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典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흔히 不立文字라고 하지만, 어찌 글자의 쓰임을 구분하지 않고 문장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겠는가? 마음이라고 다 같은 마음은 아니다. ‘心ㆍ意ㆍ識’이 서로 다른 마음이고, 마음을 닦는다고 할 때 그 마음은 오직 하나의 마음이 아니고, ‘닦아야 할 대상이 되는 마음’, ‘닦고자 하는 주관의 마음’, ‘닦고자 목 표로 설정한 마음’, ‘닦아 나갈 때 마주하는 단계 단계의 마음’, ‘닦아서 종국에 이른 마음’ 등으로 분류할 수 있어서, 불전에서 자주 사용되는 ‘心ㆍ意ㆍ識’이나 ‘不覺ㆍ本 覺ㆍ始覺ㆍ相似覺ㆍ隨分覺ㆍ究竟覺’ 등의 용어를 분명히 나누어 알면, 佛典뿐만 아니 라 한자로 쓰인 문장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이에 佛典에서 자주 쓰이는 ‘보다’類의 動詞로 ‘見ㆍ看ㆍ觀’과 ‘示ㆍ視’ 등에 관해 본고에서는 ‘示ㆍ視’를 ‘見ㆍ看ㆍ觀’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살펴보아 아래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示ㆍ視’는 色境을 앞에 내놓고 보여주거나, 色境이 앞에 놓여있어서 그냥 시각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지만, ‘見ㆍ看ㆍ觀’은 시각 행위의 주체가 시신경에 들어온 사물을 과거의 경험이나 혹은 사회적 배경 등 의도를 가지고 바라보는 것이 라 할 수 있다. 둘째, ‘示’는 ‘대상을 드러내 보이다’라는 의미이다. ‘視’는 보이는 대상이 먼저 주어진 다음에 보는 것으로, ‘見’이 보려는 의도를 가지고 본 후 그 결과를 지식으로 삼는 것인 반면, ‘視’는 色境이 놓여있어서 본다는 의미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여선외사』는 청대에 창작된 백화장편소설이다. 본 논문은 이 소설이 ‘정난지변’을 소설의 주요 플롯으로 차용하면서, 전쟁을 이끄는 주체로 남성이 아닌, 당새아와 다양한 여성인물들을 전면에 내세운 점에 주목했다. 그리하여 먼저 소설 속 다양한 여성형상을 인물이 속한 세계에 따라 선계, 마계, 인간계로 나누어 특징을 분석한 후, 여성인물들의 가치와 신념이 작동하는 방식의 고찰을 통해 이러한 여성형상이 갖는 소설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삼국연의』의 여성인물이 소설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 되었는지 살펴본 후, 여성 형상의 특징을 정리하였는데, 여성 등장인물은 자신만의 목소리나 감정을 발산하지 않고 개인적 욕망이 없는 것처럼 그려졌다. 『삼국연의』가 삭제해도 무방한 여성인물들을 ‘自我가 없는 존재’로 형상화한 것은 작가의 서사전략이다. 작가는 이들 여성인물들을 이용하여 중심인물들을 부각하고, 영웅을 판별하는 잣대로 이용했으며, ‘忠’이라는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기 위한 서사전략으로 활용하였다.
본고는 중국의 장편 기행문을 고전 문학 교학에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모색한 연구이다. 기존 대학 강의에서 이미 다루어지고 있는 장르가 아닌 기행문을 선택한 이유는 여행이라는 매력적인 주제를 통하여 대체로 난해하게 여겨지던 중국 고전을 학습자에게 보다 흥미롭게 전달하기 위함이며 또한 수백 년 전 문인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그 속에서 문학 교육뿐만 아니라 언어ㆍ역사ㆍ문화 교육으로 자연스럽게 연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론에서는 교학에서 주로 다루게 될 宋 代 기행문인 『入蜀記』와 『吳船錄』을 소개하고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사용하게 될 몇 가지 웹사이트를 살펴본 후 향후 강의에 직접 활용이 가능하도록 학습 지도안을 예시로 작성했다.
현재 중국 중고차시장은 급성장단계에 있다. 시장진입 초기인 2000년대 초반부터 자동차산업시장의 발전 흐름을 타고 성장 움직임을 보였다. 중국 정부는 2004년 「자 동차산업발전정책(汽车产业发展政策)」을 마련하며 중고차시장 발전 의지를 공식적으로 드러냈다. 이어서 로컬기업뿐만 아니라 대형 외자기업에도 중고차판매를 허용하 며 본격적으로 시장 규모를 확대해가고 있다. 중국 중고차시장에 대한 기존의 관망적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접근 전략을 모색해야 할 적절한 시기에 당면하였다. 이 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국 자동차산업 시장의 환경 변화와 관련하여 최근 급성장 하고 있는 중국 중고차시장의 유통 활성화 추세와 특징을 고찰하고 발전을 저해하는 제도적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관련 거래 기준 정책이 정비되는 과정에서 발전을 저해해온 문제 요소들이 차츰 해결되고 거대시장으로 성장 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종합적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차이니스 레포지터리』의 「잡록」과 「사건일지」란의 소개 내용을 중심으 로, 19세기 초 신교 선교사들의 눈에 비친 중국 사회의 부조리, 자연 재해, 국가 기 능, 지역 소식, 인물들에 대한 정보들을 살펴보았다. 이 두 항목에서 주로 그려진 서사는 당시 중국에 와 있는 선교사들이 직접 문화접촉의 현장에서 마주했었던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 주면서, 동시에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들 삶의 현장성을 그대로 반영해 준다고 파악된다. 본 논문은 중국의 내부와 외부가 만나는 경계 지역에서 형성되는 현장성을 미세서사의 형식으로 재현하고 있는 『차이니스 레포지터리』 의 서사에 주목하면서, 그 안에 가로질러 있는 신교 선교사들의 근대적 열망을 추출 해 보았다. 필자 또한 이들의 이 같은 서사가 단순히 물리적 혹은 계량적 묘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당대의 사회 모순과 다양한 층위에서 살고 있는 약자들의 삶이 녹아 있다고 판단한다. 본고는 이 같은 외연에서의 미세서사와 그 내면을 채우는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긴장을 어떻게 읽고 해석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보고자 하였다.
근대는 활자 미디어의 시대이다. 활자의 발명은 인쇄술의 혁명을 가져왔고, 인쇄술의 발달은 대량의 신문잡지와 책의 출판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 대중들은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게 되었고, 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되 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근대적인 출판이 시작된 곳은 바로 해역도시들이었고, 이 도시들을 중심으로 각 지역으로 지식이 전파되기도 하고 또 수용되기도 하였다. 근대 동아시아 지역에서 지식의 수용과 전파는 이렇게 형성된 동아시아 출판네트워크 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동아시아의 출판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해서 동아시아 지역의 각 국가들을 중심으로 살피고, 또 이 지역에서 생산된 출판물들이 해역도시들 간에 어떻게 이동되었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보았 다. 여기서 도서만이 아니라 출판업 곧 인쇄소, 출판사, 서점 등의 하드웨어 자체가 이동한 것을 중심으로 파악했다. 이것은 근대 이후 동아시아 지역에서 출판의 대중 화와 산업화가 이 지역 사람들의 근대적인 지식을 전유하는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 나아가 동아시아의 인문네트워크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다.
본 논문은 초·중급 학습자를 위한 교재코퍼스 개발을 통해 난이도 별로 예문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중급 교재코퍼스 개발은 학습자들이 배우고자 하는 어휘나 문법 규칙에 다양한 방식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예문을 수집하고 학습의 주체가 되어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이에 본고는 회화, 문법, 작문 등의 연계교육에 교재 코퍼스가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 다양한 형태의 수 업 방안을 제언한다.
Chinese business teaching aims to train the ability of learners in language applying, workplace communicating and inter-culture communicating. By now,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teaching designing or the method improving. Few of the scholars noticed the three “inter” dimensions in business Chinese teaching: interdiscursivity, intersubjectivity and interculturality. In detail, the interdiscursivity mea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reading and the context understanding, while the intersubjectivity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Moreover, the concept “Interculturality” means the way learners understand the different kinds of culture. The study on those three “inter” dimensions in business Chinese teaching could not only help teachers in method applying in business Chinese teaching, but also provide a more efficient way in reading, writing and understanding.
Based on the theories of word order typology,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the system of adpositionsfrom Chinese and Koreanin terms of typological parametersbyexamining and comparing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Many Chinese prepositions and Koreangrammaticalauxiliaries areadposition universals in preposition-based argument structure for leveragingsubject and predicate relationship. Chinese has an increasing number of prepositions, postpositions and circumpositionsina semi-open state, but Korean has a relatively small and stable number of postpositions in a semi-closed form.Despite the discrepancy ofnumbers and typ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hinese preposition and Korean postposition are congenial pairs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indicating the contrast of adpositions between SVO and SOV languages,given that both languages havemore adpositionsof situational and relational functionsthan of comparative, causal,subjective and predicative functions.
The research on the subjectivity of the Adverb “Jianzhi” has always been limited to “hyperbole” and “emphasis”. This paper attempts to break through the lack of analysis 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its subjectivity. On the basis of cognitive linguistics theory and subjectivity theory, it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Jianzhi” in the two dimensions of Subjectivity——directional dimension and measurement dimension, and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behind the phenomenon So as to clarify the pragmatic conditions of “Jianzhi”.
“Jianzhi” has three characteristics——“forward”, “reverse” and “deviation” in the directional dimension of subjectivity.
In the context of expressing “identification” and “progressive” semantics, it is expressed in a straight direction; in the context of expressing “denial” and “derogation”, it is expressed in a reverse direction; in the context of expressing “accident”, it is expressed in a deviation.
“Jianzhi”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ive increment” and “subjective decrement” in the measurement dimension of subjectivity.
본 논문의 목적은 대화협력원리를 통하여 『史記』 대화문에 출현하는 표경부사(表 敬副詞) ‘幸’의 함축 의미를 분석하고 어떠한 한국어 번역으로의 화행 표현이 효율적 인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幸’의 사전적 의미와 용법에 대해 알아보고, 화자와 청자의 맥락적 관점에서 의사소통 과정을 살펴보았다. 표경부사로 사용되 었을 때 ‘幸’은 단순히 허사의 용법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닌 前後 맥락의 함축 정보에 따라 표현이 각각 달라지기도 한다. 해석과 번역은 문법적으로 같은 구조, 어휘적 으로 같은 형태의 문장일지라도 각각 내포된 의미에 따라 서로 다르게 표현된다.
Based on the nature of "Bu (不)+ N" structure, this paper divides the negative words in pre-Qin Chinese into two categories and five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time and space, and combs the evolution of Chinese negative word system from Pre-Qin to modern Chinese. This paper also focuses on two problems: (1) whether "Bu(不) + N" is the negation of noun by the determiner "bu(不)", and whether there is no implied verb between "Bu(不)" and noun, nor is the noun used flexibly as a verb; (2) there are two sources of "MEIYOU(没有)" in modern Chinese, first from the negative sign of noun "WU (无)", then from the negative sign of verb "WEI(未)". Traditionally, the negation words of pre-Qin Chinese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1) The "Bu(不)" category, which means simple negation. (2) The"Wei (未)"category, indicating a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past. (3) The "Fei(非)" category, which conveys negation of judgment. (4) The "Mo(莫)" category, signifying prohibition. Such classification, though comes with a certain degree of rationality, but embraces unscientific elements. For example, the "Bu(不)" category as a notion of simple negation is not a scientific explanation. This paper attempts to apply the research results of negative words in modern Chinese to the study of negative words in ancient Chinese. Professor Nie Renfa聂 仁发 (2001) believes that the time significance of the "Bu(不)" and "Meiyou(没有)" categories in modern Chinese is reflected in the "Object(体)" rather than "time (时)" and summarizes their differences as: "Bu(不)" :【+Negation】[-Realization] Or“Mei(没)“:【+Negation】[+Realization] Professor Nie”s belief is truly inspirational. Hence we pursue further, by judging from the time elements of the pre-Qin Chinese negation word system, to try to divide them into two main categories as well as five small sub-categories. We shall be deeply obliged to receive feedbacks in any forms as well as criticisms as to determine whether this classification is appropriate, correct and in particular with reference to the negation of judgment as a [-Time elements]; while the negation of the imperatives as a [+Time elements].
There are six volumes of Sushi蘇軾 that has records related to Zigushen子姑神. Among them, 〈Zigushenji〉 is the record about Sushi’s observation of a shamanic ritual at a house in Huangzhou. Here, Sushi had a conversation with a spirit named Zigushen, and recorded the details of the conversation. This paper discusses three main points focusing on Sushi’s records. The first point is the discussion of the credibility of his story by comparing with five other works of his. The second point is the credibility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with the spirit. The spirit claimed that she was a woman name Hemei during the Tang dynasty. And she described events during and after her life to Sushi in detail. She also wrote several poems after the conversation with Sushi. The third point is about how to explain this phenomenon if her words were truthful, and why Sushi slightly doubted the phenomenon.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work concludes as follows. Not all Zigushens in ancient Chinese literatures are Hemei, but the one in Sushi’s work is. The concreteness of the conversation and the phrases from the poems support the idea that it is not fictional. Modern Chinese scholars treat these ancient records as literary works. They argue that these fictions are of intellectuals expressing their concerns through ghost stories.However, this view is based on materialistic thinking. We can understand the mental world of ancient Chinese people, if these stories are treated, not just as literary works, but as records. There are thousands of similar stories in 《Taipingguangji太平廣記》, an ancient Chinese literature. Jiyun紀昀 of the Qing dynasty has also written many stories about shamanic rituals. His writings are relatively objective and detailed. This paper analyzes contents of Sushi’s work with Jiyun’s writings. Of course, not all phenomena of shamanic rituals are believable. Spirits can be deceitful, even when the conversation coincides with the reality. It is for this reason that Sushi was doubtful toward the Zigushen phenomenon.
본고는 육기(LuJi), 위응물(WeiYingWu)의 고시(Ancient Poems) 제12수의 모의 작품을 분석하고 이 작품들의 특징과 창작의 중점을 고찰했다. 고시 제12수는 전후반 부 연결의 부자연성 때문에 별개의 작품 두 편이 합쳐진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육기와 위응물의 의고시는 모든 구절을 흡사하게 모의하면서도 위진남북조와 당대라는 시대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육기의 의고시는 원작의 시의(詩意)를 따라 내용을 전개하되, 작품의 언어적이고 형식적인 특징에 중점을 두었다. 그런데 위응물의 의고 시는 전후반부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만드는 과정에서 시구를 다듬는 방식도 사용했지만 모의의 대상을 바꾸거나 전고의 성격을 바꾸어 자신의 감정이 의고시에 투영되도록 만들었다. 이는 육기의 창작보다 더 난도가 높은 작업이었고 형식은 의고지만 내재적으로는 자신의 서정을 펼치는 창작이었다.
『詩經』 관련 전통적 저작이나 해석서로부터 멀리 벗어나 그 자신만의 차별화된 특 징을 보이는 王夫之의 『詩廣傳』은 明淸시대 經世致用 사조의 영향 아래, 개인의 철학, 역사, 정치, 윤리와 문학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詩經』 각 시편의 본뜻을 확대하여 설명하고, 자신의 주장을 자유롭고 폭넓게 적은 雜感性 문장이다. 王夫之는 『詩廣 傳』에서 시가의 본질은 ‘情’에 있으며, 그 ‘情’은 본능적 七情이 아닌 天理를 稟受한 ‘性’의 ‘情’임을 주장하였다. 그의 이 같은 문학사상은 비록 程朱理學의 견해를 계승 한 것이지만, 그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儒家詩學의 溫柔敦厚한 詩敎를 실현하기 위해, ‘情’에 대한 절제와 함께 ‘情’에 대한 여유와 관대함을 파격적으로 주장함으로써, 경직된 儒家詩學의 고루한 논리적 울타리를 크게 확장하였다. 본 논문은 儒家六經의 하나인 『詩經』을 ‘廣傳’이라는 독창적인 ‘논술적 설명방식’을 통해 ‘넓게’ 바라본 『詩廣傳』의 특별한 서술특징과 그 철학 및 문학주장의 핵심을 관통하는 내재적 精髓를 고찰하여, 王夫之 文學思想의 근간에 한걸음 더 접근하고자한 연구논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전자상거래기업의 해외진출이 활발한 원인을 진출방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중국의 전자상거래기업은 중국 국내시장의 폭발적 성장에 힘 입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핵심은 신속한 배송이다. 그러나 전통 국제물류는 배송시간이 길고 물류 원가가 비싸며 반품 등 서비스가 낙후되어 전자상거래에 적합하지 못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물류시스템이 등장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해외창고방식이다. 해외창고방식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이용하여 현지 소비자의 수요를 미리 예측하여 제품을 현지에 설립된 창고에 배송함으로써 판매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비수기에 제품을 미리 해외창고로 배송함으로써 배송 성수기를 피하고 저렴한 비용에 해외창고로 보낼 수 있다. 특히 반품이나 교환, 제품 추적에도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융합되어 전통 국제물류가 가진 단점을 보완하였다. 비록 판매예측이 빗나갔을 경우 리스크가 발생하지만 해외창고방식은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중국 전자상 거래기업이 글로벌시장에 영향력을 확대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 전자상 거래기업은 해외창고방식을 바탕으로 중국 국내시장이 아닌 세계의 시장으로 그 영 역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The Internet has opened an industry chain connecting movies, TV, online games and animation, so the IP of online novels is not limited to movie adaptations, but also includes games, anime, and peripheral products. The gradual improvement of the online novel copyright trading market is the transformation of the IP Internet providing a development environment, and building a complete industrial model can make popular IP play a higher value. However, compared with the relatively complete and mature IP industry chain abroad, China's online novel IP industry still has many problems. The problems of the IP industry of online novels have become more and more obvious, and the quality of works is uneven; the main body of each link of the industrial chain is lacking in union; the value of brand IP has not been maximized. The popularity of online novel IP indicates that the industry has recognized the characteristic of "content is king" in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IP development is a long-term process, and it is vigilant that the market caters to the short-sighted behavior of "emphasis on interests and light on culture" This paper discusses the problems of IP development of Internet novel by analyzing the status quo of IP development, analyzing its characteristics and summarizing the mode of IP industrialization of Internet novel from the angle of culture industry development, taking IP as the object of research.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value chain, it proposes solutions on how to convert online novel IP into high-quality IP resources and how to develop new models under the original industrial model, with a view to providing a new format for constructing and improving the industrialization of online novel IP reference.
사상초유의 대통령 탄핵을 경험한 한국사회에서 인터넷은 소통의 새로운 방식이자 공간의 확장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중국의 인터넷 공간은 한국과는 사뭇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표현의 자유보다는 ‘인터넷 주권’이 우선시되기 때문에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요소들은 모두 검열과 차단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인터넷 만리장성(Gr eat Firewall of China)의 구축, 구글·페이스북·트위터 등 글로벌 인터넷 기업들의 퇴 출과 중국 IT 기업의 부상은 중국 내 인터넷 통제가 더욱 견고해지고 치밀해지는 과정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와 동시에 중국정부는 경제발전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인터넷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중국은 모바일 결제 시스템, 공유경제 시장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본고는 중국의 사례를 통해 인터넷 공간이 국가권력에 의해 어떻게 재영토화되는 지와 공간이론으로 설명하기 힘든 중국식 가상공간의 확장을 살펴보고, 중국을 포함 한 전 세계적 가상공간이 보편성을 획득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선행조건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서구 철학사와 물리학사에서 논의되어온 절대적 공간 개념 및 상대적 공간 개념이 중국의 인터넷 공간에서도 적용 가능한지를 짚어봄으로써 중국의 인터넷 공간이 지니는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현시대에 이르러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의 담론이 범람하고 있다. 이처럼 엄중한 상황에서 인문학의 사회적 책무는 4차 산업혁명이란 것은 도대체 무엇인지, 그것은 또 어떠한 역사사 회적 과정과 맥락에서 등장하게 됐는지를 규명하는 작업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 일일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작업은 현시대,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속도혁명 또는 질주정적 혁명의 시대로 상정, 규명하고, 속도-헤게모니에 맞설 수 있는 리듬-대항헤게모니의 가능성, 달리 말해 그 둘 간의 변증법적 관계 설정의 가능성을 한자의 문화콘텐츠화에서 모색한다. 다양한 이론적 작업을 통해 한자의 문화콘텐츠화를 뒷받침하고 한자 자체의 사회적 가치를 증진하는 것이야말로 미래의 시민과 시민사회 형성에 기여하리라는 주장도 아울러 펼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