLW showed anti oxidative activities by scavenging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superoxide anion and by reducing lipid peroxidation. In addition, LSLW showed high reducing values. The UVB-induced oxidative conditions led to cell apoptosis. However, treatment with LSLW ameliorated oxidative stress conditions, including inhibition of cell death, apoptotic body. Taken together, LSLW exhibited anti oxidative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UVB-induced damage in HaCaT cells. Thus, LSLW could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s for UVB-induced skin aging.
        1411.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inger has been extensively used in foods and traditional medicines in Asian countries. Despite its frequent consumption in daily life, the mechanism of potential interactions between ginger components-drug has not been examin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governing the effects of 6-shogaol, a primary constituent of dried ginger, on human cytochrome P450 (CYP) isoenzymes an incub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using pooled human liver microsome (HLM). Methods and Results : CYP isoenzyme specific substrate was incubated with multiple concentrations of inhibitor, HLM and cofactors. 6-shogaol showed a potent inhibitory effect on CYP2C9, CYP1A2 and CYP2C19 with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s of 29.20, 20.68 and 18.78 μM respectively. To estimate the value of the inhibition constant (Ki) and the mode of inhibition, an incubation study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each CYP isoenzyme-specific probe was performed. 6-shogaol inhibited CYP2C9 and CYP2C19 noncompetitively (Ki = 29.02 and 19.26 μM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inhibition of CYP1A2 was best explained by competitive inhibition (Ki = 6.33 μM).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6-shogaol may possess inhibitory effects on metabolic activities mediated by CYP1A2, CYP2C9 and CYP2C19 in humans.
        141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though Sophorae Flos (SF) has been reported to exert an anti-cancer activity, molecular targets and mechanisms associated with anti-cancer activity of SF have been unclear. Because cyclin D1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regulator in the cell proliferation, we focused cyclin D1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SF on the cyclin D1 regulation in light of elucidating the molecular mechanism for SF’s anti-cancer activity. The treatment of SF decreased cellular accumulation of cyclin D1 protein. However, SF did not change the level of cyclin D1 mRNA. Inhibition of proteasomal degradation by MG132 attenuated SF-medi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and the half-life of cyclin D1 was decreased in the cells treated with SF. In addition, a point mutation of threonine-286 to alanine attenuated SF-medi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Inhibition of ERK1/2 by a selective inhibitor, PD98059 suppressed cyclin D1 downregulation by SF.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SF-medi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may result from proteasomal degradation through its threonine-286 phosphorylation via ERK1/2. SF-induced proteasomal degradation of cyclin D1 might inhibit proliferation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The current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molecular events for an anti-cancer activity of SF
        141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 distichum) has been reported to exert the inhibitory effect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ldose reductase. Recently, our group found that branch extracts of A. distichum (EAFAD-B) induce apoptosis through ATF3 activation in human colon cancer cells. However, anti-cancer reagents exert their activity through the regulation of various molecular targets. Therefore, the elucidation of potential mechanisms of EAFAD-B for anti-cancer activity may be necessary. To elucidate the potential mechanism of EAFAD-B for anti-cancer activity, we evaluated the regulation of cyclin D1 in human colon cancer cells. EAFAD-B decreased cellular accumulation of cyclin D1 protein. However, cyclin D1 mRNA was not changed by EAFAD-B. Inhibition of proteasomal degradation by MG132 attenuated EAFAD-B-medi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and the half-life of cyclin D1 was decreased in the cells treated with EAFAD-B. In addition, EAFAD-B induced cyclin D1 phosphorylation at threonine-286 and the point mutation of threonine-286 to alanine attenuated EAFAD-B-mediated cyclin D1 proteasomal degradation. Inhibitions of both ERK1/2 by PD98059 and NF-κB by a selective inhibitor, BAY 11-7082 suppressed cyclin D1 downregulation by EAFAD-B.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EAFAD-B-medi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may result from proteasomal degradation through its threonine-286 phosphorylation via ERK1/2-dependent NF-κB activation. The current study provides new mechanistic link between EAFAD-B and anti-cancer activity in human colon cancer cells.
        141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ermiation was stimulated in the mature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with an injection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or carp pituitary extract (CPE). Spermatocrit and sperm density were reduced, but milt production was increased in both the HCG and CPE treatment groups relative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 < 0.05). These results should be useful for increasing the fertilization efficiency in grass puffer breeding programs.
        141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는 낮 동안 태양빛과 인공 빛에 끊임없이 노출되어 있으며, 그중 5%는 UV 영역, 50%는 가시광선, 나머지 45%는 적외선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자외선의 피부에 대한 영향은 많은 연구가 되어 왔으나, 나머지 영역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가시광선에서 적외선 사이의 파장이 피부 섬유아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광처리에 의한 효과는 광파장, 처리 시간, 광세기, 광조합 등 다양한 파라미 터들의 조합에 의해 그 효능이 결정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섬유아세포의 성장 및 콜라겐 합성과 관련된 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광처리 조건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가시광선과 적외선 영역 사이의 6개의 파장을 처리한 결과, 레드(630 nm)와 그린(520 nm) 파장에 의해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광처리 시간은 콜라겐 합성량 증가를 위해서는 10 min의 광처리가 30 min의 광처리 보다 적합한 조건이었다. 광세기는 0.05 ∼ 0.75 mW/cm2에서 6개의 광세기로 분할하여 실험한 결과, 레드 0.3 mW/cm2와 그린파장 0.15, 0.3 mW/cm2 세기가 type I collagen의 mRNA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두 개 파장을 순차적으로 조합 처리하였을 때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레드와 그린파장의 조합 조건은 섬유아세포의 수적증가를 목적으로 할 때 효율적인 방법이며, 콜라겐 합성에는 레드 단독처리가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광처리 조건을 이용시 피부 세포의 성장이나 콜라겐 합성에 긍정적 영향을 유도할 수 있으며, 재생 및 피부 미용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1416.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폐금속 광산에 특화된 인체위해성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국내 폐금속 광산지역 으로부터 도출된 다양한 노출인자 값을 적용하여 폐금속 광산지역의 주민(성인 남자, 성인 여자, 어린 이)에 대하여 인체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인체위해성평가의 결과로부터 중금속 오염에 의한 주민의 건강이 우려되는 경우, 위해성에 기반한 각 매체(토양, 지하수, 지표수)별 복원기준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발암위해도와 비발암위해도를 지시하는 총 초과발암위해도(TCR)와 위험지 수(HI)는 지하수섭취와 농작물섭취에 의한 경로로 노출되는 비소에 의해 각각 허용 가능한 수준인 1.00E-6과 1을 크게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연구대상 지역의 인체위해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해도 저감을 위한 복원농도 산정 결과, 발암위해도 기준 계산 시 As 6.83~6.85 mg/kg, Pb 18.41~18.46 mg/kg, 비발암위해도 기준 계산 시 Cu 17.38 mg/kg, As 9.13 mg/kg의 수준으로 토양정 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417.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은 컴퓨터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사람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해결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게임이다.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에 관한 기존 연구는 주로 문제 해결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 설계, 혹은 개별 사례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게임이라는 매체는 사 용자들의 플레이로 완성되므로 많은 사람들이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을 자발적으로 플레이하도록 하 는 게임으로서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1개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 의 목적, 태스크, 게임 메카닉을 분석했다. 그리고 어떻게 휴먼 컴퓨테이션 게임을 보다 재미있는 게임으로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해 게임 메카닉에 초점을 두고 제안했다.
        1419.
        2015.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patocytes and hepatic progenitors derived from human ES cells may be a useful source for clinical application. Therefore, identification and purification of these cell types would be following important issues. There are very few candidate surface markers that can be used to identify and purify hepatic progenitor cells. In addition, indocyanine-green can be uptaken by mature hepatocytes, but cannot be applied for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due to its long emission wavelength. In the present study, we tested EpCAM as a potential marker for magnetic-activated cell sorting (MACS) of hepatic progenitors and also modified indocyanine-green into fluorescent indomonocarbocyanine for FACS-mediated sorting of mature hepatocytes after differentiation of human ES cells. Hepatic progenitor cells were sorted by MACS after incubation with anti-human EpCAM antibodies. After the final differentiation, the differentiated cells and mouse primary hepatocytes (control group) were incubated with indomonocarbocyanine and were sorted by FACS. MACS and immunocytochemistry data showed that approximately 45% of differentiated cells were EpCAM-positive cells. EpCAM-positive cells expressed α-fetoprotein, FOXa2, HnF4a, and CK18. Differentiation efficiency into albumin-positive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pCAM-positive cells, compared to EpCAM-negative cells. Importantly, indomonocarbocyanine successfully stained cells that expressed ALB. Furthermore, FACS analysis data showed that the purity of hepatocytes that expressed album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urification of indomonocarbocyanine-positive cells. Our data demonstrated that human ES cell-derived hepatic progenitors can be efficiently isolated by MACS using EpCAM antibody. In addition, we also showed that indomonocarbocyanine can be successfully used to identify and purify mature hepatocytes using FACS.
        1420.
        2015.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ly homogeneous and functional stem cell-derived hepatocyte-like cells (HLCs) are considered a promising option in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 vitro toxicity screening tool. However, the purity of cells and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drug metabolizing enzymes in stem cell-derived HLCs are usually too low to be useful for clinical or in vitro applications. Here, we describe a highly optimized differentiation protocol, which produces more than 90% albumin-positive HLCs with no purification process. In addition, we show that hepatic enzyme gene expressions and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generating three-dimensional (3D) spheroidal aggregate of HLCs. The 3D differentiation method increased expressions of nuclear receptors that regulate the proper expression of key hepatic enzymes. Furthermore, a significantly increased hepatic functions such as albumin and urea secretion were observed in 3D hepatic spheroids and HLCs in the spheroid exhibited morphological and ultrastructural features of normal hepatocytes. Importantly, we show that repeated exposures to xenobiotics facilitated the functional maturation of HLC, as confirmed by increased expression of genes for drug metabolizing enzymes and transcription factors. In conclusion, the 3D culture system with repeated exposures to xenobiotics may be a new strategy for enhancing hepatic maturation of stem cell-derived HLCs as a cell source for in vitro high-throughput hepatotoxicity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