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 과일 및 과채류의 소비가 정체 내지는 감소하는 반면 수입과일의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소매단계에서 가구들의 계절별 주요 과일 및 과채류 수요를 분석하였다. 이 를 위해, 2010∼2017년 동안 농촌진흥청의 불균형 소비자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준이상수요 체계(AIDS) 모형을 확장한 이차형 준이상수요체계(QUAIDS) 모형을 추정하여 계절별로 품목들의 가격 및 지출탄력성을 계측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계절별, 품목별로 자체가격 탄력성과 교차가격 탄 력성의 절대값이 차이를 보였다. 봄철에는 사과와 완숙토마토, 오렌지와 바나나 등이, 여름철은 바나나 와 방울토마토, 사과, 참외와 완숙토마토 수박과 완숙토마토가, 가을철은 바나나와 방울토마토, 사과와 완숙토마토, 겨울에는 사과와 단감, 감귤과 완숙토마토, 포도, 오렌지 등이 강한 대체관계를 가지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방울토마토는 가을과 겨울에, 포도는 봄과 겨울에 자체가격 탄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방울토마토는 봄, 포도는 여름과 가을에 비탄력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여름철 제 철 품목인 수박, 복숭아, 포도는 자기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최적의 당화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양파즙과 양파박을 0, 10, 20%로 첨가했다. 처리별로 25, 30, 35℃에서 72시간 동안 당화시켰다. 35℃의 당화 온도에서 처리 24시간 후 양파즙 첨가 20%에서 13.2 ◦Brix, 양파박 첨가 20%에서 19.6 ◦Brix의 당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관능 평가결과 처리 간에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양파박을 사용한 양파 당화물이 염증 유발물질인 히스타민 방출량을 14%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ELISA 분석 결과 양파당화물이 대조군에 비해 IL-8과 TNF의 방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다.
A 7-year-old, intact, female Siberian husky was presented to the Veterinary Medical Center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because of vomiting and diarrhea after a fight with a cohabiting dog. Physical examination, radiography,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laboratory examination were performed. The dog was diagnosed with pyometra and 10% dehydration. On electrolyte, Na and Cl ion concentration were lower than normal values and Ca ion concentration was slightly lower than normal values. On blood chemistry, blood urea nitrogen and alkaline phosphatase value were extremely higher than normal values. Neutrophil was observed as hypersegmentation. On ultrasonography, enlarged uterine body was observed. Uterus was enlarged and filled with echogenic fluid that is seemed to be pus. Uterine horn was rubbing the bladder. In bacterial culture, the colony morphology was smooth, mucoid, and hemolytic. Also, on molecular diagnosis test, both samples from uterine and abdominal fluid were confirmed to be E. coli. This case describes that uterine pus was leakage to abdominal cavity through oviduct, and pus leakage from uterus may be cause septic peritonitis and death. Also, this case must be considered that physical event such as fight against cohabiting dog, strenuous exercise and kiss-off can cause uterine rupture or pus leakage through oviduct from uterus in dog with pyometra.
Five-color bread was prepared by adding herb powder to Korean whole wheat triticum aestivum flour and the quality of baking was analyzed. The pH of the control bread was 6.15±0.12 while that of the whole wheat flour test group was 6.35±0.11, 6.29±0.12, 6.36±0.12, 6.19±0.11, and 6.01±0.13, respectively. The L value of the control bread was 67.78±0.03 and that of the whole wheat flour test group was 69.66±0.02, 60.01±0.12, 64.23±0.01, 63.34±0.01, and 61.64±0.04, respectively. The water activity was slightly increased at 2 days of storage due to the difference in water absorption and water retention. However, on the third day, the water transfer phenomenon in the bread showed water activity decrease in all wheat flour test groups. On the 1st day of the whole wheat flour test bread, the hardness values were 186.86±4.81, 165.89±3.73, 189.71±3.32, 198.38±2.19, and 184.29±3.40 g/cm2, respectively,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138.84±3.72 g/cm2. The hardnes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whole wheat flour tes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read in the whole wheat flour test group (100x, 500x) was not smoother than the control’s. The swelling degree of the starch particles and the cracking of the crumbs were confirmed by the adding of five-colored herbs to whole wheat flour.
본 연구는 동양전통의 오방색을 실내 건축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가족 구성원별 특징에 따라 바람직한 색채 구성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동양의 전통 술수학인 사주와 풍수의 오방색의 개념과 본질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실제 사례를 통해 실내 색채 디자인을 구성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전통적인 오방색 및 오정색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나아가 상생 오간색 및 상극 오간색으로 색채를 구체화하여 현대적 적용방안까지 고려하였다. 현대적 적용 방법으로 첫째, 24방위도를 24색상환으로 만들어 색상과 방위를 동시에 판단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24방위 색상환을 평면도에 접목하여 비보색상을 적용할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였다. 셋째, 판단한 위치와 색상을 실내재료 마감재 선택 및 소품 적용시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결과 향후 실내 색채구성에 있어 동양의 전통색의 적용이 가능하였고, 이를 응용한 현대적 색채 구성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Various viral and bacterial pathogens interact with environmental factors to cause diarrhea in piglets. Enterococcus spp. are Gram-positive anaerobic bacteria that are common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several animal species, including pigs. Enterococcus spp. have been reported to infect several animal species as a pathogen. However, gastrointestinal infection by Enterococcus hirae is rare in pigs; only a few cas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Four piglets with diarrhea were examined in the diagnostic laboratory of Optipharm Inc. (Cheongju, Korea). During the initial post-mortem examination, no disease lesions were observed. Upon microscopic examination, we found numerous Gram-positive cocci that were adhered to epithelial villi in the jejunum and ileum. However, the villi did not exhibit significant structural damage. Cultured bacteria were identified as E. hirae using the VITEK 2 system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PCR, we also confirmed that viruses and protozoa that can potentially infect piglet intestines were absent. In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the bacteria were resistant to most types of antibiotics. This study presents rare cases of E. hirae infection of the piglet small intestine, which can occur in association with diarrhea possibly by the continuous use of antibiotics.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기술적 사상의 창작 을 보호하는 제도로서 특허제도 이외에 특허발명보다 기술수준이 낮은 발명을 보호하기 위한 실용신안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일본은 실용신안제도의 이용률은 매우 저조한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실용신안의 출원건수가 특허보다 많으며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IP5 중에서 한중일의 경우 모두 실용신안제도를 운영하고는 있으나 국가별로 그 상황이 매우 다르며, 미국의 경우에는 실용신안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고, 유럽의 경우 EU차원에서 통일된 실용신안제도는 없고 유럽 각국 별로 다르게 운영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특허제도는 국제적으로 조화 및 통일화가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특허제도를 보완하는 제도로 실용신안제도에 대한 국제적 논의는 도외시 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허제도를 가지고 있는 국가가 모두 실용신안법을 채택하고 있지는 않으며, 실용신안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나라에서도 보호대상, 보호요건, 존속기간, 심사방법 등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실용신 안제도의 국제조화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국제조약에 서도 부수적인 언급만 되고 있다. 전세계 특허출원 1위를 달리고 있는 중국이 특허출원보다 출원량이 더 많은 실용신안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상황과 각 국가별로 실용신안제도 채택여부와 제도의 요건(보호대상, 보 호요건, 권리행사 요건 등)이 다른 상황에서 IP의 국제조화 및 통일화에 대한 논의에서 실용신안제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현재의 실용신 안제도가 TRIPs 협정, 파리조약, PCT 등 IP 분야 대표적인 국제조약에 있어서 해당 조약체결의 취지 등을 고려할 때, 국제규범과의 정합성 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Persistent left cranial vena cava (PLCVC) is a remnant vessel connected with the coronary sinus and draining into the right atrium. A 3-month-old intact male Bichon Frise was evaluated for the presence of a mechanical murmur auscultation in the local animal hospital. No significant clinical signs were present on physical examination except mechanical murmur.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was diagnosed in the imaging procedure. During the left thoracotomy, PLCVC was found. The vascular malformation made the surgical process difficult by hiding PDA from the left thoracotomy surgical view. PLCVC and the vagus nerve was carefully dissected and lifted to secure a clear surgical view of PDA. The ductus arteriosus was ligated.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TA) was performed postoperatively. On CTA, left brachiocephalic vein retaining connection with the coronary sinus draining into the right atrium was observed. CTA is highly recommended for dogs with PDA to provide better postoperative results.
하이브리드 감압 열펌프 건조기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건조된 굴 제품을 8주간 저장하면서 일반 성분의 변화와 글리코겐 함량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일반세균의 변화는 18~19×103 CFU/g으로 기존제품의 27~30×103 CFU/g 보다 안전하였다. 주요 지방산의 함유량은 건조기에서 건조한 시료의 DHA 및 EPA 함량은 L1-1, L1-3 및 R2-2에서 각각 17.87% 및 14.80%, 17.46% 및 14.38%, 17.89% 및 14.99%이었고, 반면 CD-1은 각각 15.41% 및 13.20%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각 시료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1325.2~1360.4 mg/100 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도를 나타내는 K 값에서는 하이브리드 건조기에서 건조한 시료가 저장기간 동안 매우 우수한 신선도를 나타낸 반면, 시판 굴의 시료에서는 34.0~42.1%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measurement of bio-signals in measurement uncertainty is not to determine the true value as closely as possible, but to determine a measured value and to assign the interval of the value. The measurement uncertainty is estimated by type A and B evalua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evaluated by statistics or the mathematical probability theory.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 monitoring is used often for early detection of inherent risk relevant to neurosurgical procedures leading to permanent neurological injury, while it is still potentially reversibl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uncertainties in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SEPs), which are used for monitoring sensory neural pathways. In a 45-year-old man who underwent cervical laminectomy, SSEPs were monitored using the ISIS IOM SYSTEM (Inomed, Emendingen, Germany) to evaluate the uncertainties. Expanded uncertainty were 0.88 mV and 1.22 ms, for amplitude and latency, respectively. Measured values and corresponding uncertainties of amplitude and latency were 2.78 ± 0.88 mV and 24.02 ± 1.22 ms, respectively. The expanded uncertainty (0.88 mV) of the amplitude was approximately 30% of the mean value (2.78 mV). A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is would be the effects of variables such as electromagnetic waves (diathermy and warming blankets), temperature, blood pressure, sex and body mass index on SSEPs. Careful attention is required in interpreting SSEPs.
본 연구의 목적은 악취 발생 저감을 위해 국내에서 최근 권고되는 밀폐(무창)형 돈사와 기존 개방형 돈 사의 비용 편익을 분석하여 이러한 추진 방향의 객관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두 돈사 유형의 비용은 설치비와 운용비로 구분한 후 관련 문헌 자료와 현장 조사 결과를 근거로 추정하였고, 편익은 축산 환경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설문 조사 기법 적용을 통해 추정하였다. 비용 편익 분석 결과, 양돈 규모에 상관없이 개방형과 밀폐형 돈사 모두 편익/비용 비율이 1 초과로 추정되어 돼지 생산에 따른 경제적 이익이 창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소규모, 중규모, 대규모 양돈 농가 모두 밀폐(무창)형 돈사의 편익/비용 비율(B/C ratio)이 개방형 돈사보다 상대적으로 모두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적으로 기존 양돈 농가들의 인·허가 시 경제성 우위 측면뿐만 아니라 축산 악취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도 개방형 돈사를 밀폐(무창)형 돈사로 변경하도록 권고해야 하며, 특히 편익/비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대규모 농가인 경우 이를 이행 조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rdiac and renal systems is important in determining blood pressure and blood volume, both of which play a role in the vasomotor system and fluid balance. Cardiorenal syndrome (CRS) occurs as a result of a disparity in correlation between the two. In veterinary medicine, cardiovascular-renal axis disorder (CvRD) lacks pathologically and etiologically specific data, but shares common pathophysiological patterns with CRS and CvRD in humans.
CvRD is structural or functional damage caused by diseases of the heart or kidneys, or toxins or drugs, resulting in the disruption of normal interactions between these organs and the destruction of one or both orga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ong-term changes in various indicators, including hypertension, proteinuria and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telmisartan in cats with CvRD. This study found a clear gradual decrease in Urine protein to creatinine (UP/C) ratio and left atrium (LA) diameter in cats with CvRD, after administration of telmisartan. UP/C ratio (p<0.001) was found to decrease significantly over time, after administration of telmisartan. UP/C ratio before telmisartan administration was 0.39 ± 0.255 (Day 0) and 0.29 ± 0.056 on day 30 (Day 30), 0.28 ± 0.040 on day 60 (Day 60), and 0.20 ± 0.128 on day 90 (Day 90) after administration, respectively. LA diameter before telmisartan administration was 17.9 mm ± 1.6 before telmisartan administration (Day 0) and 17.4 mm ± 1.8 on day 30 (Day 30), 16.1 mm ± 1.6 on day 60 (Day 60), and 15.7 mm ± 1.7 on day 90 (Day 90) after administration, respectively. Oral administration of telmisartan to cats with CvRD is effective in improving proteinuria and LA diameter, which is a positive aspect of long-term survival in cats with CvRD.
본 계획의 목적은 2015년에 조성된 장수누리파크에 대하여 공간의 리노베이션, 운영프로그램의 계획 및 지역 관광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관광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활성화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관광환경, 대상지 현황, 유사사례 및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기본구상안과 마스터플랜을 도출하였다. 대상지의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다양한 체험, 휴식과 여가 활동을 위한 새로운 공간을 도입하였다. 공간규모, 지역자원, 방문객 요구 및 행태 분석을 통해 도입시설별, 주제별, 이용대상별, 운영시기별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수누리파크와 인접해 있는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유사테마 간 연계를 통해 관광객 방문을 유도하였으며 지역주민의 참여를 이끌어 지역소득 창출 및 고용의 기회 증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 mild elevation in serum cholesterol level in a porcine coronary overstretch restenosis model using a balloon angioplasty catheter or drug-eluting coronary stent. Pig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were fed a commercial normal diet (CND, n = 4) or a high-fat diet (HFD, n = 4) for 5 weeks. Coronary overstretch injury by balloon angioplasty or stent implantation was induced in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nd left circumflex artery after 1 week of feeding. Histopath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at 4 weeks after coronary injury. During the experiment, the total cholesterol level in the HFD group increased by approximately 44.9% (from 65.9 ± 3.21 mg/dL at baseline to 95.5 ± 9.94 mg/dL at 5 weeks). The lumen area in the CND group was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at in the HFD group after balloon angioplasty. After stent implantation, the injury sco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ointimal area (2.7 ± 0.33 mm2 in the CND group vs. 3.3 ± 0.34 mm2 in the HFD group, p<0.05), lumen area (2.6 ± 0.54 mm2 in the CND group vs. 2.0 ± 0.33 mm2 in the HFD group, p<0.05), and percent area stenosis (52.0 ± 7.96% in the CND group vs. 62.4 ± 5.15% in the HFD group, p<0.05). Body weight change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creased serum cholesterol level activated vascular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in the porcine coronary overstretch model.
이 글은 필자의 풍수연구 중에서 풍수가 어느 순간 어떻게 경험되었는 가에 초점을 맞추어 편집된 것이다. 풍수는 길흉화복을 단지 선천적인 지리적인 조건에만 종속시키는 불필요한 술수에 불가하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려시대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문화적 실상으로 기능하고 실재하고 있다. 풍수가 경험되는 현실에서는 ‘영험함을 기원하는(乞靈)’ 현실적 욕망과 ‘천명을 바꾸는(改天命)’ 고전적인 이상을 동시에 실현한다. 공간과 인간 이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이해하는 유기체적인 사유로 인해 인간은 주어진 공간에 의해 선험적으로 조건지워지는 동시에 -비보를 통해- 주체적인 인식과 의지를 통해 공간을 변형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풍수는 “믿을 수도 없고 폐할 수도 없는(不可信, 不可廢)” 담론으로 실재하며 여전히 풍수경전이 읽히고 풍수전문가가 양성되었으며 공적·사적 영역에서 생존해왔다. 그 경험의 역사를 통해 논자는 고려시대 “주술-종교적”, 조선시대 “권도”라는 타이틀을 풍수에게 부여했다. 풍수역사는 한때 시대 변혁의 논리이기도 했고 효, 자취(自取), 적덕(積德)이라는 명분으로 누구나 알아두어야 할 교양과목이기도 했다. 이렇게 풍수에 ‘신앙’이라는 부제를 붙일만한 정황들이 조선 후기부터는 풍수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 산송으로 폭발하면서 삶의 자리로 내재화된다. 필자는 풍수 그 자체가 사회 적 폐해로 공격받고 강화되어온 경험 그리고 기존 종교와 상호작용해왔던 역사에 집중하여 풍수신앙이라 부르기에 주저하지 않는다. 더구나 풍수의 유산은 현재에도 유효해서 그 영향력이 어떠하든 여전히 땅이름(마을, 산)으로 남아있고 도시·생태·환경‘계획’의 단계에서 고려되고 있으며, 여전히 풍수경전은 읽히고 전승되는 학맥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4대강사업으로 이미 조성된 팔당 물안개공원을 재생하기 위해 허브 주제원을 도입 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주로 물리적 측면에서 다룬 내용이다. 기존공원의 재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현 공간구조를 오방(五方)의 전통적 장소 맥락에서 재해석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단위 공간별 주제를 조직화하고 허브 식재방식과 시설요소를 ‘두텁게 하는 전략’을 활용하였다. 또한, 새롭게 도입될 주제원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장치요소를 제안함으로써 이용자와 환경 간에 다양한 감성 교류와 공감 강화를 겨냥하였다. 한편 입지특성에 의해 오랫동안 공공복지 관련 개발행위조차도 제한되어 온 계획대상지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수도권 수변 휴양공간의 확충과 함께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와 공공복지활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였다. 계획수립에 따른 예상효과가 상부 기관으로부터 인정받아 해당 예산을 이미 확보한 본 사업은 2022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바, 본 사업의 충실한 질적 완성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음료나 술의 원료로 이용한 뒤 버려지는 고창산 복분자 부산물을 활용한 흑돈(K-berkshire) 단미사료화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복분자 부산물의 사료화를 위해 복분자 원물 및 부산물(즙박 및 주정박)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의 함량과 더불어 ABTS와 항균능을 확인하였다. 각 부산물에 대한 일반성분과 함께 섬유질 함량과 칼로리를 분석하였고, 또한 무기질 및 유해독소(mycotoxi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부산물 추출물 내 아미노산 조성과 더불어 품질 표준화 를 위한 지표물질(ellagic acid), 수분활성도(aW)와 pH를 측정하였으며, 이후, 복분자즙 부산물을 총 6 주간 급이한 K-berkshire의 소장 내 미생물(총균, 대장균군, 대장균, 유산균)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복분자 원물과 비교했을 때 복분자 부산물에서 총폴리페놀을 포함하여 플라보노이드와 안토시아 닌의 함량이 높았으며, 항산화와 더불어 항균성에서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복분자즙과 복분자주 부산물은 사료적 특성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aflatoxin과 ochratoxin 같은 곰팡이 독소는 허용 기준 이하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복분자즙 부산물의 경우에는 수분활성도(aW)와 pH 변화의 폭이 적었 다. 따라서, 복분자즙 부산물 0.5%를 사료에 첨가하여 K-berkshire에 급이 하였을 때 흑돈 소장 내 유 해균의 수는 감소하였고, 유익균의 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복분자 부산물은 원물과 비교했 을 때 다량의 항산화 성분을 비롯하여 미네랄과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로 인해 K-berkshire에 복분자 부산물을 사료 첨가제로 급이 했을 때 소장 내 유해 세균의 감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복분자 부산물은 K-berkshire에 영양학적으로도 가 치가 있으면서도 장내 미생물 군 조절에 탁월한 사료 첨가제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number of cats requiring treatment for 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 and arterial thromboembolism (ATE)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knowledge regarding its management is constantly evolving. The pathological lesions of HCM include hypertrophy of the left ventricle, which causes abnormalities in the relaxation function of the heart. This phenomenon increases the stiffness of the ventricular muscle, thereby reducing the ability of the left ventricle to fill with blood during diastole. This i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ventricular filling pressure and left atrial pressure. HCM in cats is characterized by concentric hypertrophy and atrial enlargement. Hypertrophic obstructive cardiomyopathy (HOCM) also involves a narrowed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and in humans, it is generally perceived to be a more serious disease. However, unlike in humans, HCM and HOCM in cats do not result in significantly different survival times. Heart murmurs, gallop rhythms, arrhythmias, cardiac hypertrophy,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ATE, and cardiac sudden death (CSD) have all been associated with HCM. Although the presence of a heart murmur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heart disease, it may be a functional one, which is defined as “dynamic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k obstruction” (DRVOTO) in cat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presence of HCM based on the existence of a heart murmur alone. ATE typically affects one or both hind limbs, resulting in acute paralysis and severe pain, consistent with lower motor neuron disease. The clot, which is formed in the left atrium of the heart, travels to an artery and becomes an ATE, which then blocks the blood flow and impairs circulation, causing infarction. Therefore, ATE in cats is a serious condition. This review describes the results of the latest research on HCM and ATE, the most common heart conditions in cats.
형사사건의 피의자, 참고인 등 사건 관계인의 기본적 인권을 보호하고 무죄추정의 원칙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국민의 알권리와 조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무부훈령인 「형사사건 공개금지 등에 관한 규정」은 제정목적의 정당성이 긍정됨에도 불구하고 헌법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형사사건 공개금지 등에 관한 규정」은 언론매체의 취재의 자유를 광범위하게 제한하는 다수의 조항을 두고 있는데 행정규칙에 불과한 법무부훈령으로 언론기관의 기본권인 취재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은 기본 권을 법률로써 제한하도록 하는 헌법 제37조 제2항에 위반된다. 둘째, 동 규정은 수사업무 종사자의 명예보호를 위해 여러 조치를 취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국가의 공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은 원칙적으로 명예보호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일반적 학설과 대법원 판례에 배치 된다고 할 것이다. 셋째, 동 규정이 설치를 규정하고 있는 형사사건공개 심의위원회는 행정기관 소속의 위원회이므로 「행정기관 소속 위원회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치되고 규율되어야 한다. 행정기관의 장이 위원회를 설치하려면 설치근거와 법정 사항을 법령에 명시하도록 동 법률이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사사건공개심의위원회는 법무 부훈령인 행정규칙에 근거가 있을 따름이다. 넷째, 「형사사건 공개금지 등에 관한 규정」이 예외적 실명공개가 가능한 경우로 설정한 공적 인물의 범위가 지나치게 좁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외적 실명공개를 도입한 취지를 고려할 때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의 적용대상자로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동 규정이 언론사가 오보를 할 경우 해당 언론사에 대하여 검찰청사 출입제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것은 오보 판정의 주체, 오보의 기준 등의 관점에서 문제가 많고 출입제한조치는 공권력에 의한 취재방해의 일종으로서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는 독소조항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산촌지역이 가장 많은 경상북도 도민들을 대상으로 하여 인구학적 특성별로 귀산촌 의향, 귀산촌 후 계획, 귀산촌 매력요인, 제약요인 등 귀산촌 인식 및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귀산촌 의향에 대한 분석결과, 응답자의 33.0%가 귀산촌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산촌 지역은 현 거주지와 동일 지역 내가 57.6%로 높았으며, 경상북도 내 29.2%로 주로 현 거주지와 인접한 산촌지역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산촌 후 하고 싶은 일은 거주+소규모 텃밭이 68.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연령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업활동시 재배하고 싶은 임산물로는 수실류(28.7%), 버섯류(25.6%), 산나물류(25.1%) 등의 순 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귀산촌 매력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환경적 요인 50.7%, 개인적 요인이 47.2%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연령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산촌 제약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도시에 비해 열악한 주거환경 과 의료·복지·교육 등 여건부족이 37.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 결혼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