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197

        240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한국 정치의 키워드라고 하면 단연 ‘음모론’이란 언어이다. 어느 사건이나, 정치적인 이슈가 발현하게 되면 어김없이 언론, 뉴스, 개인 방송, SNS를 통해 ‘음모론’이란 단어가 등장한다. ‘천안함 음모론’, ‘총선 음모론’, ‘코로나 음모론’은 물론이거니와, ‘美 대선 음모론’, ‘9.11 음모론’ 등 자극적인 제목으로 대중들의 관심을 끈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음모론’이라는 딱지를 붙이는 순간, ‘음모론’에 대한 합리적 의심도 하지 않은 체, 비합리적이고, 편집증적인 환자 취급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음모론’이 어떻게 발생하고, 정치적으로 어떠한 기능을 하고 있는지, ‘음모론’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학문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음모와 관련되었던 역사적 사건들이나, 일상생활에 듣고 보는 정치적 비밀, 음모로 포장된 진실들을 음모론으로 포괄하여 살펴보았다. 음모론은 개인의 편협한 사고로 사회를 왜곡해서 보는 관점이지만, 음모론이 사회를 바라보는 비판적 의식을 가져온다는 긍정적인 특징을 7가지로 분석하였다. 반면 음모론은 검증은 가능하지만, 과학과 실험에 의해 반증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음모론의 한계가 있다고 칼 포퍼의 논의를 빌려 음모 론의 한계를 설명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의 시대를 해석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적 지식으로서의 음모론을 좀 더 체계적이고, 비판적인 이론으로서의 학문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7,000원
        240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공원, 녹지, 도로 등의 공공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도시 계획시설로 지정된 시설 중 결정·고시 이후 10년 이상 지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일몰제가 적용됨에 따라 지정도시계획시설 사유지에 대한 개발이 제한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녹지지역에 대한 개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원녹지의 개발로 인해 생태계서비스의 중요한 역할인 재해 저감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도시지역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자주 발생되는 홍수와 열섬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대상지의 공원녹지의 개발로 인해 유출 량은 11% 증가되었고 대상지의 온도는 평균적으로 2.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 그린인프라의 재해저감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시계획시설 일몰제로 인해 발생될 수 있 는 무분별한 개발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40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입목재적 계산에 기본이 되는 수간고별 직경 추정에 있어 머신러닝 기반 학습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하는 상수리나무 표준목에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Kozak Model (Model 1)과 Random Forest Model (RF, Model 2 to 4)로부터 수간고별 직경 값을 도출하였고, 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RF는 입지환경 요소를 학습에 활용하여 3가지 모델 (Model 2 (수고, 흉고직경), Model 3 (수고, 흉고직경, 입지환경 요소), Model 4 (수고, 입지환경 요소))로 개발하였다.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적합도 지수(Fitness Index), 편의(Bias), 평균절대편차(Mean Absolute Deviation),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를 이용하여 모델의 적합성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Kozak 모델(FI = 0.9695, Bias = 0.0292, RMSE = 1.5155, MAD = 1.1248) 에 비해 RF모델이 전반적으로 수간고에 따른 직경을 잘 예측하는 모델로 나타났으며, RF 중에서도 입지환경 요소를 학습에 활용한 Model 3의 경우(FI = 0.9740, Bias = 0.0186, RMSE = 1.3995, MAD = 0.9746)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간곡선을 통한 경향을 분석한 결과 일부 구간에서 수고의 변화에 따른 직경 추정에 이상치가 발생하여 추후에는 파라미터조절이나 새로운 모델 적용 등을 통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추정된 Random Forest 기반의 수간고별 직경추정 모델은 개체목 재적산출에 활용되어 산림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240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0년 7월에 도시계획시설(공원) 실효제가 시행됨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근린공원 중 시민의 이용과 사유지가 많은 미집행 근린공원 35개소를 대상으로 공원이 실효되기 전 보상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현장조사, GIS분석 및 전문가의 자문 등을 통해 공원 특성에 따른 장·단기적 대응지 분류기준 및 공원보상 우선순위 기준 마 련하였다. 연구내용은 실효시기를 기준으로 장·단기적 대응지를 구분하여 단기적 대응지는 ‘접근성, 이용성, 관리성’에 따라 3가지의 순위로 구분하였으며, 장기적 대응지는 국공유지, 중 복규제지, 접근성 취약지, 공원기능 상실지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근린공원은 필지 별로 특성이 상이하여 공원 내 장·단기적 대응지가 혼재하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특히 까치산, 염창, 영축산, 고덕 등은 단기적 대응지의 보상필요면적의 20% 이상이므로 집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적 대응지 중 국공유지의 비율이 80% 이상인 낙산, 청량, 배봉산, 계남, 노량진, 불광, 와룡과 중복규제지의 비율이 공원 내 50% 이상인 세곡, 광 평, 고덕의 경우 해당 항목의 분포 비율이 높으므로 각 규제에 따라 공원별 통합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405.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atus of ICT in Education in Turkmenistan for achieving the United Nations’(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4 (SDG4) targets. The study uses two methods for data collection: a detailed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survey. For data collection through survey, the National Education Institute of Turkmenistan and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Turkmenistan Office representatives take in part to capture different dimensions of the same phenomenon; the integration of ICT into education in terms of achieving the SDG4 in the country. The results indicate the specific issues such as harnessing ICT as an access tool for education, using ICT for the equity and quality of education as well as the teachers’ ICT competency which need to be improved for achieving the Education 2030 in Turkmenistan. The study also finds priority areas for upcoming years: ICT for transforming and expanding TVET and higher education, improving teacher competency as well as building and upgrading learning environments in Turkmenistan.
        4,600원
        240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나무재선충병은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내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수목병해이다.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병 항공예찰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예찰 조사와 드론을 이용하여 항공사진 조사를 비교하였다.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과 건전목 구분을 위해 포항과 밀양의 소나무재선충 병 발생지역에서 저고도 항공사진을 촬영 후, RGB값, 분광식생지수(Spectral Vegetation Indices), M-통계값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공사진의 적색광 (R)값이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전목에서는 녹색광(G)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감염목과 건전목의 RGB값의 차이는 적색광(R) 값이 가장 크게 변동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RGB값을 이용한 분광식생지수 Excess red (ExR), R-G, Color index of vegetation (CIVE), Woebbecke index (WI)는 소나무재선충 감염목과 건전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분광식생지수의 M-통계값은 포항(2.3-3.1)과 밀양 (2.6-3.3) 모두 ExR, R-G, CIVE, WI에서 기준값인 1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드론으로 촬영한 저고도 항공사진의 RBG값과 분광식생지수 분석을 통해 소나무재선충의 감염목과 건전목의 구분이 가능하며, 소나무재선충병의 항공예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40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부권역 소나무의 지역별 완만도에 따른 생장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강원지역을 제외한 중부 산간지역, 남부 산간지역, 서남해안지역 등 3개 권역에서 115개소를 조사·분석하였다. 수집된 189본의 수간석해를 실시하였으며, Kozak 식을 이용하여 수간곡선을 추정하여 지역별 간재적표를 작성하였다. 지역별 완만도 분석에 의해 구간별로 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흉고직경 15cm 이하, 수고 10m 이하에서는 중부 산간지역에 비해 남부 산간지역과 서남해안 지역의 간재적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중부산간 지역과 남부 산간지역 간, 그리고 중부 산간지역과 서남해안 지역 간의 재적 추정치는 경급이 증가함에 따라 재적 격차가 커져서 본당 0.1m3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남부 산간지역과 서남해안 지역의 차는 본당 0.05m3 이하로 적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소나무 현실임분의 축적이 증대되어 수확기에 근접함에 따라 본 연구결과로부터 지역 간 정확한 재적 추정을 위해서는 지역 간 생장 특성을 고려한 지방적 재적표의 작성이 요구되어짐을 알 수 있다.
        4,000원
        240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육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능력 감소 등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육군 4개 대대 366명이며, 설문기간은 2020년 8월 7일부터 10일까지였다. 설문은 부대별로 집결하여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작성방법을 설명하였으며 그 자리에서 설 문지를 회수하였다. 스트레스원 21개 항목은 요인분석을 통해 5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모든 요 인의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이 보통이하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원인의 요 인별 정도는 환경요인, 직무요인, 간부요인, 사적요인, 관계요인 순이었고, 부대별은 포병대대, 기계화대대, 보병대대, 지역방위대대 순이었으며, 계급별은 상병집단, 병장집단, 일병집단, 이 병집단 순이었다. 종합적인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이 보통이상으로 높았고 스트레스 정도의 순 서는 부대별 순서는 동일하였으나 계급별에서는 계급이 높을수록 종합 스트레스 정도는 더 높 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직무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 해소 기간은 장병 대부분은 1주일 정도 소요되었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능력 저하는 장병의 58.5%가 20%~40%대 저하된다고 응답하였다.
        4,200원
        2411.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문에서는 五行의 起源과 관련하여 역사적 기점을 선사시대와 夏⋅殷⋅周 삼대로 대별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오행의 원시적 의미를 다양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첫째, 먼저 先史時代기원설과 관련하여 선사시대의 유물과 유적을 통해서 동서 방향의 구분이나 四神의 초기 형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을 오행설의 초기 형태와 연계시킬 수 있다. 둘째, 夏⋅殷⋅周삼대 기원설과 관련하여 『尙書』에 보이는 오행 관련 자료를 종합하면, 오행은 殷⋅周交替期에 명시적으로 정리되고 활용된 것으로 보이고, 그 의미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다섯 가지 물질이며, 나아가 그것을 주관하는 부서 및 관료를 지칭한 것이다. 셋째, 오행의 원시적 의미와 관련하여 殷代人의 역사와 생활 조건을 고려 하면 직관적으로 하늘과 땅의 구분에서 하늘(上帝)이 우선하며, 해와 달의 구분에서 해가 우선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계절의 변화와 아울러 오방 관념이 분명히 보이므로 오행설의 원형으로 추론할 수 있지만 자신들을 “中商”이라 고 지칭하여 사방과 차별하는 관념을 볼 수 있다. 요컨대 오행설은 상고시대의 上帝를 전제로 하던 농경문화를 기반으로 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西周시대에 이르러 오행이 지시 하고 적용되는 범위가 확대되면서 그 의미가 다섯 가지 기본 물질로부터 그 것을 관리하는 부서와 官僚를 의미하기도 하고, 相生⋅相克의 관계로 심화되 었으며 秦漢代에 이르러 陰陽과 아울러 인간과 우주 만물의 생성 변화 및 분류의 표준으로 정립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6,900원
        241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디지털 환경 속에서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게 된 우리들의 예상되는 미래를 언택트 디지털 인디펜던트Untact Digital Independent로 가늠해 보고, 콘택트 아날로그 인터디펜던트Contact Analog Interdependent 적인 한국춤의 미래적 대안으로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첫째, 한국춤은 한국이라는 지역적 공간 안에서 시간적인 확보를 가지고 끝없는 수용과 변용의 지속적인 전승으로 이어 온 예술적 진화의 가능성을 지닌 우리의 소중한 자산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그 예술적 진화가 가능했던 것은 시대별 핵심적인 매체가 있었기 때문이며, 한국춤의 미래적 매체로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적용해보았다. 이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란 우리가 예상하는 미래의 시대에 유기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지속적인 참여와 협력적인 창조까지 가능한 오픈형 융합 미디어 모듈 시스템이라는 주제적 개념을 이끌어냈다. 셋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 본 한국춤의 구조는 논리적·표층적·서사적·심층적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각종 미디어를 통해서 서사성, 분절성, 연속성 복합성, 확장성, 총체성의 방식으로 춤을 이야기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천을 들고 추는 춤’을 예시로 들었으며, 이러한 시도는 디지털 문화콘텐츠 및 미디어 문화 원형으로서의 한국춤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7,000원
        241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ripening level (50% and 100%), storage temperature (1°C and 10°C), and storage period (0, 7, and 14 days) on the fruit quality of the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cultivars “Arihyang” and “Kuemsil”, which are commonly grown for export in South Korea. Strawberry plants of each cultivar were grown in a plastic greenhouse, and fruit samples were harvested in January 2019 to evaluate the fruit hardness, gray mold rot, anthocyanin content, sugar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 found that “Arihyang” had a greater fruit hardness than “Kuemsil” across all storage periods excluding the day of harvest, and that fruit stored at 1°C had a greater hardness than fruit stored at room temperature (10 ± 2°C) for both cultivars. In incidence of gray mold rat, “Kuemsil” had a higher than “Arihyang”. The soluble solid content was highest at 7 days after harvest for both cultivars, with the exception of “Kuemsil” following storage at 1°C. The anthocyanin content was higher in “Arihyang” than in “Kuemsil” and was also greater in fruit that had be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due to the faster ripening time. Finally, the DPPH activity of fully ripened fruit tended to decrease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while the ABTS activity was the same across all treatment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rihyang” are more advantageous for long-term distribution as well as export than “Kuemsil”, and recommend that the two new cultivars of strawberry be cool stored at 100% ripening state and eaten within 7 days.
        4,000원
        241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근린공원 이용객들의 수요와 인식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 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기간은 2017년 3월 21일∼2017년 3월 27일 총 7일이었다. 건강증진을 위한 근린공원의 주 이용목적은 운동이 가장 높았으며, 도보 20분 이내, 체재시간 2시간 이내, 오후나 시간대 및 요일 무관한 이용이 높았다. 65세 이상과 이하의 연령별 주요 이용 목적, 시간, 요일에 차이가 나타나 연령별 수요를 반영한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 근린공원의 환경에 대한 인식 은 근린공원의 방문 편리성과 시설 편리성은 좋았으나 공원 운영 및 관리, 특히 안전성이 상대적 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부분은 근린공원의 시설 편리성이 가장 높았으며, 편의시설과 산책로나 체육시설이 매우 주요한 요인이었다. 향후 근린공원 내 운 동시설 추가설치와 치안을 위한 순찰확대 등의 서비스가 개선된다면, 이용 횟수를 증가할 것이 라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건강증진을 위해 이용객의 시설 확충 뿐 아니라 안전성, 프로그램 운영 등과 같은 공원 운영 및 관리 측면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415.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ssay analyzes the impact of COVID-19 in higher education based on national policies implemented during the current outbreak. Additionally, it enlists and discusses the proposed strategies developed to support higher education in a post-pandemic scenario based on education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4,000원
        241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오늘날 드론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가안보와 관련해서 도 미국의 연방보안기관들과 법집행기관들은 국가안보활동에 드론을 활 용해 오고 있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는 이와 같은 드론의 활용이 개인의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고 이에 대한 법률 적, 정책적 대응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사하게 드론을 국가 안보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이와 관련된 개 인의 사생활 침해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현재까 지는 국가안보활동의 목적으로 정부기관들이 드론을 활용하는 경우에 발 생하는 개인들의 사생활 침해와 관련된 법률적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논 의와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국내에서 국가 안보와 관련한 드론운용이 야기하는 사생활 침해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 한 논의와 대응이 부족한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관심을 제고하고 법률적 대응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미국 연방기관들의 국가안보 활동에서의 드론활용이 야기하는 사생활 침해와 관련한 법률적 대응에 대해 조사·분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미국의 국가안보 및 치안분야 드론 활용이 야기하는 사생활 침해문제와 관련하여 미국의 연 방수정헌법상에서의 판례 및 관련 쟁점들과 연방정부의 입법 사례들을 조사·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미국사례분석을 통하여 이 논문은 국내의 국가안보활동에서의 드론 활용이 야기하는 사생활 침해문제에 대한 법률 적·정책적 대응방안을 발전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241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테러를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법 중 하나가 선제적인 예방이다. 테러의 예방과 관련해서 테러이용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대량살상무기 등에 대한 안전관리가 중요한 화두의 하나이다. 대량살상무기들 중 방사 능물질의 안전관리는 기존의 전통적인 국가의 위기관리와도 깊은 관련이 있었다. 오늘날은 비전통적인 전쟁의 참여자로까지 분류되는 테러집단에 의한 방사능물질을 이용한 테러위협의 대응이 또한 중요하여졌다. 특히 과학과 기술의 진보로 드론 등의 새로운 기술의 이용으로 그간 어렵다고 여겨졌던 방사능물질을 이용한 대량살상 및 도심테러가 가능한 시나리오 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테러에 이용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대량살상무 기 중 가장 위험한 무기로 구분되는 국내의 방사능물질의 안전관리에 대 한 법령과 현황을 분석하였다. 테러이용수단에 대한 대테러방지법 상의 구체적인 내용이 부재하여 방사능물질의 안전을 다루는 국내의 주요 법 령에서 방사능물질 안전관리 법령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함 에 있어서 현행 법률의 테러이용수단으로서의 방사능물질안전관리의 효 율성과 적절성 등이 고찰되었다. 또한 분석에 있어서 방사능물질을 포함 한 대량살상무기 등에 대한 안전관리의 선진사례인 미국의 방사능물질관 련 대테러정책과 현황이 이 연구에서 소개되고 분석되었다. 미국의 사례 를 분석하고 소개하는 것은 국내의 방사능물질의 테러이용수단으로서의 관리 법령과 현황에 대해 비교하기 위해 목적이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이 연구는 문헌분석과 질적분석방법을 사용하였 다. 다양한 관련 학술논문과 정부보고서 등을 문헌분석하였고, 관련 전문 가들과의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문헌분석 내용에 대해 교차확인을 하는 분석을 거쳤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국내의 방사능물질과 관련된 법령과 관리주체인 기관 그리고 테러이용수단으로서의 방사능물질의 관리가 대체적으로 엄 격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국내의 법령이나 기관들의 관리실태는 방사능물질을 일반적인 핵물 질 안전관리 및 시설관리를 넘어서 테러이용수단으로서 구분한 안전관리 로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났다. 연구의 결론과 논의 부분에서 이 연 구의 분석결과, 국내 테러이용수단으로서의 방사능물질의 안전관리와 관 련된 법령 및 시스템적 정책적 대응에 대한 제안 등이 논의되었다.
        2418.
        202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port a massive outbreak of human Q fever cases, which occurred at totally 11 humans. The occurrence was related to a goat farm where Coxiella burnetii infection was diagnosed from goat tissues and environmental specimens. From January of 2018, continuous abortions from 6 goats occurred. Laboratory tests from 77 goat specimens for C. burnetii showed that 54 (70.1%) and 63 (81.8%) goats were positiv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spectively. The infection was also confirmed from the farmer, his wife and 9 persons from all 16 veterinary officials who had visited the farm for protective measures and preparing goat specimens for laboratory tests. The farm was found to be extensively contaminated with C. burnetii from the examination to the environmental specimens and epidemiological inspections, which might be the main source of C. burnetii infection to humans. The extensive contamination to the farm was derived from the uncareful handling of postpartum animal tissues or discharges by the farm owner. This report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system on the biosecurity to novice farmers.
        4,000원
        2419.
        202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a cluster of pneumonia cases of unknown etiology was first reported in China in December 2019,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caused by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worldwide has been increasing, and nearly two million patients are expected to have died by February 2021. Globally, COVID-19 is being considered a primary pulmonary disease, but it is more than a lung infection. This is because patients infected with SARS-CoV-2 present with a variety of clinical signs and symptoms involving many organs, ranging from fever, inflammation, myocardial injury, shock, and the development of coronary artery aneurysm. SARS-CoV-2 shows unique characteristics in its transmission, mortality, and stability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During COVID-19 pandemic, about 10 drugs have been clinically tried with none proven to be effective. With no prospect for effective drugs in the near future, there are currently possibilities of success with vaccines and convalescent plasma. Along with the prospect of vaccines and other therapeutic drugs, special precautions (isolation, testing, treating, and tracing) are strictly recommended until we return to normal situations. In this review w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clinical presentations,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COVID-19, and tried to assess the clinical effects of some drugs as part of the ongoing efforts to understand COVID-19 pandemic.
        4,000원
        2420.
        2020.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yanobacteria (blue green algae) blooms formed in natural water resources due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duce toxic compounds as secondary metabolites, causing health hazards to both humans and other living beings. Microcystin is a well-known toxin produced by cynobacteria.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varying concentrations and exposure times of two different forms of microcystin, viz., -LR (MCLR) and -LA (MCLA), on the motility and seizure-like behavior of planarian (Dugesia japonica). Compared to control, reduced motility was observed in both the MCLR or MCLA treated groups, bu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microcystin. However, the number of seizure-like behaviors were increased dose-dependently in planarian exposed to MLCR or MCLA. Exposure time to microcystine also affected the motility and seizure-like behaviors of planarians; 24 hrs incubation with MCLR, and 48 and 96 hrs exposure to MCLA, showed significantly (p<0.05) lower motility, as compared to the control. Assessing regeneration of the planarians revealed the simultaneous completion of eye formation at day 9 in planarians incubated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MCLR or MCLA, thereby indicating that exposure to microcystin has no effect on the process. In conclusion, we determined that exposure to microcystins resulted in decrease in the number of motility, and induced abnormal behavior pattern in planarian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dentify the toxicity of microcystin that affects aquatic ecosystem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