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면서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적극적인 투자로 글로벌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우 리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한민국을 대표할 만한 디지털 콘텐츠는 부재한 상황이다. 글로벌 화에 맞는 디지털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도 중요하지만 개발되어진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얼마나 효과 적인 전달할지를 고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컨버전스 광고를 제안하고자 한다. 단순히 tv광고 나 인쇄매체광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홍보수립과 홍보매체에 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현재 컨버전스 광고는 통합적으로 국내 디지털콘텐츠업체의 광고수익과 회원가입비에만 의존하는 등 수익기반이 허약하며, 세계시장을 겨냥한 전략이나 방 향이 부재하여 정부는 국내 디지털콘텐츠산업 활성화와 글로벌화를 추진하기 위해 우선 국내 디지털콘텐츠가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세계적인 전략이 적용된 콘텐츠 개발과 현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저비용 고효율의 광고전략이 필요 하며 이를 대표하는 앰비언트광고, 영상광고, 브랜드 아이덴티티광고로 전략을 수립하였다.
스마트 폰의 확산으로 인해 인간은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위치기반서비스 는 자신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어 여러 분야에서 활용가치가 크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대 표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지도를 활용하여 나의 위치와 장소의 거리 및 도착시간들을 검색해주는 지도 애플리케이션이다. 국 내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지도 애플케이션은 네이버지도, 다음지도, 구글맵이 대표적인데, 각자 차별성을 내세워 시장을 선 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동선과 인지에 가장 많이 신경 써야 하는 부분으로 사용성과 가장 밀접하게 관계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도애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을 위하여 닐슨이 제시한 5가지 항목 중 학습용이성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학습용이성은 다음지도>구글맵>네이버지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교 · 분석 을 토대로 개선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서브 메뉴를 줄여 depth를 최대한 줄여야 하며, 둘째, 초기화면에 제시된 버튼은 학 습용이성이 높으므로 자주 사용하는 버튼은 초기화면에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아이콘 형식의 버튼을 제시 할 시 모호한 내용의 아이콘보다는 정보를 명확하게 담고 있는 타이포 형식의 버튼이 학습용이성에 도움이 된다.
오늘날 CI나 BI의 중요성은 브랜드 파워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은 고객과의 유대관계를 증진시키는 연결고리가 되어야 하며, 그 중 대표적인 방법이 캐릭터 디자인이다. 본 연구는 라이프스 타일캐주얼웨어 브랜드인 ‘팜스프링’의 BI 디자인 리뉴얼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며, 이는 팜스프링의 브랜드 특성과 일 치하는 감성디자인 창출을 통해 브랜드인지와 선호도를 높이고 향후 다양한 의류제품에의 디자인을 보다 감각적으로 업그 레이드하기 위해서이다.
팜스프링의 BI 디자인 리뉴얼은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한 의류업계 디자인 트렌드 조사를 기반으로 팜스프링의 이미지와 제품분야에 상응하는 것으로 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브랜드의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아름다 운 사막휴양도시’의 스토리를 바탕으로 총 7개의 디자인캐릭터를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표현방법에 대한 심화연구를 통해 최종모티브를 확정하고, 티셔츠/모자/키홀더/액세서리 등 여러 패션아이템을 위한 응용디자인 활용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각 브랜드에 BI 디자인 리뉴얼을 촉구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며, 추후 브랜드성장과의 연계성을 통해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효과에 대한 심화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색채언어는 유아용 그림책 중 “예술언어”의 구성부분이며 그림에서 가장 큰 표현력을 구비하고 있는 요소로서 작품의 정서 를 전달하고 이야기의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으며 특정색상의 결합은 여러 가지 심리반응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매 한 가지 색상은 부동한 그림책에서 부동한 표현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그림 작가는 색채를 통하여 어떠한 감정을 전달할 때 예술과 문학이론을 결합하여 그림책중의 색채언어에 대하여 자세히 해독하여 아동 그림책을 진일보 심도 있게 열독하고 이 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림책의 영역이 부단히 확대 되였기 때문에 본문의 서언부분에서는 연구범위를 유아용 그림책에 제 한한다. 우수한 유아용 그림책은 풍부한 색채를 사용하여 아이들의 눈을 풍부화 시키고 그들이 세계를 보는 시선에 영향을 미친다. 문학과 예술 두개의 시각에서 유아용 그림책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 것은 유아용 그림책에 대한 연구책략을 확장할 수 있으며 유아용 그림책의 발전에 중요한 지도적 작용을 한다.
6차 산업의 영향으로 농산물 생산뿐만 아니라 제조, 가공, 포장, 판매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융ᐧ복합 경영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포장 및 판매의 경우 포장디자인, 브랜드디자인으로 농촌의 디자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 비용 부담 및 정보부족 등으로 인하여 원활히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농촌 상황의 포장디자인 비용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 연구에서 현장조사, 문제점파악, 개선연구, 표준디자인 가이드 안을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표준 포장디 자인안의 실용화를 위해 농촌관광마을에 현장 적용하여 개선을 통한 소비자 의견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적용 포장 디자인의 만족도, 적합성이 70%이상이 긍정적인 의견으로 나타났고 포장디자인 기능 충족도는 운반편리성과 상품성이 높 게 나타났으며 요건 충족도는 경제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적용 포장디자인의 개선 요인 의견분석 결과 구매도가 가장 높았고 그 외에 전형성, 내구성, 적합성이 개선 요인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개발된 표준 포장디자인안의 소비자 의견의 타당성 및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앞서 연구와 연결하여 현황조사, 문제점파악, 개선연구 진행, 표준가이드 디자인 개발, 현장실용화, 소비자 반응 평가, 기술이전계획 순으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연구절차를 통해 진행함으로써 농특산품 포장디자인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해결하는 디자인개선 참고자료로 유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화의 대중성으로 인해 단일 영화관객 수가 천만 영화의 탄생이 일상화된 시점에서, 2015년 한국 영화산업은 국내에서 개봉된 영화의 관람객수가 3년 연속 2억 명중에서 한국영화의 관람객은 무려 1억 명 이상의 관객을 달성하는데 성공하였 다. 본 연구는 국내영화포스터에 나타난 포스터디자인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로, 2015년 국내에서 개봉한 상업 영화포스터 를 대상으로 사례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영화포스터의 특성을 반영하여 구성요소로는 메인타이틀(유형, 형식, 색상, 레이아 웃), 타이포그래피(헤드카피, 서브카피, 크레딧, 개봉일), 이미지, 모델 등 4가지로 구분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메인타이틀의 경우 타이틀 유형은 명조와 고딕보다는 기타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형식은 로고체 형식, 색상은 흰색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타이틀의 위치는 하단중앙이 가장 많았으며, 카피의 위치는 상단에 위치한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 미지는 압도적으로 사진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모델의 수는 4명이상의 모델의 포스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을 논의하고 미래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스마트 모바일 시장은 사용자가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언어에 주목하여 디자인 환경과 사용 자 경험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곳에서 디지털 생활정보, 문화 및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스마트 모바일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 모바일 앱(App)은 다양한 기능을 탑재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는 커뮤니케이션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국내 다수의 커피전문 점들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보 제공을 위한 앱을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시중의 커피전문점 앱이 사용 자 측면에서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GUI콘텐츠를 중심으로 디자인 조형요소를 분석하 고 더 나아가 발전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분석대상은 2016년 4월까지 애플의 앱 스토어(App Store) 및 구글의 구글 플레 이(Google Play)에서 제공하는 커피전문점 앱 중 다운로드 수 및 커피브랜드 선호도와 리뷰를 조합하여 총 3가지로 선정되 었다. 그 후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활용하여 사용자 경험 및 GUI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레이아웃은 수평형으로 일직 선 1~2줄 형태의 스타일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아이콘은 픽토그램 형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텍스트는 가독성이 높 은 고딕체를, 컬러는 고유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을 사용하였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시각적 조형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최종적으로 앱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목표 로 한다.
China bodiless lacquer is blessed with a long history, its based technique is derived from the ancient Dry Lacqu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paint process, dry lacquer is one of the inner tube skeleton structure.After spread to Japan and Southeast Asia. With the weakness of traditional lacquer art in modern China, the Ming and Qing Dynasties lacquer make only limited "tick rhino", "inlaid with mother" and several other varieties, hence, many old techniques gradually lost. On the basis of reviving the traditional art, Fuzhou Shen Shao’an improves the production process and become the fathers of modern China bodiless lacquer. After the Shen family for several generations of painstaking efforts to develop, Fuzhou bodiless lacquerware finally become master of modern China, Fujian become the center of an important foundation lacquer.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Fuzhou bodiless lacquerware is slim. Since Fuzhou lacquerware came into being in the hands of Mr. Shen Shao’an, it has hereafter been enjoying well-known fame in and outside China for its magnificent colors, light and thin bodies, and ingenious designs. Early bodiless lacquerware only showed statues, longevity, etc., and later developed into fruits, animals and all kinds of utensils. Late Qing Dynasty to the Republic of China,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Fuzhou bodiless lacquerware went out of China, bodiless boutiques sent by Shen's family repeatedlyreceived awards abroad, and it further promoted the development of Fuzhou bodiless lacquerware industry.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the basis of Shen's lacquerware shop, Shen’s established a bodiless lacquerware companies, later transformed into bodiless lacquerware production cooperatives. In 1957, the first state-run Fuzhou bodiless lacquerware factory established and then the second. So far, Fuzhou bodiless lacquerware entered the most glorious period of history, the production scale greatly enhance, the artistic style is more diverse, and it become a national lacquerware industry leader.
The production of Bodiless lacquerware is a complex process, the raw material is extremely demanding, it requires more time and more labors, and its production process determines the specificity of the high cost. In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o the market economy, the export orders reduce substantially, the first factory and the second were bankrupted in the 1990s, bodiless lacquer production was into the trough. In recent years, increasing the degree of social respect to handicrafts and supporting for traditional crafts by country, Fuzhou bodiless lacquerware ushered in the spring. Through field surveys and literature research, grasp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Fuzhou bodiless lacquerware industry, deeply analysing the current situations and discussing the way out is an important issue. As the lacquer industry base of China, the current problem of Fuzhou bodiless lacquerware also represents China’s situation, and to explore the road of change about Fuzhou bodiless lacquerware means to explore the Chinese lacquer revitalization of the road.
오늘날 시장이 세분화되고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진 현실에서 단순히 품질과 가격, 기능 등의 경쟁력만으로는 더 이상 비 교우위를 점할 수 없다.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유발시키기 위해 기존의 농식품과 구별되며 독창적이고 특별한 포장디자인 의 차별화 요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삶의 여유와 인간 본연의 가치가 확대되면서 친환경과 기능성 소재 등을 활용한 응용제품 산업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 고조와 더불어 신선농식품 포장 기능성 강화를 위한 닥섬유 친환경 포장디자인 개발에 따른 포장디자인에 관련한 선 행연구로서, 농식품 포장디자인 제작에 있어 영향을 주는 요소를 추출하여 요인을 분석하고 실제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자료조사를 통해 농식품 포장디자인에 관련한 국내·외 문헌과 학술전문지를 조사하고,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해 포장디자인 관련 항목을 추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를 활용하였으며, 전문가들의 직관을 동원하여 중요한 요소에 대한 의견을 수렴코자 델파이기법을 이용하여 세 차례의 라운드 조사를 통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추출된 포장디자인의 주요한 요소들로 49개의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근간으로 중요도에 따른 클러스터링을 통해 대표적 요인으로 신뢰성, 심미성, 경제성, 환경성, 기능성이 선정되었다. 또한10가지 디자인 요소의 중 요도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요소는 농식품 포장디자인 제작 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로 본 연구에서 추출된 디자인요소와 그 밖의 감성요소와의 관계성을 알아보고, 실제 포장디자인 적용 시 가이 드라인이 되는 포장디자인 제작 시스템구축을 하고자 한다.
세계 각국의 소비자들은 알레시사 디자인을 선호하고 있다. 주방기구를 넘어 생활 속의 예술이 경험되는 오브제로서의 기 능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며, 사용과정에서 인식되는 기능성과 감각적 대상으로서의 매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알레시사는 1921년 조바니 알레시(G. Alessi)에 의해 창업되었으며, 아들 알베르토 알레시(Alberto Alessi)를 통해 명품 생 활용품 디자인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1970년대 이후 알렉산드로 멘디니(A, Mendini)가 디자인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세계 최고의 디자인 제조 기업으로 발전하였다. 알레시사는 오늘날 “꿈을 만드는 공장”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감성적 기능 만이 아니라 재료와 목적에 상응하는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디자인 개발에 참여하는 디자이너들의 개성을 존중하 는 반면에 기업 내부에 소속된 디자이너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알레시사 디자인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디자이너들의 개인적 성향에 따라 함축적 내용에 대한 차이들을 보이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들의 디자인에 내제되어 있는 함축성의 특징과 그 차이를 포착하여 비교함으로써 알레시사의 디자인에 대한 특징 이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개발에 참여하였던 디자이너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디자인경향에 대 한 고찰과 비교를 통해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는 함축적 내용에 대하여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ie Traumfabrik Alessi seit 1927 (Alberto Alessi, Koenemann. 1998)”에 근거하여 알레시 디자인 개발에 참여하였던 13인의 대표 디자이너를 선정하였다. 디자인에 내제된 은유적 특성 즉, 디자인 함축성을 분석을 위해 해석학적 차원에서 제시되었 던 툴(Tool)을 사용하였으며, 평가에는 대학원생과 학부 전공자 50인이 참여하여 설문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최종적으로 등급화 하였다. 이를 통해 알레시사 디자인의 함축적 특성과 정체성 유지를 위한 디자인 전략의 실체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품에 나타난 이미지들을 대량생산체계를 구축한 생산자의 의도적 선전물로 규정한 보드리야르(Baudrillard)의 상품 이미 지에 대한 언어적 개념은 데이비스(Davis)의 브랜드 연상 개념으로 변환되는데, 이것의 핵심은 상품과 브랜드이미지에 나 타난 다양한 형상들이 소비자들의 욕구에 의해서 제작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량생산체계와 선전의 능력을 지닌 생산자의 힘에 의해 사회적 언어체계를 구축한다는 점이다. 본고는 소비사회의 언어적 속성을 가지는 기호로서의 상품과 브랜드이미 지를 보드리야르의 이론에 기초하여 한국 베이커리 산업의 변천 과정의 고찰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상품과 브랜드이미지는 소비자의 자발적 욕구의 구현을 초월하여 나타나는 소비사회의 기호로서 일반대중인 소비자에게 주어지는 선택 조건이며, 대중은 소비를 통해서 사회적 언어체계에 참여할 뿐이다. 상품과 브랜드이미지에서 나타난 시대 적 변화는 소비사회 속으로 편입된 대중의 가치관의 변화이고, 이는 초개인적이며 동시대 사람들의 시대정신을 반영하고, 소비행위의 내면에 존재하는 진정한 욕구의 민낯인 것이다. 상품과 브랜드이미지에 함축된 상징성에는 대중이 소비사회에 내재된 언어체계에 의해 통제 받는 기호 해석자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사회에서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기 호의 형상적 실현이 대량생산체계를 가진 생산자들에 의해 상품과 브랜드이미지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소비라는 행위에 의해 표출되는 일반대중의 소비사회의 언어체계의 참여라는 개념은 소비자의 상품 구매가 실제적 사용가 치의 충족이라기보다는 소비사회에서 타인과 연계 혹은 구별되는 의미론적 기호의 소비라는 브랜드 연상 작용을 본고에서 는 보드리야르의 소비이론을 기반으로 정의할 것이다.
오늘날 정사 및 계수기 디자인은 슈퍼 노트(Super-Note)와 같은 정교한 위폐가 등장함으로써 불법화폐를 감별하고 작업자 의 의도에 따른 다양한 정사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반복적이며 오랜 사용으로 인한 사용자의 건강 문제가 중요한 사 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근골격질환(Musculoskeletal Disorders)을 방지 하는 인간공학적 측면에서의 사용방법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류에 해당되는 잼(Jam:걸림)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 조의 정사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디자인 연구과정에서는 시장조사에 근거하여 미학과 품격성(Status)을 강조하는 Status-Step을 디자인 전략(Design Strategy) 으로 채택하였으며, 이에 따른 디자인 방향(Design Direction)을 설정하였다. 특히 본 디자인 연구에서는 구조적인 측면 즉, 빈번하게 발생하는 Jam을 해결하기 위한 처방으로서 정사기의 몸체를 아래서 위로 들어 올리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Jam 해결 과정에서 작업 중인 지폐를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지폐를 놓아두는 유동적인 호퍼가이드(Hopper Guide)를 적용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프로세스는 설정된 디자인 전략에 따른 구조를 확정하 고 경쟁사 분석의 경우 주) See-tech 연구진과 함께 공동으로 진행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아이디어 스케치가 진행되었 다. 디자인 외형에 대한 논의는 1차 렌더링 작업을 통해 디자인 의도와 일치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 See-Tech 관계자들과의 협의를 통해 디자인 수정과정이 진행되었으며, 최종안을 선정하여 디자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교과도서는 국가적인 수준에서 가르쳐야 할 교육내용을 제시한 것으로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구현하는 하나의 학습 자 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 초등학교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국내의 사례분석과 편집디자인 구성 요소에 따라 현황을 분석 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통해 교과서를 이용하는 학습자들의 학습의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의 교과를 돕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더 나아가 앞으로 교과서 편집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연구자가 밝혀낸 현교과도서의 개선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그 결과 워드 중심의 과학의 원리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학습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는 틀에 박혀있는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 자가 스스로 학습하면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어떤 사건이나 학습내용을 시간에 따라 차례로 배열해야 한다. 이는 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자연스럽게 학습내용을 습득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디자인 구성체계는 다양한 서체사용을 지양함으로서 보통 고딕체와 명조 기타로 유지하여 학생이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무분별한 그래픽적 요소들을 지양해야 한다. 스토리진행이나 컨셉상 사용은 흥미 유발에 적절하나 무분별한 만화나 템플릿의 사용은 자칫 과학을 흥미위주로만 접하게 되어 고학년 학습에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 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삶은 더욱 편리하고 윤택하게 변화하고 있다. IT 기술 발달에 따라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 스들이 대중들에게 사용되고 있으며 스마트기기 간 인터넷·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접어들게 되 었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증가와 스마트홈 어플리케이션(App) 서비스로 인해 인간의 주거생활은 더욱 편리해지고 있지만, 실제로 주택 주거시간이 많은 액티브시니어세대에게 있어 스마트홈 App 사용은 빈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액티브시니어세대의 편리하고 윤택한 주거생활을 위한 스마트홈 App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국내에 서비 스 중인 이용자수가 많은 스마트홈 App을 다섯개 선정하고 선정된 스마트홈 App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조사· 분석 하였다. 스마트홈 App의 조사·분석 결과 스마트홈 App의 GUI 측면에서 액티브시니어세대가 사용하기에 다소 미흡한 부분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최종적으로 액티브시니어세대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스마 트홈 App GUI를 제안 하였다. 본 연구 제안을 통해 액티브시니어세대의 스마트홈 App 활용성 증대로 인한 삶의 질 향상 이 기대된다.
오늘날 CI 및 BI의 중요성은 기업경쟁력차원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아이덴티티 시스템은 기 업의 이미지를 표상하는 모든 것에서 정립되어야 하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시각적 아이덴티티, 즉 VI(visual Identity)이다. 본 연구는 현대중공업 그린에너지사업부의 VI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며, 이는 현대중공업 그린에너지사업 부의 Identity와 일치하는 고퀄리티 디자인의 창출을 통해, 그린에너지사업부의 비전을 표명하고, 향후 카탈로그/광고/전단 /배너/전시 등 모든 제작물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이다. 현대중공업 그린에너지사업부의 VI 시스템 개발은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성향 조사를 기반으로 사업부의 이 미지와 사업분야에 상응하는 것으로 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업부의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자연/에너지/글로벌/첨단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총 8개의 디자인모티브를 개발하였으며, 디자인모티브의 활용범 위를 전체 레이아웃의 20% 이내로 한정하고, 서체규정과 컬러규정, 용지규정을 통해 카탈로그/광고/전단/배너/전시/판촉/ 웹 등 다양한 응용시스템의 활용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번 연구는 각 기업에 VI 시스템의 도입을 촉구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며, 추후 기업성장과의 연계성을 통해 아이덴티 티 디자인의 효과에 대한 심화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디자인경영은 학계나 산업에서 더 이상 생소한 용어가 아니며 그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다. 현재, 인간경험디 자인 방법론, 서비스 방법론 등 경험을 중시하는 디자인 경향이 나타나면서 디자인 필드에서는 디자인경영은 조금은 시대를 지난 트랜드처럼 인식되어지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대기업들의 경향을 보면 사용자나 소비자들에게 보다 낫은 경험을 통한 만족을 제공하기 위하여 디자인을 통한 사용자경험, 브랜드경험, 서비스경험 등이 향상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는 디자인경영의 시대가 지났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20세기 제조업 중심으로 발전되었던 디자인경영이라는 분야가 서비스 업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에 이 논문은 20세기와 21세기 현재에 걸쳐 디자인경영의 시대적 변천에 관하여 인과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디자인경영과 그 요소의 확장성과 축적성에 관하여 고찰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시각으로 디자인경영을 분석해 봄으로써 독자들의 디자인경영의 확장성과 축적 성에 대한 쉬운 이해와 개념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경영은 실행적, 전술적, 전략 적, 창조적, 사회 문화적의 다섯 가지의 활동으로 축적 및 확장되었고, 그 요소는 기능성, 유용성, 심미성, 사용성, 직관성, 혁신성, 정체성, 경험성, 창의성, 감성, 사회성, 문화성, 융합성의 열세가지의 요소들로 확장 및 축적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한 시장 환경과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하여 브랜드의 관계성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해 졌다. 이러한 환경에서 브랜드 간의 관계,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관계 또는 기타 다른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 등에 의한 브랜드 연상으로 얻을 수 있는 브랜드 가치와 리스크를 제대로 파악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브랜드 특수성은 대표 적으로 브랜드 자산 가치를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리스크가 발생하면 기업이나 브랜드 입장에서는 큰 손실과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브랜드 특수성에 대한 선행 연구에서 그 특성을 이해하여 최근 일어 난 브랜드 리스크 사례에 대해 조사하여 어떤 관계성이 있으며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에는 모든 기업 또는 조직이 갖고 있는 브랜드를 다변화된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브랜드 관리 전략을 구축하는데 필 요한 브랜드 리스크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Lacquer art of Korea and China are from the same root. Lacquer art has been spread from Chinese inland to korean peninsula since Han dynasty, then it affected Japan and countries in southeast Asia. Korean lacquer art undertook Chinese type and then formed its own special style gradually. "Blue is extracted from theindigoplant,butis bluer thanit".The lacquer art from two countries are growing up and contradictory. Korean lacquer art undertakes civil thought and founds country with culture in modern times, which shows the special craft culture in Korea. On the contrary, Chinese lacquer art mostly continues tradition, and lots of traditional skills are almost lost. It is not good or fast in evolution of lacquer art.There is big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Analyzing the lacquer ar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can show the disadvantageof Chinese lacquer art. Under the background of raising rapid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in China, how to promote modern lacquer art, incorporate everything, learn from each other, absorb excellent lacquer art tradition from two countries and speed up the evolution of modern lacquer art in two countries, whichis extremely an urgent theme.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미적가치를 추구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화에 적응하며 발전을 위한 노력을 한다. 현대 화 과정 속에서 공예품이 지닌 전통 고유의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적 공예 디자인으로 발전해 나아가는데 보다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의미창출을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지닌 오색전지공예디자인에 적용된 문양은 공예품의 시 각적 특징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을 고려했을 때 대중에게 이해 범위를 향상시키고 정서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문양의 상징성을 적절하게 활용한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그 중 요성을 확인하고 심리적 문양표현을 객관화하는데 의의가 있다. 문양의 의미를 해석할 때 일어나는 의미작용인 기호학적 연구 결과, 오색전지공예디자인에 있어서 문양의 의미해석과 의미창출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선정된 사군자 문양은 도상, 지표, 상징의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 본 결과,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은 내포한 의미와 전반적인 이미지를 고려한 구성 에 따라 적절한 문양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문양은 다양하고 독창적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상징성을 내포한 적절한 의미 표현이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의 이미지와 균일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의 조형적 인 구성이 내용의 깊이와 의미를 적절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따라서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은 대중에게 아름다운 삶의 추구와 실용성을 겸한 생활용품으로 다가가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체계적인 의미작용을 표출시키는 오색전지공예디자인으로 서 보다 차원이 높은 작품 제작에 정성을 다하여야 한다. 본 논문을 기준으로 오색전지공예디자인의 생활 속에서 살고 있 는 우리는 작품을 제작하는데 객관적이고 이론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문양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호학적 의미작 용 분석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질 필요가 있다.
황금분할(Golden Section)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이상적인 비율로, 자연계의 모든 대상을 포함하는 동시에 비 트루비안(Vitruvian)과 같이 인체의 외부 형태에도 확연히 드러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의 여러 기관 중에서 시각경 험을 담당하는 눈에 초점을 맞추어 인체의 외부 형태로서 눈의 특징과 함께, 눈과 뇌의 작용에 의해 만들어지는 시각 활동 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즉 이것은 시야각(FOV : Field of View)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방형의 눈에 영향을 받으며 G. 페흐너(G. Th. Fechner)의 실험에서처럼 심리적인 요인도 적용된다. 따라서 예전부터 사용되어왔던 4:3형식의 비율이 16:10의 비율을 가진 디스플레이로 전향된 것은 인간의 눈에 근거한 가장 이상적인 비율을 찾기 위한 노력이고 볼 수 있 다. 특히 이것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환경보다 더욱 황금비율에 근접한 비율로 잉여공간이 가장 적은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최적화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는 하나의 기준으로써 디자인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인 동시에 그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가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모듈의 개발은 앞으로 전개될 디스플레이 화면비율의 결정에 있어서 선구적 역할을 담 당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