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8

        261.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상담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상담 전공 대학 교원들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 전공 박사학위와 상담 관련 전문가 자격증을 소지하면서 최소 5년 이상의 교육 경력이 있는 8명의 중견급 대학 교원들을 대상으로 일대일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인접 조력분야와 구별되는 상담의 전문성은 인간에 대한 다각적 이해 및 통합 능력, 내담자와의 신뢰로운 협력관계 형성 능력, 상담과정에 대한 임상적 이해력 및 수행력에 있다고 믿고 있었다. 또한 그들은 상담이 치료나 성장을 필요로 하는 모든 대상에게 효과적일 수 있으며, 특히 예방과 성장 중심의 개입이 필요한 아동 및 청소년에게 가장 적합한 전문적 서비스일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참여자들은 상담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상담자 훈련 과정에서 이론적 지식과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상담 윤리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자 교육 모델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정체성 혼란을 겪는 상담 수련생들에게 가이드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상담의 전문직 정체성 관련 연구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실정을 감안할 때, 본 연구가 대규모의 상담자 표본을 대상으로 한 향후의 실증 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262.
        202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udies related to Electronic Word-of-Mouth (eWOM) show that the acceptance of eWOM inform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customer purchase decisions. When consumers accept eWOM information, they tend to use that information in considering before making purchase decisions. In Viet Nam, there are few studies about eWOM information, especially on the acceptance of eWOM information. Research is conducted to test the influence of consumers on the perception of the senders’ identity to the acceptance of online reviews (a kind of eWOM) in Viet Nam – a case study in Ho Chi Minh City. Using adjustment techniques, inspecting the scales and a theoretical model represent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fluential factors. The research is based on a sample of 522 consumers who use the Internet to search for product reviews before buying and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scales of the variables: Message Quality, Source Credibility, Perceived Message Usefulness, Perceived Senders’ Identity, Perceived Message Credibility, Message Acceptance attai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research. The research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 the acceptance of eWOM information, which are informational factors, and factors related to consumer skepticism.
        263.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시민교육의 측면에서 다양한 인종, 민족,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정체성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발달되어 현재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인종 정체성, 민족 정체성, 문화 정체성의 개념 및 이들의 발달이론들을 소개하고, 이것이 한국의 다문화시민교육의 측면에서 학생들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데 줄 수 있는 함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특히 Gay, Phinney, Banks가 제시하였던 세 가지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 모델들 을 검토한 후, 이들이 1) 정체성을 역동적으로 바라보며, 2) 정체성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 용을 강조하며, 3) 소수 민족 및 문화집단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바라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민족․문화 정체성은 학생들의 학업성취, 다문화 수용성, 시민으로서의 참여와 밀접히 관련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이 다문화 시민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내용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족․문 화 정체성 발달이론이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및 수정, 현직 및 예비 교사 교육, 학생 및 공동체 이해를 위한 연구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 들을 탐색한다.
        264.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rent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self-dissociation as a thought in which consumers dis-identify or dissociate with the threatened in-group and the escapism as a tendency of consumers’ distracting themselves and avoiding their thoughts about the in-group under severe but adoptable criticism by turning their attention elsewhere on across-domain compensatory consumption intention. And It explored not only the positive roles of undesirability thought against the in-group in consumers’ forming the self-dissociation and the escapism, but also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 to the in-group felt at the place of being exposed to the criticism against the in-group on the escapis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he in-group-threatening single factor within-subject design.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196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data were used to testing research hypothes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mos 21.0. Results: First, both the self-dissociation of consumers’ dis-identifying with the in-group criticized severely by others and the escapism of their deliberately directing their thoughts and distracting their attention away from thinking the in-group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cross-domain compensatory consumption intention. Second, the negative emotion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escapism. Third, the undesirability thought to the in-group under the severe criticism positively effected on the self-dissociation as well as the escapism. Putting in the nutshe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consistent with the idea that consumers can overcome the negative selfdiscrepancy on one dimension of their social identity by distracting themselves and avoiding thinking about the threatened in-group to find meaning on another dimension which might lead them to the place of doing the across-domain compensatory consumption. Conclusions -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hecking which aspects of consumers’ social identity are linked to products or brands is at issue to marketers when the consumers are faced with the criticism against the in-group. The marketers should build the messages about their products or brand not related to the checked aspects, and communicate the messages, to lead the consumers to the place of doing the across-domain compensatory consumption by their products or brands.
        265.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형 성역할검사, 교사효능감 검사도구,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은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양성성 유형의 성역할 정체감을 가진 유아교사가 남성성유형이나 미분화 유형에 속하는 교사보다 교사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유아교사의 행복감 수준도 마찬가지로 양성성 유형에 속하는 유아교사가 다른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 유아교사보다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66.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and the impetus for the selection of bulgogi by the Koreans residing in Japan, contextualized in Japanese history as well as vis-à-vis theories of cultural anthropology and the practice thereof. Moreover, it focuses on the cultural-economic and diachronic processes of bulgogi’s development into a veritable ethno-national food industry amidst the influence of Japanese society upon Korean-Japanese dietary habits. Finally, the study addresses the place of Korean culinary traditions, including bulgogi, in education that may impart a sense of Korean ethno-nationalist consciousness in the third-, fourth-, and fifth-generation Korean- Japanese in various social spaces within Japanese society. This is so done in face of lived experiences in the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 of heritance of ethno-nationalist consciousness for the Korean-Japanese people. In sum, three suggestions are forwarded: 1)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duce talented individuals who can cultivate ethno-nationalism through a systematic study of the culinary traditions of Korea. In addition, possibilities for extending to other grade levels the courses that are currently executed at the middle-school first-grade level must be explored; 2) Through regularly held re-education that includes research and seminars by and for the Korean-Japanese people in the food industry in not only Japan, but also in South Korea, possibilities toward a more creative, progressive culinary culture for Korean food, including bulgogi made of wagyu, Korean beef, as well as other types of beef, should be sought from the persepective of nutrional science and management systems; and 3) In sharing common goals of the disparate groups in the Korean diaspora, including the Korean-Chinese people in Yanbian, possibilities for collaborative research should be explored, and the problem of cultivating ethno-nationalist consciousness on foreign soil must be discussed.
        267.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Consumers have memories of their past time that they have not experienced. So consumers want to experience the past time and get pleasure through historical contents such as movies or dramas. This is because the re-created the past time sets the identity of the consumers who live today, and in the process, it give consumers emotional comfort. Consumers do not remember and sympathize with all of their historical time. In general, consumers remember the time that their communities are proud of. As s result, historical content is seen as a hero, and through that, consumers can check their identity. Also consumers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such as self-esteem, gratitude and pride through identification with heroes. That is, through historical contents, consumers can identify themselves and replace the current negative emotions with positive on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narrative identity and historical nostalgia that can affect positive evaluation of historical contents and suggest the factors the can induce such eff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ain what the consumption effect of historical content is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and what constitutes a component of historical content as a factor driving this effec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has developed a questionnaire with 8 Hypotheses. The Films (‘Masquerade(2012)’, ‘Roaring Current(2014)’, ‘Assassination(2015)’, ‘The Age of Shadow(2016)’) and dramas(‘Six Flying Dragon(2015-2016)’, ‘Mr. Sunshine(2018-2019)’) were used as experimental contents. 268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mpirical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hypotheses. Results - Frist, narrative identity affects positive evaluation of historical contents. Nostalgia affect positive evaluation of historical contents. and narrative identity affects positive response of historical nostalgia. Second, character act relevance, circumstance similarity, and character attractiveness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response of narrative identity. Lastly, empathy for story and vividness of representation have also positive influence upon response of historical nostalgia. Conclusion -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and managemental development of historical contents. This study shows that narrative identity and historical nostalgia are important for success of historical contents. In order for historical content to be successful, it must manage elements of character act relevance, circumstance similarity, and character attractiveness, empathy for story and vividness of representation.
        268.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을, 그가 가진 교육과정 관점을 토대로 심층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전문적 정체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Pinar가 주장하는 자서전적 저널 쓰기와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밝혀진 교육과정 관점이 실제 수업 행위에서는 어떻게 드러나는가에 대해 수업 실천을 녹화하고 분석하였다.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자서전적 저널과 인터뷰의 내용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는 학습자 중심적인 교육과정 관점을 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점은 수업 행위 분석에서 보다 강화(명료화, 관련되는 새로운 관점의 발견) 되거나, 약화(관점과 일치하지 않은 행위의 발견)되기도 하였다. 교사는 이러한 상황을 자신을 이해하는 중요 성찰 자료로, 즉 자신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전문가로서의 자기이해, 자기발견에 초점을 두어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자서전 적 방법과 연계된 수업 행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관점에 토대를 둔, 실천적 지식을 가진 전문가로서의 교사를 양성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269.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잔 달브레는 16세기 프랑스 종교전쟁 시기에 프랑스 남서부에 위치한 나바라 왕국의 통치자이자 베아른 종교개혁을 이끈 위그노 지도자이다. 로마가톨릭을 신봉하던 프랑스 왕실에서 어머니 마르가리타 당굴렘에 의해 프로테스탄트로 자란 잔 달브레는 다른 왕족 여성들과 달리 공개적으로 프로테스탄트임을 드러낸 보기 드문 의지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어릴 때부터 프로테스탄트 성향의 가정교사에게 교육 받은 잔은 10대 시절 두 번의 정략결혼이라는 고난을 겪으면서 하나님을 의지하게 되었고 20대에 꾸준히 프로테스탄트들을 도우며 종교개혁자들과 교류하다가 32세에 테오도르 드베즈로 대표되는 칼뱅주의자들의 영향으로 공개 개종을 했다. 이후 자신의 영지 베아른에서 입법과 제도 개혁을 통해 종교개혁을 단행하며 프랑스 위그노 중 가장 높은 위치에서 종교개혁운동을 이끌던 잔 달브레는 오르테즈 아카데미 설립, 성서 번역, 앙리 4세 등 많은 영적 유산을 남겼다. 본 논문은 종교개혁사가 기억해야 할 잔 달브레의 생애와 활동을 프로 테스탄트 통치자와 프로테스탄트 신앙인이라는 두 측면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잔이 어떻게 프로테스탄트가 되었는지를 기술할 것이다. 이후 프로테스탄트 통치자 잔을 조명하기 위해 ‘베아른 교회법령’에 나타난 베아른 종교개혁과 잔의 국가관을 분석할 것이다. 프로 테스탄트 신앙인 잔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1563년 잔과 다르마냑 추기경이 주고받은 편지, 1568년 작성한 『충분한 설명』 속 잔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 일 것이다. 이를 통해 여성종교개혁자이자 프로테스탄트 통치자인 잔 달브 레를 개혁사에 각인시킬 뿐 아니라 프랑스 종교개혁에 미친 잔의 영향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270.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사)반딧불 나눔복지재단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로 2018년 05월 ~ 2018년 09월까지 진행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사례를 대상으로 한다. 브랜드란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나 개인이 소비자에게 특정 이미지를 주고, 경쟁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재화와 차별화하기 위해 만든 심벌, 이름, 디자인 등의 항목이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말한다. 오늘날 소비자 인식을 방해할 정도의 많은 브랜드 속에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상징적인 의미로 기억에 남기 위해서는 경쟁사와 구별되는 브랜드 이미지가 요구된다. 이렇듯 소비자가 해당 브랜드를 떠올릴 때 가장 먼저 그릴 수 있는 시각적인 이미지가 브랜드 디자인이며, 기업은 타경쟁사와 차별적이면서도 기업의 철학을 담은 브랜드를 구축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인 나눔복지재단의 특징과 유사사례들을 철저히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반딧불 나눔복지재단이 타 나눔복지재단과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했다. 특히 반딧불 나눔복지재단을 상징하는 모티브를 가지고 디자인 이미지를 표현하고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새롭게 제작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차별성이 선호도 등 긍정적인 결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반딧불 나눔복지재단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시작으로 이러한 사회적 기업이 운영목표를 성취하고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271.
        2019.05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exus of between role identity, self-efficacy, feeling of energy, and employee creativity in the hotel industry of Korea. Th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like creativity have been many researchers’ interest for decades in the hotel industry. The hypotheses depict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have been proposed based on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The number of 215 cases was us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expla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 the hotel employees’ role ident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feeling of energy. Further, both role ident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make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 creativity. Feeling of energy also makes a positively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 creativity. Feeling of energ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loyee creativity. As a result, creative role identity, self-efficacy, and feeling of energy explain the variance of the hotel employees’ creativity. The results present that hotel practitioners need to regard their employees’ creative roles and build organizational culture to support creative activities so as to enhance employee creativity.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hotel industry and future studies have been discussed.
        272.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Curr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symbolic and evaluation relevance to global luxury brands as the causes of inducing social identity verification, and also explored whether the social identity verification will affect the attitude toward the brand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323 questionaries from Chinese consumers were used to test hypothes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MOS 22.0. Results - First, social identity verification positively affected on the brand attitude. Second, both the symbolic relevance and the evaluation relevance positively affected on social identity verification. Third, the mediation roles of social identity verification were identified. Social identity verification played a full mediation role in the effect of the symbolic relevance on the brand attitude, and played a partial mediation role in the effect of the evaluation relevance on the brand attitude. Conclusions -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ory concerned with the roles of consumers’ social identity verification which induce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global luxury brands. Global brand managers in China should try to search ways by which consumers can feel both the symbolic relevance and evaluation relevance to their luxury brands, and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symbolic relevance and evaluation relevance to their brand.
        273.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이와 관련된 교사 배경 변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교수기술,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 자기조절능력의 6가지 하위범주가 있으며, 교사 배경변인으로는 교직경력, 근무기관유형, 담당학급연령, 근무기관 소재지이다. 영유아교사 4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먼저,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은 높은 편이었으며, 하위 범주의 교수지식,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교수기술,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자기조절능력, 외재적 동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아정체성 관련 교사 배경 변인에서 교직경력은 내재적 교직지속 동기 외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무기관유형에서는 교수지식과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근무지역 소재지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 그리고 담당학급연령에서는 전문성 지향 교직문화와 외재적 교직지속 동기의 하위범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교사들의 보다 긍정적인 전문적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교사 배경에 따라 차별성을 둔 현직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구성, 실행하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74.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Bokbonja the Korean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fruit derived product, which is native to Korea. They contain potential anti-aging, anti-oxidants, depurative activities. Bokbonja refers to an immature berry of Rubus coreanus in the Korean pharmacopeia, Rubus chingii in Chinese pharmacopeia. Recently several Rubus species are available in the Korean drug markets which could easily find their way into drug prescriptions. Methods and Results : Hence we tried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se contaminating species in bokbonja products using SNP marker assisted by multi-plex PCR. We found a SNP region in the 26S region of these species and evaluated their potential to discriminate Rubus species. We designed a set of primer pairs such as, BokR primer has distinguished R.coreanus by producing a band at 852 bp and the primer sanF has differentiated R. crataegifolius by amplifying a band at 129 bp, while chiF has produced a band at 83 bp to distinguish R.chingii. These primer pairs effectively distinguished the bokbonja samples collected from various local markets as well as form drug store in Korea as well. The results were shocking as the bokbonja (R.coreanus) has a limited usage in Korea and either R. crataegifolius or R.chingii has been found in these samples. Taken together the primer pairs bokR, sanF, chiF along with 26S universal primers could effectively distinguish Rubus species in a single multiplex PCR reaction. Conclusion : Our results based on the 26S rDNA derived SNP region have shown that, the usage of R. coreanus is extremely limited and its often mistaken or adulterated with R. crataegifolius and R. chingii. It presses a panic situation in Korean peninsula to preserve bokbonja and the species R.coreanus which is endemic and superior in efficacy.
        275.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 산업이 성숙기를 거치면서, 게임의 정체성 자체를 게임의 고유한 양식을 통해서 고찰하는 이른바 ‘게임에 대한 게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디 게임과 아트 게임으로 분류되는 게임 장르를 중심으로 ‘메타 게임’의 정의와 특징, 게임사적 의의를 도출했다. 먼저 메타 게임은 게임의 고유한 매직 서클의 경계를 해체하기 위해 게임의 인공성을 강화한다. 또한 게임의 고유한 특성인 절차성을 게임 플레이를 통해서 형식적으로 제시한다. 세부적으로 메타 게임은 매체를 둘러싼 외부 콘텍스트를 게임의 요소로 활용하며, 게임 공간의 근원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 ‘미로’ 메타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나아가 메타 게임은 게임 특유의 상호텍스트성을 강조하면서 게임 세계 내에서 환상성과 현실성이 공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메타 게임을 통해 게임은 하나의 독립적인 표현 예술이자 실험적인 콘텐츠가 될 수 있는 동시에, 정형성과 관습성을 넘어서서 대안적 매체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메타적으로 제시한다.
        276.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전문적 텍스트를 함께 읽고 토론하는 교사독서모임이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는 교사독서모임을 통해 교사들이 어떠한 전문적 정체성을 발달시켜 가는지, 이러한 전문적 정체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독서모임의 주요한 특성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 교사의 교사독서모임 참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독서모임은 반성적 실천가이자 연계적 전문가로서의 교사 전문적 정체성 발달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발달에 있어 교사독서모임에서 함께 읽는 교육철학적 텍스트와 교사들 사이의 협력적 반성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발달과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의 교사독서모임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277.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ocess of resettlement in 1937 and adaptation to new places in Central Asia had a dramatic character for Koreans. However, the Koryŏ saram’s history cannot be reduced to a plethora of sad pages. Koreans could and have achieved amazing results in many spheres and have obtained high status in the USSR and later, in Post-Soviet Central Asia. Among them there were/there are the Heroes of Socialist Labor (the highest non-military title in the USSR), Vice-Prime Minister, ministers and vice-ministers, senators, members of National parliament, winners of Olympic Games and World championships, rectors of universities, outstanding scholars and businessmen, etc. Koryŏ saram have lived in different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in various ethnic environments. Their identity is composed of a multicultural character which includes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Central Asian, Russian, Soviet and Western cultures. This has led to the flexible behavioral models. After collapse of the USSR, Koreans have faced with new challenges that imply new attitudes to the strategies of Koreans and Korean organizations.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ideas that have been published and presented at various conferences and in the various works in the 1990s and the early 2000s. However, in the present article these ideas are generaliz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nges over the past years.
        278.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세기 현대 해석학을 대표하는 철학자인 폴 리쾨르의 서사해석학을 검토하고 내러 티브 정체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리쾨르의 저서인 󰡔시 간과 이야기 1, 2, 3󰡕과 󰡔타자로서 자기 자신󰡕을 중점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관련 선행 연구와 전기 관련 문헌 등을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리쾨르 서사해석학이 갖는 유아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문학 텍스 트의 구조나 내용 요소들의 파악을 강조하는 ‘문학 텍스트에 대한 해석’을 뛰어 넘어 문학의 세계 속의 사람과 자신의 삶을 연결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문학을 통한 삶의 해석’을 지향하는 방향 으로 나아가야 함을 함의한다. 둘째, 교사와 유아간의 내러티브 행위를 통한 의미의 형성화 과정을 수반한 내러티브 정체성 형성을 중시하며, 내러티브를 통하여 좋은 삶을 지향하는 인성교육이 가 능함을 함의한다. 셋째, 인간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올바르게 가지도록 하는 교육의 근원적 목적 달성의 방안으로서 ‘내러티브 생성을 통한 유아의 자아정체성 형성의 지원’이 중요함 을 함의한다.
        27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urkle(1995)의 연구를 시작으로 MMORPG의 유저들이 자신을 대변하는 아바타의 창조 과정에서 나타나는 multiple identity 투영 현상을 놀이의 개념을 더하여 identity play라고 설 명하고 있다. identity play는 아바타 커스터마이징의 놀라운 기술 발전과 소셜 문화로 인해 더욱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identity play가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의 내적 동기를 규정한 선행연구에 이어 identity play의 구성 요소에 관한 구조 모델을 세워 이를 개념화하고자 한 다. 온라인 환경에서 유저들의 identity play의 모델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유저의 아바타 태 도에 대한 상관을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에 의해 검증하였다.
        280.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 사회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네트워크 기술로 인하여 지역 간, 나라 간의 경계가 모호해져 가고 있다. 글로벌 사회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는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의 정체성 확립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또한 서울 방문 외국 관광 객이 2,000만 명 시대를 대비하여 도시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민들의 자긍심 고취와 타 도시 대비 경쟁력 제고를 위한 브랜딩 과정의 공감과 확산에 도움이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TCCS분석인 Trend, City, Competitor, Stakehoder 4가지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서울시의 키워드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브랜드 정체성을 제 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키워드는 ‘공존하는’, ‘열정적인’, ‘트랜디한’, ‘배려있는’, ‘여유있는’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로 인해 서울시는 서로 다른 요소들이 공존하며, 열정적인 시민과 트랜디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배려와 여유가 있는 도시, 공존 의 철학으로 열정적이면서도 여유와 배려가 있는 트랜디한 도시, 열정적이며 트랜디한 문화를 이끌어가면서도 공존의 정심 으로 배려와 여유를 놓지 않는 어울림의 도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는 나타난 서울시의 정체성은 다양한 디자인 분야의 컨셉을 도출하거나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를 개최할 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