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describes the measurement of the underwater noises produced by the engine vibration around the engine room of stern trawler MIS Sae-Ba-Da(2275GT, 3,600 PS) and pole kner M/S Kwan-Ak-San (243 GT, 1000 PS) while the ship is stopping. The underwater noise pressure level was measured with the underwater level meter of which measuring range is 100 to 200 dB(re bLPa). A and B denotes the maximum pressure level measured at right beneath the bottom of the engine room, while the main engine of the Sae-Ba-Da revoluted at 750 and 500 rpm, respectively. C denotes that of the main engine of the Kwan-Ak-San revoluted at 350 rpm, and D that of the generator of the Sae-Ba-Da revoluted at 720 rpm. Thus A, B, C and D were set for the standard sound source fo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noise Pressure level at A, B, C and D were 170.5,165,153 and 158dB, respectively. 2. When the check points distanted vertically 1, 10, 20, 30, 40, 50m from the sound source, the underwater noise presure levels were 170.5, 155, 148, 144 and 138 dB and the directional angle was 116\ulcorner in case of A. 3. The sound level attenuated at the rate of 20dB per 10" meters of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s. 4.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noise was 100Hz to 10KHz and predominant frequency was 700 to 800Hzminant frequency was 700 to 800Hz
Previously, we had experimented on the model of stow net under the various combination including water velocity, spherical floats and elevating floats with the shearing hoods instead of the upper beam, however we couldn't concern with their characteristics. Spherical floats maintain their buoyancy at the same level when the speed increases, only the drag increases and effects some reduction in the fishing height. To eliminate this shortcoming, floats have to some hydrodynamic lifting force which increases with increasing speed. Phillips float with a dish-shaped metal plate welded on at the lower part and synthetic upthrusting float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to compare with their characteristics. Six kinds of model shearing hood depend on the angle of attack were used to test the characteristic of the shearing hood. According to their results, when the angle of attack is 30\ulcorner, the lift and drag coefficient reveal 1. 36, 0.84 respectively. And also experimented on the 5X8cm shearing hood to investigate the suitability for the model stow net.
크기가 실물어구의 1/450이고, 망지는 각각 결절망지와 라셀망지를 쓴 건착망의 모형어구를 제작하여 발돌의 수중중량을 4g~20g까지 변화시킬 때의 침강속도와 죔줄의 장력을 비교한 바, 침강속도는 결절망지를 쓴 쪽이 1.4~1.8 빠르고, 죔줄의 장력은 라셀망지를 쓴 쪽이 10~20% 적었다. 따라서, 어군의 도피를 빨리 차단한다는 의미에서는 결절망지가 라셀망지보다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The author designed and tested the high sensitive three-phase power factor meter and relay circuit, and dealt with the circuit to detect the phase of the current and the voltage. An operational amplifier comparator circuit and two single-phase transformers are used to control and detect the phase angle between the current and the voltag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Converting the sine wave input current into the constant amplitude rectangular wave form by using a transistor chopper circuit, the power factor can be measured precisely over the load current of 0.08 A. 2. Using the moving coil type current meter, the power factor meter can be read in uniform . scale all over the range. 3. Using the three-phase power factor meter, the power factor relay which works at any power factor can be mad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the color induced maximum gathering rate and to observed'the trend of the - gathering rate by using two species of commercial fishes: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Temminet et Schlegel) and 'grass puffer, Fugu niphobles (Jordan et Snyder). An experimental tank(360L×50W×55H cm) was set up in a dark room. An illumination system was attached to the two end of tank to fix horizontal light intensity by co~bination c' one light bulb(20W) and four filters (red, blue, yellow, white) and the five regulating filters in order to fix light intensity. During the experiment water depth was maintained 50 cm lever in the tank. The tank was marked into six longitudinal sections each being 60 em long to observe the distribution of fish. The fish were acclimatized in dark condition for 40 minutes prior to the main experiment. Upon turning on the light,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was counted 40 times every 30 seconds, and the gathering rates ,were obtain from the average number of fish in each secion. The color induced maximum gathering rate of rock bream appeared to be red, blue yellow and white color orderly.However, that of grass puffer appeared to be blue, white, yellow and red color orderly. Trend of the gathering rate in illumination time showed the remarkable fluctuation in the rock bream and little difference at the two color light sources. However, trend of the gathering rate in illumination time showed the little fluctuation in grass puffer and much difference at the two color light sources.
빛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항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과 복섬 Fugu niphobles 에 빛의 세기가 서로 다른 여섯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야에 각각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한된 실험수내에서의 광에 대한 구간별분포는 두 어종이 모두 구간에 많이 모여 분포은 대체로 U자형이되었다. 2. 돌돔은 수중도가 어떤값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광원쪽에 더 많이 모이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야간에 비슷하였다. 복섬은 수중도가 어떤 값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광원에서 멀리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야간에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3.집어솔이 최대가 되는 평균수중조도(적정조도)는 돌돔이 162.0 lux (104.3-238.1 lux)로서 주야간에 같았으며, 복섬은 주간에 16.6 lux (10.6-24.5 lux), 야간에 1.9 lux (1.2-2.9 lux)로서 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에 따른 집어솔은 돌돔의 경우 점등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야간보다 주간에 그 변화가 심했다. 복섬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야간보다 주간에 그 변화가 다소 심했다.
The pure polypropylen rope has been used for the head rope, and the lead cored polypropylen rope for the ground rope in the anchovy boat seine. These ropes revealed the disadvantage that deforms the net shape due to their elongation. Te improve the disadvantage, authors developed the rope of new construction which is cored by wires and wrapped by polypropylene fibers, 20mm in diameter for the head rope and 40tnm for the ground rope. To compa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mproved rope with the conventional ones, some factors are valued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found. 1. The improved ropes rev~al some disadvantages, such as the head rope is heavier, the ground rope lighter, and both of them are stiffer than the conventional ones, contrary to the required condition of ropes) However no special difficulties are found in practical use. 2. The improved ropes display much advantages, such as elongation is 30 percent less, breaking strength is 35 precent greater, and elastic recovery is 10 percent greater than the conventional ones.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improved ropes are more suitable for the head rope and the ground rope of the anchouy boat seine net than the conventional ones.
권현망에 쓰이고 있는 오비기.수비재료를 개량하기 위하여, 속에 PVD를 넣고 밖에 PE를 둘러서 3년으로 꼰 망멱를 개발하여, 재래의 재료와 함께 그 물리적 특성을 측정.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1) 재래식은 민물에 1주야 침지하면 4~7%의 수축이 일어나는 데 비하여, 신개발재과는 그런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다. (2)비중은 재래식이 1주야 침지한 후에야 겨우 1.04~1.025여서 해수보다 무겁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달성되지 않으나, 신개발재과는 침지시키지 않아도 1.06~1.09여서 비중이 크며, 필요에 따라 더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유연성은 재래식과 신개발재과가 비등하다. (4) 파단강도나 탄성회복도가 재래식보다 크다. (5) 6개월간 어구로서 사용한 후에도 망목이 신장되지 않았다.
An underwater recording system was designed to measure the sound spectra of the underwater noises produced by fishing gears in operation. Recorded were noi~es from three types of fishing gears: an anchovy set net, three anchovy boat seine net and a stern trawlnet. Acoustic analysis were made using a heterodyne analyzer, a digital frequency analyzer and a level recorder. The no;'e produced by the anchovy set net was found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of the onset of ambient noise spectrum with a slope of - 6 dB/octave. Here the ambient noise spectrum is higher, though similar in shape, than Knudsen spectrum, and is attributed to the breaking action of the coastal wave. Measured noise spectra during the fishing operations of the anchovy boat seine nets are attributed to the background noise of the sea in the presence of the fishing vessels.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noise was 20~5, 000 Hz in the case of two steel anchovy boat seiners, and 20-3,000 Hz in the case of the wooden anchovy boat seiner. The predominant frequency range was 250~350 Hz and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was 122 dB (re 1μPa) in the case of the steel boat and ] 17 dB in the case of the wooden boat. The noises produced by the trawl fishing gears are remarkably higher than the background noi~e in the presence of the fishing vessel.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noi~e was 20-6,300 Hz. The predominant frequency range was 100~200 Hz and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was 137 dB ( re 1μPa) . The noise spectra were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at caused by vibrations of the towing cable and the structure of the ground rope of the trawl net towed in an experimental tank.
權現網漁具의 網形에 관하여는 李등이 1971년에 在來式에 관하여, 1978년에 日本式 파치網에 관하여 模型實驗을 실시하여 보고한 바 있으나, 이번에 이들 漁具의 場点을 살리면서 短點을 보안한 試驗漁具改式良 79型을 재작하여, 1979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멸치漁場이 형성되는 廈南一圓에서 試驗操業을 실시하여 그 漁具의 性能을 검토하고, 漁獲性能을 비교한 바, 그 性能이 在來式보다 우수하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멸치는 남해안에서는 여러 단계의 크기의 것이 혼획되는데, 가다랭이 미끼용으로는 채장 6-7m의 것이 알맞으므로, 이 크기의 것을 가급적 언중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분포상을 조사하여 적정 자원이 가장 많이 출현하는 해역을 알 필요가 있다. 또, 멸치의 크기에 따라 상품가치도 크게 다르므로 멸치 어업을 합리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나, 자원의 관리를 위해서도 채장 조사는 중요하다. 여기서는 멸치어업이 주로 이루어지는 7월부터 12월의 한국 동남 해역에 있어서의 멸치의 분포상에 관하여 조사한 것을 보고한다
트로올선 No.85 Ptaro가 1975년 9월부터 1976년 8월까지 대서양 아프리카 연안 어장에서 조업한 어획상황을 분석한 결과 예망당 어획량의 일주기변동은 대략 다음과 같다. 1. 오징어는 일출후에 월등하게 많고 일몰후에 현저하게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54:17로 획간에 많았다. 2. 갑오징어는 개체중량 300g이상의 대형어는 일출후에 다소 많고 일몰후에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비는 45:28로서 획간에 많고, 개체중량 300g 미만의 소형어는 주야간의 어획량비가 40 : 32로서 큰 차이가 없다. 3. 문어는 개체중량 700g 이상의 대형어는 일출후에 적고 일몰후에 적으며, 오전보다 오후에 많은 경향이 있고,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43 : 31로서 획간이 많으나, 개체중량 700g 미만의 소형어는 일출후에 적고 일몰후에 많은 경향이 있고,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32 : 44로서 야간에 많았다. 4. 서대류는 일출후에 현저하게 적고 일몰후에 월등하게 많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16 : 41로서 획간에 많았다. 5. 돔류, 기타 A, B 잡어는 일출후에 월등하게 많고 일몰후에 현저하게 적으며, 주야간의 어획량비는 돔류 51 : 19, A 잡어류 50 : 19, B잡어류 42 : 25로서 획간에 많았다.
Skipjack, Katsuowonus vagans, yellow tail Seriola quinqueradiata and Scomberomorus sinensis are largely caught by trolling gear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The author determined the hydrodynamic resistance of the trolling gears uscd in the waters, estimated the pulling force of the fish species above mentioned by use of body weight, and then calculated the minimum diameter of the lines of trolling gear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hydrodynamic resistance of the trolling gears present linear relationship in accordance with the towing speed of the gears. 2. The diameter of seizing leader, leader gut and branch line used in the waters might be durable to catch skipjack and yellow tail, whereas the diameter of those must be weak in intensity for Scomberomorus zinensis.
본 실험장치에 관한 이상의 이론과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연산기로써 전류입력파형을 부경전류의 다소에 관계없이 일정진폭의 단형파로 변화시킴으로써 부경전류 0.01[A] 이상의 역율의 정밀측정이 가능하다. 2. 영구자석가동코일형 직류전류계를 사용하여 출력파형의 평균치들 얻음으로써 역율값을 0-1의 전절원에 걸쳐 평균 눈금으로 직독할 수 있다. 3. Fig. 19에서 알 수 있듯이 진력율이나 지력율에 관계없이 측정가능하며 모두 정의 눈금으로 읽을 수 있다. 4. 출력저항에서 역률 Relay 회로를 쉽게 도입할 수 있어 전기기계의 자동제어, 보호, 경보 등의 회로를 쉽게 적용할 수 있다.
南大洋의 크릴(krill)資源에 關한 本格的인 調査는 1961年 소련이 처음 着手한 以後 日本을 위시한 各國이 參與하고 있다. 1968年 現在 南大洋의 調査에 參與하고 있는 國家는 漁業에는 日本 소련 서독 프랑스 臺灣 칠레 폴란드等 7 個국이, 處理加工 誠驗에는 노르웨이 덴마크 모나코 남아프리카等 4 個國이고, 그외 美國 알젠티나等이 資源硏究所 設立計劃과 資源評價및 技術練修등을 計劃함으로써 모두 13 個國이다. 그 중 日本 1961年에 東京수산대학의 “우미다까마루”로써 南大洋의 綜合的인 海洋觀測과 調査를 實施한 것이 시초이나. 本格的인 調査는 1972年 海洋水産資原開發센터에 의하여 着手되어 現在까지 6年째에 이르렀다. 1972~75年間은 試驗 및 漁場開發段階에 不過했으나, 1976年~1977年은 企業化로써 採算面에서 收支가 맞는 企業漁業으로 成長하였다. 試驗 및 漁場開發段階에 不過했으나, 1976年~1977年은 企業化로써 採算面에서 收支가 맞는 企業漁業으로 成長하였다.
This paper concerns the receding of the eastern coastline of Korean peninsula at a macroscopic point of view, the result is as following. 1. Eastern coast is gradually developed from maturity stage to full maturity stage. 2. The coastline recession due to sea level rise is amounted to the receding distance, x=0.045 m per yr. 3. The author proposes another classification from the new view point, which is classified by comparing quantities between river supplying sediment loads, and the littoral drifting due to wave actions. According this, eastern coast is receding(Type Q-A), and we could find it's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4. The general piofile of eastern coast sand beach is erosional storm profile(Type I) which accompany offshore bar. 5. From the wave measuring data of eastern coast(Hoopo port), I can derive the linear regression line of the exceedance probability of wave height from the log-normal distribution. z=O. 113+4.335 loglo H, r=0.983. Above equation made it possible to estimate Ω[=P(H>Hc)]for the effective wave height Hc=2. Om4, 4. Om and their corresponding values are considerable (7.8%, 0.3%) 6. Eastern coastline certainly have the tendency of erosive and receding, owing to the sea level rise, poor sediment source and effective wave actions. It's very desirable to survey coastline evolution for a long time systematically, in order to make more elaborate diagnosis.
한국 연안에서는 연간 5~8만m/t정도의 멸치가 어획되고 있으나 주 어장은 경남 일원을 중심으로 남해안이다. 따라서 남해안의 어황변동을 예보할 수 있으면서 어업경영의 합리화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황멸치의 수급 계획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여기서 먼저 1971~77년 7년간의 수온, 부유생물, 강수량과 열수지를 조사, 계산하고 그 해 봄철의 강수량을 조사하면 그 해의해황이 예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멸치의 어황도 예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재래식 권현망의 천장망을 제거하고 옆판 위 언저리에 뜸을 장치한 어구에 의하여 활멸치의 어획을 시험하고, 동시에 이렇게 어획한 멸치를 버팀대를 써서 축양조를 예인하는 방법으로 축양 시험을 실시한 결과 대략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축양개시 15일후의 생잔률은 최고 약 71%여서 다른 어구. 어법에 의한 생잔률 보다는 낮지마는, 권현먕 어구 자체가 한국의 멸치 어업에서는 가장 보편화된 어구이므로, 2차적으로 활멸치를 어획하는데는 충분한 실용성이 있다고 보아진다.
朴.李등 (1972)이 축양 시험을 할 때에는 축양조 이외에 소형의 예인조를 따로 썼으나, 예인조에서 축양조로 이송이 번거로우므로 업계에서는 축양조를 바로 예인하는 방법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축양조를 바로 예인하면 앞면의 망지가 뒤로 밀려서 축양조 내부의 용적이 작아지고, 또 예인중 축양조의 속도가 갑자기 느려지면 멸치는 유영 관성으로 말미암아 뒤로 밀린 망지 위로 올라가서, 비늘이 벗겨져서 폐사율이 높아진다. 이를 개량하기 위해 먼저 $\frac{1}{15}$크기의 모형 축양조를 만들어서, 회류수조에서 4가지 방식으로 예인시험을 실시하고, 그 중 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 2가지 방식을 다시 해상에서 실물시험을 실시하여, 실용상의 문제점을 규명함과 동시에, 축양조의 예인속도는 빠르게 하면서도 축양조 내부의 유속을 느리게 하는 방법도 고안했다