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연직하중을 받는 평면 케이블의 처짐 형상을 결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케이블의 일반정리에 의하여 케이블의 처짐 형상을 구하는 경우 임의의 한 점에서 처짐이 기지값으로 주어져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처짐값이 주어지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에 대하여 케이블의 정리와 기하학적 적합조건식을 토대로 케이블의 처짐 형상을 반복계산에 의해 결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기법은 케이블의 신장을 고려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확장하였다. 본 연구의 기법으로 케이블의 신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해석과 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실내 모형실험 및 해석을 수행한 결과 제안한 기법이 타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논문은 미분구적법(DQM)을 이용한 탄성지반 위에 놓인 변단면 압축부재의 자유진동에 관한 연구이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채택한 지배미분방정식과 경계조건을 DQM에 적용하여 고유진동수를 산출할 수 있는 수치해석법을 개발하였다. DQM에서 수치적분을 위한 격자점의 선택은 Chebyshev-Gauss-Lobatto 법을 택하고, 고유치의 산정은 QR 알고리듬을 이용하였다. 타문헌과의 결과비교를 통하여 본 연구의 걸과가 타당함을 보였고, DQM에 대한 적용성 검토에서 고유진동수의 산출이 매우 안정적임을 보였다.
형상 최적설계 중에 발생하는 절점의 과도한 이동은 요소망을 왜곡하고, 결국 최적해의 저하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 형상 최적설계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구조물의 형상이 변해 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의 설계 영역을 정하여, 균일하고 세밀한 요소망을 미리 생성한다. 각각의 최적화 단계마다 모든 요소들과 구조물의 위치 관계를 검사하여, 내부의 요소에는 실제의 물성치를 부여하고, 외부에 존재하는 요소는 0에 가까운 물성치를 부여한다. 변위와 고유 진동수의 제한조건을 가진 두 개의 예제를 통해 이 방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had been officially forbidden in its exercise because of the Exclusive KOREAN Usage Policy until the few cities and provinces had begun to activate the school discretion time(學校 아량 時間) during The 6th Curriculum period. However, such program had also been neglected for the English texts due to the worldwide expansion progressive movement of the civilian government: so, THE 7th Curriculum had also been unable to establish a legal foundation executing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Some says that we can initiate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rough the free time activity(雅量 活動). However,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currently advising a creative method of educational operation rather than perform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ee time activity with textbook formats. An abstract about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must be discussed based upon the Chinese characters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However, the nationalized curriculum has not yet been created and it is difficult to find its reference. Only, we can look over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Chinese Characters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standardized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content is as follows,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explains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s divided in large areas of evaluation index, evaluation method, and activities of the evaluation outcomes. First, the evaluation index is located as limited fields of Chinese characters(漢字), language(漢字語), and words/phrases(漢字語句)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le the evaluation direction is described to avoid flowing in to grammar or knowledge evaluation. Second, the evaluation method is to be balanced in each areas lesson contexts Chinese characters, language, and words/phrases: but, the Chinese characters evaluation must include suggesting in relation to the format(形), sound(音), and meaning(義) while the language evaluation must show the daily linguistic skills, and the words/phrases focused upon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its comprehension. Third, th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s should not only be used in achieving the students advancement in their academic performance but also the instruction/teaching methods for the Chinese education. The 7th Curriculum is the student-oriented Curriculum based upon independence and creativity. Therefore, the evaluation method must have a thorough, alternative plan suited for such spirit. This is not the end result-centered evaluation but rather it should shift its gear towards the learning-centered evaluation. For such occurrence, the teachers instructional and teaching method needs to be progressed according to the students-oriented activity education rather than of the one that is teacher-oriented. Moreover, a profound improvement planning is requested for the education department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nese education as with The 7th Curriculum being activated. In order to successfully pursue the students-oriented education that the Curriculum program appoints to, the free time activity operation needs to be expanded of its liberality. Additionally, the nationalized level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process in elementary school that coincides with The 7th Curriculum program must be prepared as well.
제품의 품질을 측정함에 있어 대부분의 방법들은 각각의 항목들에 대해 가중치를 부과하고 등급을 부여함으로써 실시된다. 그러나 고객의 입장에서는 단순한 등급보다는 객관적인 품질과 주관적 품질을 모두 고려한 보다 객관적인 품질평가지표를 원한다. 이 논문에서는 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와 메디안랭크(Median Rank) 방법을 사용하여, 상호 품질항목에 대한 쌍대비교를 통해 척도를 산출해 낸 후 해당되는 메디안 랭크를 부여함으로써 객관적 및 주관적 품질요소를 모두 반영한 통합된 품질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Databases are central to business information systems and RDBMS is most widely used for the database system. Normalization was designed to control various anomalies (insert, update, delete anomalies). However, normalized database design does not account for the tradeoffs necessary for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we model a database design method considering denormalization of duplicating attributes in order to reduce frequent join processes. This model considers response time for processing each select, insert, update, delete transaction, and for treating anomalies. A branch and bound method is proposed for this model.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injection molded parts and the process condition is very complicate because of lots of factor are involved and each factor has a non-linearity. With the development of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 technology, the estimation of volumetric shrinkage of injection mold parts is possible by computer simulation even though restricted application. In this research, the Taguchi method and Neural Network applied for finding optimal processing condition. The percent of volumetric shrinkage compared on each case and show neural network can be successfully applied.
In this study, we establish bootstrap control limits for robust M-estimator chart by applying the bootstrap method, called resampling, which could not demand assumptions about pre-distribution when the process is skewed and/or the normality assumption is doub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bootstrap M-estimator control chart is developed for applying bootstrap method to M-estimator chart, which is more robust to keep Type Ⅰ error when process contain contaminate quality characteristic.
성능에 기초한 설계법에서는 비선형 응답산정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비선형시각이력해석법, 비선형 정적해석법, 비선형 효과를 고려한 등가선형해석법 등이 있다. 일부 규준에서는 pushover곡선으로부터 작성한 성능스펙트럼과 선형 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작성한 요구스펙트럼으로 이루어진 능력스펙트럼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개념적으로는 간단하나 반복과정이 요구되며, 부정확한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시행착오적인 등가선형 스펙트럼대신 비선형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비선형 요구스펙트럼은 표준적 선형 설계스펙트럼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등가선형의 경우보다는 계산과정이 대폭 줄어들기는 하나 아직도 다소의 연산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자유도계의 구조물에 대한 pushover곡선으로부터 구조물의 진동주기와 항복강도를 구한 다음, 일련의 계산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직접적으로 비선형 최대응답을 구할 수 있는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NDSM)을 제시하극 집중질량계의 MDF(다자유도계) 모델에 대해 다양한 지진기록과 제하강성저하지수를 변수로 하여 NDSM의 적용성과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다자유도계 구조물에 대한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에 의한 최대변위 응답은 비선형 시각이력해석법에 의한 응답과 거의 일치하므로 실용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2)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과 비선형 시각이력해석에 의해 산정된 죄상층 변위 결과를 비교하면, 항복후강성계수가 0.1, MAD(modal adaptive distribution)에 의한 수평정적하중분폰 그리고 제하강성저하지수가 0.2~O.3일 때 평균오차가 가장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0.2%와 64.3%로 판막재건술을 시행했던 환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두 군 사이의 통계학적 의의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건삭파열 및 유두근 파열로 인한 승모판막 폐쇄 부전의 가장 많은 병리조직학적 원인은 비특이적 변성이었다. 또한 판막 폐쇄 부전의 원인이 승모판막의 퇴행성 병변일 경우에 수술적 방법으로서 승모판막 재건술은 그 장기 성적이 양호하고 수술적 결과가 승모판막 치환술과 비교적 우월한 차이를 보이므로 승모판막 폐쇄 부전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대상 혈관의 정확한 수술 전 평가 등을 통해 중장기 개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25^{\circ}C에서 49.30% (76.66mg/kg)로 나타나 주로 25^{\circ}C 이하에서 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배양온도에서 검지 된 뷰틸산의 량은 6일 동안 돈분에서 1,463.87mg/kg, 계분에서 96.72mg/kg, 우분에서 129.18mg/kg이 발현되었으며 돈분의 경우 93.31%(1,365.95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7.92%가 3일령, 4일령과 6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계분의 경우 37^{\circ}C 처리구에서 76.60%(74.09 mg/kg)로 발현되었고 이 중 88%가 1일령, 2일령과 5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우분의 경우 61.55%(79.51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9.6%가 1일령, 3일령과 4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4. 배양온도에서 검지된 이소밸릭산의 량은 6일 동안 돈분에서 6,885.99mg/kg, 계분에서 307.47mg/kg, 우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